[full] 마약을 끊지 못했던 이유 | 추적60분 1346회 KBS 231201 방송

Описание к видео [full] 마약을 끊지 못했던 이유 | 추적60분 1346회 KBS 231201 방송

방송일시 : 2023년 12월 1일 금요일 밤 10시

유명인의 마약 스캔들이 끊이지 않고 있다. 톱스타들의 이름이 거론되며 그들이 드나든다는 소위 ‘1%’ 유흥업소의 존재가 대중에게 알려졌다. 《추적60분》은 다수의 연예인들과 이 업소에서 마약을 투약한 경험이 있다는 익명의 제보자를 만나 ‘1%’ 유흥업소에서 벌어지는 충격적인 마약 복용 실태를 확인했다.

■ ‘1%’ 업소부터 클럽까지, 유흥의 수단이 된 마약
“재벌, 법조계, 의사나 연예인들이 많이 와요.
(비밀 유지 계약서에) ‘오늘 여기서 누구를 만났고 무슨 대화를 나눴고 어떤 행동을 했는지 아무것도 발설하지 않겠습니다’라고 적어요.”
- 1% 유흥업소 종사자 인터뷰 중

하지만 취재 결과, 이렇게 폐쇄된 공간뿐 아니라 청년층이 많이 찾는 클럽 등지에서도 공공연하게 마약의 투약과 유통이 이루어진다는 사실 역시 확인할 수 있었다.

“클럽에서 처음 (마약을) 했어요.
(엑스터시에) 환각 효과가 있는 줄도 몰랐고, 생긴 것도 귀여워서 생각 없이 먹었어요.”
“제 나이 또래 대학교 다니는 평범한 친구들도 다 한번씩은 클럽에서 (마약) 해봤어요.”
- 중독자 정유진(24/가명) 인터뷰 중

“요새는 환자가 오면 무슨 약을 했는지 물어보지도 않아요. 요즘 젊은 친구들은 안 해본 약이 없거든요. 정말 다양한 마약이 많이 풀렸구나라는 생각을 하죠.”
- 인천 참사랑병원 천영훈 원장 인터뷰 중

마약이 소수의 쾌락을 위한 도구가 아닌 대중적인 유흥의 수단이 되면서 마약 유통량이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지난 7월에는 태국에서 600억 원어치의 마약을 밀반입해 강남 클럽으로 유통한 일당이 검거되기도 했다. 《추적60분》은 오랜 설득 끝에 마약 중간 거래상을 만나 광범위한 마약 유통의 충격적인 실태를 들을 수 있었다.

■ 방송인 서민재, 마약 투약 후 첫 심경 고백
방송인 서민재(개명 후 서은우)가 마약 논란 이후 처음으로 인터뷰에 응했다. 한 방송사의 리얼리티 연애 프로그램 출연 후 유명세를 얻은 서민재 씨는 작년 8월, SNS에 돌연 당시 연인인 가수 남태현과 필로폰을 투약했다는 내용의 글을 올렸다. 약에 취해 올린 듯한 게시글은 많은 사람들을 충격에 빠뜨렸다. 재판을 받으며 단약 중이라는 서민재 씨는 《추적60분》에 그간의 이야기를 털어놓았다.

“저는 (마약으로) 제가 가진 모든 걸 다 잃었어요.”
“정말 다른 사람들은 마약을 안 했으면 좋겠어요. 마약의 끝에는 파멸밖에 없어요.”
- 서민재 씨 인터뷰 중

서민재 씨는 자신의 《추적60분》 출연을 통해 더 많은 여성 중독자들이 치료받을 수 있게 되기를 바란다고 전했다. 여성의 경우 치료와 재활에 더 큰 어려움을 겪는다. 올해 9월까지 검거된 여성 마약사범은 6,670명으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하지만 취재 결과, 여성이 입소할 수 있는 재활시설은 없었다. 최근에 시범적으로 운영하는 곳이 생겼지만, 입소자는 단 세 명뿐이다.

■ 아들을 직접 신고할 수밖에 없었던 이유, 남경필 전 경기도지사의 호소
“저는 저희 아들이 죽을까 봐 신고했어요”
- 남경필 전 경기도지사 인터뷰 중

2017년, 장남의 마약 투약이 알려진 이후 정계를 은퇴한 남경필 전 경기도지사가 《추적60분》의 카메라 앞에 섰다. 현재 장남 남 씨는 징역 2년 6월을 선고받고 복역 중이다. 남경필 전 지사는 아들의 재판에 직접 증인으로 참석해, 아들에게 실형을 내려줄 것을 호소했다.

그가 직접 아들을 신고한 이유는 아들이 마약을 끊기를 간절히 바랐기 때문이다. 남경필 전 지사의 아들은 재활을 위해 폐쇄병동에 입원하고, 두 번의 자수를 하기도 했지만 마약을 끊어내는 데 실패했다. 남경필 전 지사는 중독자 개인과 가족의 의지의 영역으로만 방치된 마약 치료·재활에 공적인 관심과 지원이 필요하다고 절절히 촉구했다.

마약 중독은 사회적 지원이 필요한 질병이기 때문에 24시간 관리가 가능한 재활 시설이 절실하다. 하지만 마약사범의 수에 비해 치료 재활 인프라는 턱없이 부족한 실정이다.

마약과의 전쟁 후 1년. 증가하는 검거율에 발맞춰 치료, 재활 인프라를 확충하는 것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 이번 주 《추적60분》에서는 대한민국 마약 치료, 재활 시스템의 현주소를 알아본다.

《추적60분》 1346회 ‘마약을 끊지 못했던 이유’편은 12월 1일 금요일 밤 10시 KBS1TV에서 방영된다.

Since 1983, 대한민국 최초의 탐사 프로그램
상식의 눈으로 진실을 추적한다
매주 금요일 밤 10시 KBS1 《추적60분》

✔ 제보 : 010-4828-0203 / 추적60분 홈페이지 / [email protected]
▶홈페이지 : https://program.kbs.co.kr/2tv/culture...
▶카카오톡 채널: http://pf.kakao.com/_fxgiyxj
▶페이스북 :   / kbs60min  
▶인스타그램 :   / kbs60min  
▶트위터 :   / kbs1548553  

Комментарии

Информация по комментариям в разработк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