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옹왕사 ① 고려 말의 3대 고승, 출가부터 왕사에 이르기까지 [드라마 고승열전 나옹왕사]

Описание к видео 나옹왕사 ① 고려 말의 3대 고승, 출가부터 왕사에 이르기까지 [드라마 고승열전 나옹왕사]

▶타임코드✔
00:00:00 나옹왕사의 행장
00:10:51 공민왕으로부터 왕사로 책봉 받다
00:26:15 나옹왕사의 태몽
00:33:16 나옹왕사가 출가한 이유
01:07:36 태고 보우국사와의 만남
01:41:47 나옹왕사의 수행 이야기 (feat. 깨치던 순간)
02:34:44 지공화상과의 만남과 신비스러운 선문답
03:11:21 무학대사의 스승, 나옹왕사
04:19:15 나옹왕사와 공민왕

▶불교방송의 레전드 라디오 드라마 고승열전!
총 63편을 BBS플러스에서 ' 3부작 장편'으로 만나세요!
2023년 4월 12일(1부), 19일(2부), 26일(3부) 매주 수요일 오후 8시 최초 공개.

▶나옹왕사 : 고려 말의 승려 혜근.
원나라에서 인도 승려 지공(指空)의 가르침을 받고 중국 각지를 편력하며 견문을 넓힌 후 공민왕의 요청으로 귀국하여 공민왕과 우왕의 왕사(王師)가 되었다. 무학대사의 스승이기도 하다.
고려 말 3대 고승 [태고 보우스님, 백운 경한스님, 나옹 혜근스님]

[인물 정보]
공민왕: 고려 제31대 군주로 반원 정책을 펼쳤다. 지극히 사랑했던 아내 노국대장공주가 출산하다가 난산으로 아이와 함께 승하하자 무너지기 시작했다. 이후 승려 신돈에게 모든 국사를 맡긴다.
편조스님 신돈: 고려 말기의 승려이자 정치가. 공민왕이 개혁 정치를 위해 등용한 인물로 개혁자라는 평가와 요승이라는 평가가 엇갈리고 있다.
지공화상: 1328년 고려 충숙왕 때 2년 남짓 고려에 머물며 생불로 추앙받는다.
태고 보우국사: 조계종 중흥조이자 한국불교사에 큰 족적을 남긴 고려 말 대표적인 고승 으로 석가모니 제57대손 임제정맥 제19대 적손이라는 말이 수식어처럼 따른다. 이 말은 그가 한국 임제종의 적통을 잇는다는 뜻.
보조국사 지눌: 고려의 승려로 정혜결사(定慧結社)를 조직해 불교의 개혁을 추진했으며, 돈오점수(頓悟漸修)와 정혜쌍수(定慧雙修)를 주장하며 선교일치(禪敎一致)를 추구했다.
임제의현(臨濟義玄): 선종의 한 갈래인 임제종(臨濟宗)의 창시자.
무학대사: 태조 이성계의 스승으로서 조선왕조 개국에 깊이 관여하였으며, 회암사에 머물며 한양 천도에도 일조하였다. 조선 왕조 최초이자 최후의 왕사(王師)

[나옹왕사 가사문학]
청산은 나를 보고 말없이 살라하네
창공은 나를 보고 티 없이 살라하네
탐욕도 벗어놓고 성냄도 벗어놓고
물같이 바람같이 살다가 가라하네
나옹왕사 토굴가 中 –

[F.Y.I.]
선관사: 제사와 연회에 쓰는 음식 관직.
법기(法器): 불도를 수행할 수 있는 소질이 있는 사람. 부처가 될 수 있는 사람을 이른다.
운수행각: 스님들이 발길 닿는 대로 정처 없이 떠도는 것을 운수행각이라 한다.
글월: 편지의 높임말. 순수한 한국말로 본래의 뜻은 문(文)인데 차차 편지의 뜻으로 변하였다.
임제종(臨濟宗): 1911년 일제강점기 초기에 전라남도 순천 송광사(松廣寺)에서 성립된 불교의 한 종파.
개당(開堂)법회: 불교 선종에서, 새로 주지가 된 승려가 절에 들어가 처음으로 설법하는 행사
화두: 참선수행자가 깨달음을 얻기 위하여 참구(參究:참선하여 진리를 찾음)하는 문제를 가리키는 불교용어. 일반적인 상식을 뛰어넘고 있는 문답에 대하여 의문을 일으켜 그 해답을 구하는 것.
선문답: 수행의 진리를 깨닫기 위해 질문과 답으로 대화를 이끌어 나가는 것.

96년도에 제작된 라디오 고승열전을 유튜브로 다시 제작하였습니다.
음질의 아쉬움은 너그러이 양해 부탁드립니다 :)
**나옹왕사의 행적과 당시 역사상에 대해서는 기록에 따라 다양한 이설이 있습니다. 고승열전 내용 중 이와 같은 부분에 대해서는 부득이하게 한 줄기를 선택하여 드라마를 제작하였습니다.
따라서 기존의 알고 계신 내용과 다소 흐름이 다르더라도 드라마적인 연출을 감안하여 시청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불교계 유일, 비영리재단이 운영하는 공익방송 BBS불교방송입니다!]
📌후원하기(만공회) 가입 https://m.bbsi.co.kr/M/?ACT=SUPPORT_J...
📌후원하기(만공회) 전화 1855-3000
*불교방송의 모든 컨텐츠는 여러분의 후원과 발원으로 만들어집니다.

▶ BBS불교방송Buddhist Broadcasting System
1990년 5월 1일 지상파라디오방송 개국
2008년 불교전문 BBSTV 개국
만공회 후원(보시)와 방송광고수입을
방송포교불사로 환원하는
불교계 유일의 비영리재단 ‘공익방송’

▶ BBS 불교방송을 만나는 더 다양한 방법!
앱 다운로드: 구글 플레이스토어, 아이폰 앱스토어
홈페이지: http://www.bbsi.co.kr/
페이스북: http://bitly.kr/Xh2Wyu
트위터:   / @bbs_tvnradio  
유튜브 연계채널: 불교방송NEWS, 보이는라디오, BBS플러스, 닥잠

Комментарии

Информация по комментариям в разработк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