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형문화재] 학의 날개짓과 비상, 고고한 춤의 자태 '동래학춤'

Описание к видео [무형문화재] 학의 날개짓과 비상, 고고한 춤의 자태 '동래학춤'

#무형문화재 #동래 #동래학춤

부산 경남 울산 지역의 무형문화재를 조명하는
KNN 특별기획 숏폼 다큐멘터리 [천년의 기억]

동래학춤은 부산 동래지역에서 전해 내려오는 춤으로
그 동작이 학의 움직임을 닮은 춤이다.

동래는 예로부터 지형이 학과 비슷하게 생겼다고 하고,
학이 많이 서식했던 곳이어서 학과 관련된 지명이 많다고 전한다.

동래학춤에 대한 문헌자료는 전혀 남아있지 않기 때문에
동래지역에 오래 거주했던 사람들의 증언을 통해
그 유래를 추측해 볼 수밖에 없다.

동래야류 기능보유자였던 故 신우언(1899~1979) 선생과
동래기영회 이사장이었던 故 김인호 선생,
현재 부산민속예술보존협회 이사장 겸
동래야류 예능보유자 문장원 등의 의견을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동래학춤은 특정한 단체와 개인에 의해 독자적으로 형성되었다기보다는
동래지역의 줄다리기와 야류 등과 깊은 관계가 있는 춤이라고 한다.

동래에서는 예전부터 매년 정월 대보름을 전후로
「큰줄땡기기」를 개최했다고 하는데,
줄다리기에서 이긴 편에게는 그 해 풍년이 든다고 하여
마을 전체가 온통 축제분위기가 되며 이 때 학춤도 한몫 끼었다고 한다.

줄다리기가 끝난 후 동래야류의 본 마당에 들어가기 전에 길놀이를 하고,
놀이마당에서는 온 마을 사람들이 집단적으로 춤을 추고
함께 어울리는 자리에서 여러 가지 춤자랑이 벌어졌다.

요동춤, 두꺼비춤, 곱추춤, 병신춤, 홍두깨춤,
엉덩이춤, 문둥이춤등을 추는데 이때 어느 이름난 춤꾼 한 사람이
당시 흔히 입고 다니던 도포를 입고 갓을 쓰고
덧배기 춤을 멋있게 추니까 이것을 본 누군가가 마치 학이 춤을 추는 것 같다고 한 것에서
동래학춤이라는 말이 나왔다고 전한다.

한편 궁중에서 전승되던 무용 가운데에도 학무가 있었는데,
궁중에서 연행되던 학춤이 분장, 아악반주, 춤 사위 등의 연출에 있어서
정중한 것에 비해 동래학춤은 도포차림에
민속악기인 사물굿거리 장단에 맞추어 추는
매우 소박한 토속 민속춤이라는 것에서 가장 큰 차이가 있다.

이러한 이유로 동래학춤은 궁중무용이 민간에 전파되었다기 보기보다는
자연발생적으로 생겨났다고 보는 說이 지배적이다.

학춤에 대하여 증언한 故 신우언선생은
"동래학춤은 한량들이 추는 춤사위의 기본형태와 크게 다를 바가 없다."고 하면서 원래 동래지방 한량들이 즐겨 추었던 동래 덧배기춤과의 유사성을 지적하였다.

즉 춤이 강하고 폭이 커서 위엄과 멋과 박력을 두루 갖춘 남성적 기질의 덧배기 춤에 학의 움직임을 더하여 좀더 다듬은 것이 지금의 동래학춤이며,
동래지역 사람들은 학소대 등에서 학의 모습과 움직임을 잘 관찰할 수 있었고 온천과 교방(敎坊)이 있어서 춤세가 거세었던 데다가
풍류객들이 많이 모여들어서 자연히 놀이문화가 풍성했다는 여러 조건이 부합되어 발생한 춤으로 볼 수 있다.

출처 : 문화포털

Комментарии

Информация по комментариям в разработк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