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12.21(월) 19:00
석관동 예술극장
1부 전통춤
1. 김병섭류 설장고(앉은반)
가락이 다채롭고 화려하기로 유명한 김병섭류 설장고는 다스름, 휘모리, 동살풀이, 굿거리, 자진모리 24박, 호허굿, 자진모리, 좌우치기, 연풍대의 구성을 지니고 있다. 2020년 2학기 3학년 수업에서는 위의 가락들 중 3분박 계열의 장단을 학습하는 것이 목표였고 이에 따라 본 레파토리 공연에서는 다스름, 굿거리, 자진모리24박, 호허굿, 자진모리, 좌우치기, 연풍대의 구성을 모아 발표하고자 한다.
지도 및 구성 성윤선T
출 연 유미라(4학년)
김보경 김태린 문지윤 방주련 이하윤 조이정 최재원 최혜원 (3학년)
2. 고무악(鼓舞樂)
춤과 북 음악이 어우러진다는 의미를 담은 춤이 있는 타악이다. 강렬한 연주와 함께 여성무용수의 리듬감과 절도 있는 춤사위가 특징이다. 기존의 주로 사용되는 진행에서 탈피해 호남우도농악의 전통장단, 울림장단. 느린우질굿, 빠른좌질굿, 빠른우질굿, 굿거리, 풍유 양산도, 자진모리, 휘모리를 보다 적극적으로 활용한 작품이다.
지도 및 구성 박재순
출 연 강예은 김소연 김수지 김이연 박미소 오민주 이사랑 이시연 이재아 전혜정
황윤지 (2학년)
반 주 이상원 성유경 안태원
3. 호남검무(이매방류)
호남검무는 검무의 여러 유형중 향제 교방계열에 속하며 그 시조는 옥과 출신 명인 신방초선
생으로 알려져 있다. 호남검무는 한진옥류과 이매방류 두 갈래로 나눠지는데, 이매방류 호남검
무는 조부인 이대조(李大祚)의 춤맥을 이은 춤으로 광주 호남권 중심으로 전승되었다. 춤사위
는 손목을 위, 아래로 꺾거나 떨구는 동작, 허리를 굽히고 젖히는 동작, 상오리 동작, 칼을 겨
드랑 에서 빼는 동작, 칼끝을 땅에 대는 동작 등이 특징적이다
지도 및 구성 김용복
출 연 김나은 신윤지 안지영 장인회 정채빈 (1학년)
4. 입춤(국수호류)
즉흥무나 허튼춤 또는 굿거리춤 이라고도 하며, 굿거리장단을 타고 추는 춤의 기본으로 행위자에 따라 춤의 형식이나 방법, 음악이나 의상은 다소 변형이 따르기도 한다. 입춤은 전통무용의 기본춤의 성격을 지니며, 다른 민속무용의 기초가 되는 춤이라 할 수 있다. 그러면서 입춤은 하나의 독립된 춤의 장르를 이루며 훌륭한 양식을 이뤄낸다. 국수호류의 춤을 바탕으로 한명옥 교수의 호흡법과 춤의 원리로 재해석하여 기본춤으로 재해석한 작품이다.
지도 한명옥
재구성 및 출연 박준우 신현진 이동환 이민규 임경현 조유식 (1학년)
5. 세살시나위춤
시나위 장단의 변화와 선율에 한국적 춤사위를 얹어, 신전통춤 '세살 시나위춤'이라 하였다,
신전통춤 '세살 시나위춤'은 가느다란 살의 부채를 든 여인들이 교태와 우아한 자태를 뽐내며 추는 춤으로 장단과 음악의 흐름을 익히고 부드러운 곡선과 강약의 조화를 이루는 춤이다.
안 무 안덕기
출 연 서현지 유한나 최율리 김예지 김은경 김은이 김호연 유미라 윤효인 이예슬 이현영
정예영 정혜진(4학년)
6. 춘설
‘배정혜 춘설’은 황병기 가야금 음악, 밤의 소리와 우리 살풀이춤의 호흡을 근간해 안무된 시립무용단 정기공연 명작중 하나이자, 국립무용단 코리아환타지 레파토리의 하나이다. 현대 창작살풀이춤이라 불리우는 ‘춘설’은 절제된 호흡으로 땅의 기운과 하늘의 사랑을 전하는 메시지를 담고 있다. 무용수의 섬세한 음악적 해석력 및 절제미가 담긴 세련된 깊은 호흡으로 피어오르는 ‘춘설’은 하얀색 의상과 꽃으로 표현되고 있으나, 본 공연에서는 나무를 상징하는 검정의상과 눈이미지의 흰꽃 및 봄을 그린 보라꽃으로 구성하였다.
