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천시 신북면 신평리 용연서원 2024년11월23일 은하수TV

Описание к видео 포천시 신북면 신평리 용연서원 2024년11월23일 은하수TV

서원은 조선시대에 각 지역의 유학자들이 세운 사립 교육기관으로, 성현 제향과 교육의 기능을 수행하였다. 용연서원은 이덕형德馨(1561년~1613년)과 조경趙絅(1586년~1669년)을 모신 서원이다. 이덕형은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1580년 과거에 급제하였다. 1592년 임진왜란 때 사신으로 명나라에 파견되어 구원병을 요청하였으며, 여러 요직을 역임하며 전란을 극복하는 데 기여하였다. 조경은 1626년 과거에 급제하였으며, 이후 여러 관직을 역임하였다. 1627년과 1636년 정묘호란, 병자호란이 일어나자 끝까지 싸울 것을 주장하였다. 사후 청백리로 선정되었다. 용연서원은 1691년에 건립되었으며, 1692년에 용연이라는 사액을 받았다. 19세기 말 흥선대원군이 내린 서원철폐령으로 전국의 거의 모든 사당과 서원이 철거되었지만, 용연서원은 임진왜란 때 세운 이덕형의 공로가 인정되어 헐리지 않았다. 경내의 건물들은 앞에서부터 홍살문, 외삼문, 강당, 내삼문, 사당의 순서로 배치되어 있다. 한국전쟁으로 인해 사당을 제외한 모든 건물이 불탔다. 1972년 사당을 우선 보수하였고, 1986년부터 강당을 비롯한 건물들을 다시 지었다.
함양 남계서원    • 함양군 원평리 남계서원  2022년05월14일  은하수TV  

영주 소수서원    • 영주시 순흥면 소수서원  2020년10월10일 은하수TV  

경주 옥산서원    • 경주시 안강읍 옥산리 옥산서원  2022년11월27일은하수TV  

안동 도산서원    • 안동시 도산면  도산서원  2020년10월09일 은하수TV  

장성 필암서원    • 장성군 필암리 필암서원 사적242호  2022년05월29일 은하수TV  

안동 병산서원    • 안동시 풍천면 병산서원  2020년10월09일 은하수TV  

정읍 무성서원    • 정읍시 칠덕면  무성서원  2020년08월16일 은하수TV  

논산 돈암서원    • 논산시 연산면 돈암서원  2020년10월25일 은하수TV  

대구 도동서원    • 달성군 구지면 도동리 도동서원  2024년09월01일 은하수TV  
한국의 서원은 16세기 중반부터 17세기까지 조선 시대 지방 지식인들에 의해 건립된 대표적 사립 성리학 교육기관이다. 현재 한국에 있는 670여 개 서원 가운데 대표적인 9개 서원이 2019년 7월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연속유산으로 구성된 9개 서원은 한국의 서원이 하나의 유형으로 정립되는 과정은 물론 성리학이 동아시아 전역에 확산되어 지역적 특색을 가진 사례로 큰 가치를 지니게 되었다.
성리학자들은 강학과 성리학적 가치관을 바탕으로 세계를 이해하였고, 정기적으로 제향을 봉행해 학파의 결집을 도모하였으며, 교류와 유식을 통해 성리학에 부합한 향촌 교화 활동을 주도하였다.
서원은 제향 인물의 연고가 있는 지역에 입지하였으며, 성리학자의 전인적 교육에 적합한 자연환경을 선택하였다. 서원 내부는 제향을 올리기 위해 지은 건축물이 위치한 제향 영역, 유생들의 공부와 숙식을 위해 지은 건축물이 들어선 강학 영역, 서원 관계자들 모임과 유생들 휴식을 위한 교류 및 유식 영역으로 나뉜다. 성리학자들은 지형과 자연경관을 적극적으로 이용하여 하나의 서원 건축 전형을 완성하였다는 점에서 탁월한 가치를 지닌다.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된 9곳 서원의 특성■
①영주 소수서원(紹修書院): 1543년 한국에서 가장 먼저 설립된 서원이다. 한국 서원의 강학, 제향과 관련한 규정을 최초로 제시하여 이후 건립되는 서원에 영향을 주었다. 이와 관련한 문헌 자료도 풍부하다. 소수서원은 서원이 교육기관으로서 강학, 제향, 교류와 유식 등의 기능을 기본적으로 갖추어야 함을 제시하였다.
②함양 남계서원(濫溪書院): 1552년 한국에서 두 번째로 건립된 서원으로 지역 사림에 의해 설립된 최초의 사례다. 건축적으로는 한국 서원 건축의 전형적인 배치 형식이 처음 등장 했다. 각각의 주요 영역을 구분하여 하나의 축선상에 배치한 형식은 이후 건립하는 서원의 모범이 되었다.
③경주 옥산서원(玉山書院): 1572년 출판과 장서의 중심 기구로서 서원의 역할을 정립하였다. 건축적으로는 서원 영역 내에 교류와 유식 기능을 하는 누마루 형식의 무변루를 건립하였다. 옥산서원 이후 서원에 누마루를 건축하는 것이 일반화되었다.
④안동 도산서원(陶山書院): 1574년 이황의 도산서당을 기반으로 건립되어. 서원이 학문과 학파의 중심 기구로 발전하는 과정을 입증한다. 강당은 특이하게 4칸 구성이며, 대청 서쪽에만 방을 두어 비대칭을 이룬다. 자연경관이 뛰어나 일대 경관을 묘사한 다양한 작품이 남아 있다.
⑤장성 필암서원(筆厳書院): 1590년 영남 지역을 중심으로 시작된 한국의 서원 건립이 호남 지역까지 확산되는 과정을 입증한다. 기록물을 통해 서원의 경제적 운영 방식이 어떠했는지 알 수 있다. 이전의 서원들이 경사 지형을 이용하던 것과 달리, 이곳은 평탄한 지형에 적합한 건축물 배치 형식을 적용하였다.
⑥달성 도동서원(道東書院): 1605년 서원 교육 방식의 구체적인 양상을 입증한다. 경사지를 활용한 서원의 건축 배치를 탁월하게 구현하였다. 건축물별로 여러 개의 단을 조성하여 외부의 자연경관을 시각적으로 잘 받아들일 수 있도록 활용해 서원의 경사지 조성 기법을 잘 보여준다.
⑦안동 병산서원(屏山書院): 1613년 서원을 교육기관으로서의 기능만이 아니라 만인소 등 사림의 공론장으로 확대해 사림 활동 중심지로서 기능을 입증한다. 많은 학자를 수용할 수 있는 큰 규모의 누마루인 만대루는 자연경관과의 조화가 탁월하다.
⑧정읍 무성서원(武城書院): 1615년 한국 서원의 발전 과정에서 지역 단위의 지식인 집단을 중심으로 사회 전반에 성리학 이념이 확대된 서원의 양상을 보여준다. 성리학적 사회 질서를 교육을 통해 향촌에 뿌리내리고자 한 흥학처에 설립되었다.
⑨논산 돈암서원(避嚴書院): 1634년 성리학의 실천 이론인 예학을 논하던 서원으로, 응도당을 중심으로 다양한 예학 관련 연구가 진행되고 관련 저술이 출판되었다. 응도당은 동아시아 건축 이론을 예학 이념과 결합하여 완성한 건물로 한국에 유일하게 남아 있다.

Комментарии

Информация по комментариям в разработк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