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막뉴스] '한국인만 차별' 논란에...속속 떠나는 사람들 / YTN

Описание к видео [자막뉴스] '한국인만 차별' 논란에...속속 떠나는 사람들 / YTN

요즘 OTT, 온라인동영상서비스나 스트리밍 서비스 여러 개를 동시에 구독하는 분들 많으시죠.

그런데 최근 넷플릭스와 유튜브, 디즈니 플러스와 티빙까지 줄줄이 요금 인상에 나서면서 구독자들의 스트레스도 점점 커지고 있습니다.

지난달 한집에 살지 않는 사람과의 계정 공유를 금지했던 넷플릭스,

이번엔 광고 없는 요금제 중 가장 저렴한 베이직 요금제의 신규 가입과 재가입을 중단했습니다.

앞으로 광고 없이 콘텐츠를 보기 위해 넷플릭스에 새로 들어가려면, 최소 월 13,500원짜리 요금제에 가입해야 하니까 사실상 구독료가 4,000원 오르는 셈입니다.

광고 없이 영상을 볼 수 있는 유튜브 프리미엄 서비스도 국내 구독료를 10,450원에서 14,900원으로 올렸습니다.

인상률이 43%에 이르는 건데요.

구글 유튜브팀은 심사숙고 끝에 3년 만에 가격을 조정했다고 설명했지만, 소비자들의 반발이 거셉니다.

자체 콘텐츠를 제공하는 OTT와 달리 유튜브는 크리에이터의 플랫폼 역할을 하는 건데 한 번에 40% 넘는 인상은 과하다는 거죠.

게다가, 국내 유튜브 이용자의 한 달 평균 사용시간은 1,044억 분, 카카오톡보다 3배, 네이버보다는 4배 넘게 많습니다.

유튜브 이용 요금이 사실상 고정 지출이 된 상황에서, 가격 인상에 따른 타격도 그만큼 클 수밖에 없는 겁니다.

유튜브 프리미엄을 둘러싸곤 한국에 대한 구독료 차별 논란도 있습니다.

인도는 2,000~3,000원 정도고, 최근 가격을 올린 아르헨티나도 비싸야 6천 원 정도면 구독할 수 있는 것과 비교하면, 한국에서 구독료가 유독 비싼데요.

또 같은 집에 사는 가족구성원 최대 5명이 공유할 수 있는 가족 요금제도 42개 나라에서 제공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이용할 수 없습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일부 구독자들은 조금이라도 저렴하게 이용할 방법을 찾아 이른바 '디지털 이민'을 선택하기도 합니다.

구독료가 저렴한 나라로 우회 가입하는 건데 VPN 우회 결제 방식이 불법은 아니지만 이용 약관에 어긋나서, 계정이 정지될 수 있습니다.

전문가들 역시 국민 소득 수준을 따져봐도 우리나라의 요금이 과도하게 비싼 게 맞는다며, 업체들이 적정한 요금을 설정해야 한다고 지적합니다.

또 선택권이 묶인 소비자가 울며 겨자 먹기로 구독하는 걸 악용해, 가격을 멋대로 좌우하려 한다는 비판도 나옵니다.

앵커ㅣ엄지민
자막뉴스ㅣ이 선

#YTN자막뉴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Комментарии

Информация по комментариям в разработк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