지도 및 구성 태혜신
출 연 방가람(3학년) 강예은 김규년 김소연 김수지 김이연 남정인 박미소 오민주 오푸름
이시연 이재아 전혜정 황윤지 (2학년)
7. 진도북놀이_전라남도 무형문화재 제18호 양태옥 박강열류 이노연제
전라남도 무형문화재 제18호 양태옥 박강열류 이노연제 '진도북놀이'는 양태옥류 박강열보유자의 해외공연용 솔로작품 춤사위가 기반이 된 민속춤으로 박병천류 진도북춤과는 차이가 있다.
2012년 무용전문인으로는 최초로 이수자가 된 이노연이 카타르시스(스트레스 해소)와 신명에 핵심적 가치를 두고 예술적 깊이를 더한 작품으로 흥과 신명이 깃든 우리 춤 고유의 풍미를 느낄 수 있을 것이다.
외북을 한쪽 어깨에 비스듬히 메고 춤추는 진도북놀이는 농경사회 농악, 줄틀린 모판을 양쪽 북채로 가르키며 즐겁고 흥겹게 마을의 결속력을 다지며 춤추는 것에서부터 유래되었다.
지도 및 구성 이노연
출 연 김나은 박준우 신윤지 신현진 안지영 이동환 이민규 임경현 장인회 정채빈 조유식 (1학년)
8. 산조 (내 마음의 흐름 명작무 1호)
신무용의 주자이면서 창작화에 몰두한 김진걸 선생이 가야금 산조에 춤사위를 실어 산조 춤을 만들었고 그의 춤 인생철학을 이 산조 춤에 실어 (내 마음의 흐름)이라는 작품으로 완성하였다. 이 작품 속에는 그만의 독특한 춤 언어가 내재되어 있다.
끊고 , 맺고, 어르고, 풀고 시원시원한 직선의 솔직함과 다정다감한 그의 성품이 배어 있으며, 섬세한 잔가락이 점철되어 그 누구도 흉내 내기 어려운 독창성이 돋보인다. 그리고 인생의 생로병사를 담아 득도에 들게 되는 춤, 김진걸의 인생을 담은 춤이라 할 수 있다.
지도 및 구성 유정숙
출 연 이준 남수빈 이도영 김동현 김원영 민경원 배진호 유희선 차연화 추세령 안영환 (전문사)
9. 호남우도설장구놀이
호남지역의 장구가락을 중심으로 류파별 명인들의 좋은가락과 동작들을 조합하여 구성한 작품이다. 섬세한 가락연주를 중심으로 학걸음,삼진삼퇴,전돌림,테돌림,까치걸음 등 여러동작들을 접목시킨 작품이다.
지도 및 구성 임영호
출 연 최율리 김은경 김호연 이현영 정예영 (4학년)
반 주 이상원 성유경 안태원
10. 장한가(長恨歌)
장한가는 국수호류 한량무로 조선 선비의 풍류를 춤으로 풀어낸 한량춤이다. 정형인류 남무와 박금슬류의 형상을 바탕으로 재구성되어 추어져 국립국악원 토요명품공연에서 초청되어2010년 관객이 뽑은 최고의 명인으로 손꼽힌바 있는 작품이다.
지도 및 구성 노해진
출 연 김태린 김보경 방가람 방주련 문지윤 조이정 이하윤 최혜원 최재원 (3학년)
11.소고춤
농악의 벅구놀이에서 시작된 소고춤은 나무와 가죽으로 만든 악기인 북 중에서 가장 작은 것으로 굿거리, 자진모리, 동살푸리, 휘모리 등 다양한 가락에 맞추어 소고를 두드리면서 활동적인 발디딤과 대삼, 소삼, 몸짓으로 어우러져 신명을 풀어내는 춤이다.
지도 및 구성 한명옥
출 연 서현지 유한나 최율리 김예지 김은경 김은이 김하림 김호연 유미라 윤효인 이승찬 이예슬 이현영 정상화 정예영 정혜진 (4학년)
Информация по комментариям в разработк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