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論語의 種類
劉向의 別錄'에 의하면 “魯人所學, 謂之魯論; 齊人所學, 謂之齊論; 孔壁所得, 謂之古論”이라 하여 漢代에는 세 종류가 있었음.
(1) 魯論
今文으로 되어 있으며 魯나라 지역에서 읽히던 것. 모두 20편. 오늘날 우리가 보는 논어의 원전.
(2) 齊論
今文에 속하며 모두 22편. 魯論에 비하여 問王篇, 知道篇의 두 편이 많았으며, 나머지 20편도 魯論에 비해 章句가 훨씬 많았다고 함. 王應麟은 漢書藝文志考證에서, 問王篇은 마땅히 問玉篇이라 해야 한다고 하였는데, 이는說文․初學記 등에서 論語를 인용한 것 중에 바로 이 부분이 기록된 것으로 증거를 삼고 있다. 근인 陳漢章도 經學通論에서 禮記 聘義篇과 荀子 法行篇, 王肅이 위조한 孔子家語 등을 근거로 問玉篇임을 증명하고 있음.
(3) 古論
古文으로 되어 있으며 孔壁 나온 것. 問玉, 知道 두 편이 없는 대신 堯曰篇의 子張問 이하를 1편으로 삼아 결국 21편으로 되어 있었음. 편차도 魯․齊 두 論語와 다르며 문자가 다른 곳도 400여 자나 됨.
○1차 개정본
이상의 세 종류 판본은 한대에 각각 전한 이가 달라서, 張禹는 魯論을 근거로 하되 齊論도 이용하여 問玉, 知道 두 편을 없애고 論語章句를 지었음. 이를 흔히 張侯論(語)라 함
○2차 개정본
東漢 때 鄭玄은 張侯論語를 근거로 齊論과 古論을 참고하여 注를 달았는데 이것이 何晏을 통해 論語集解이 됨. 그리고 하안의 集解本은 그 뒤 宋 邢昺의 疏와 합해져서 지금 통행되는 十三經注疏本이 됨. 그러나 하안의 集解本과 鄭玄의 注 사이에는 서로 차이가 있으며, 이는 陸德明의 經典釋文에 자세히 나와 있음. 물론 鄭玄의 注本은 일찍이 실전되어 淸 馬國翰이 집일본을 만든 적이 있고, 근래 敦煌石室에서 殘卷이, 그리고 漢墓에서도 역시 정주본의 잔권이 발견되어 그 편린을 엿볼 수 있음. 그러나 송대에 朱熹에 의해 集注本이 나오자 程朱學의 발흥과 조선의 건국․정치리념의 결합으로 우리나라에서는 朱子集註를 많이 읽어 왔음.
論語의 篇目
현존 논어는 魯論으로 원전을 삼은 것으로 모두 20편 481장(혹은 508장, 朱子集註는 499장) 15,919자로 되어 있음. 편명은 첫 구 문장의 앞 글자로 삼았으나 위의 설명처럼 전 10편은 앞에 붙은 子曰이나 子謂 등을 빼고 그 뒤의 두세 글자로 정하고 있음.
論語集註: 20篇 499章(朱熹)
-論語의 內容
錢穆은 論語의 내용을 9가지로 나누고 있음.
① 개인의 인격 수양의 교훈에 관한 것.
② 사회 논리에 대한 교훈.
③ 정치에 관한 것.
④ 철리에 관한 것.
⑤ 문인, 제자, 고인, 당시인들에 대한 批評.
⑥ 공자의 언행 및 일상생활에 관한 것.
⑦ 공자의 자술 어록.
⑧ 공자에 대한 제자들의 찬미와 당시 인물들의 공자에 대한 비평.
⑨ 공문제자들의 언론, 행동, 사건 등.
○기타
① 孔門四敎 : 文(詩, 書 등의 六藝), 行(孝, 反, 睦, 婣, 任, 恤 등의 六行), 忠(傳心盡己), 信(誠實孚行)
② 四科十哲 : 德行(顔淵, 閔子騫, 冉伯牛, 仲弓), 言語(宰我, 子貢), 政事(冉有, 季路), 文學(子游, 子夏)
孔門弟子
공자의 제자에 대한 기록은 사기(仲尼弟子列傳), 王肅이 위조한 孔子家語(弟子解), 文翁의 弟子圖 등이 있음. 史記의 77인 중 論語에 보이는 자는 72인이며, 孔子家語에도 역시 77인이 실려 있으나 史記의 77인과 다른 인물은 琴張, 陳亢, 縣亶 등 셋임. 또한 文翁의 弟子圖에도 72인이 기록되어 있으나 그중 4명은 史記나 家語에 올라 있지 않은 자들임. 우선 논어에 실린 주요 인물 23인을 간단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음.
※이름과 字의 相補的 관계
① 顔回 : 자는 子淵. 魯人. 공자가 가장 아꼈던 인물.
② 曾參 : 자는 子輿. 논어에 曾子라 칭하였는데 이는 그의 제자들의 기록인 듯. 사기에는 南武城, 혹은 武城 사람이라 하였음. 大學≫과 孝經을 지음
③ 閔損 : 자는 子騫, 논어에서 공자가 그의 孝를 칭찬함.
④ 冉耕 : 자는 伯牛. 十哲의 하나. 덕행에 이름이 있음.
⑤ 冉雍 : 자는 仲弓. 역시 덕행에 이름이 있음.
⑥ 端木賜 : 端木은 복성이며 자는 子貢. 衛人.
⑦ 有若 :논어에 有子라 칭하였는데 이 역시 제자들의 기록인 듯. 史記에 의하면 공자가 죽은 후 有若이 공자처럼 생겼다고 하여 제자들이 스승으로 모시고자 하였으나 질책을 하며 물러섰다 함.
⑧ 虙不齊 : 자는 子賤. 宓不齊로도 표기함.
⑨ 原憲 : 자는 子思. 論語에는 原思로도 기록됨.
⑩ 言偃 : 자는 子游. 史記에는 吳人 혹은 魯人이라 하였으며, 공문의 고제임.
⑪ 卜商 : 자는 子夏. 子游와 더불어 문학에 뛰어났다고 함.
⑫ 仲由 : 자는 子路. 孔門 중 정사에 뛰어났다고 함.
⑬ 冉求 : 자는 子有. 정사에 뛰어남.
⑭ 顓孫師 : 자는 子張. 조상은 陳人이나 뒤에 魯로 옴.
⑮ 宰予 : 자는 子我.
⑯ 樊須 : 자는 子遲.
⑰ 南宮适 : 자는 子容. 論語에는 南容으로 되어있으며 史記에는 南宮括로 표기하였음.
⑱ 公西赤 : 자는 子華.
⑲ 高柴 : 자는 子羔 혹은 子皐
⑳ 司馬耕 : 자는 子牛. 論語에는 司馬牛로 나옴.
漆雕開 : 자는 子開.
公冶長 : 자는 子長. 공자 사위.
申棖 : 논어 公冶長편에 한 번 나오며 사기의 77인 중에는 들어있지 않음.
Информация по комментариям в разработк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