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 철자를 정상화하려 한 사람들: 철자 개혁론

Описание к видео 영어 철자를 정상화하려 한 사람들: 철자 개혁론

영어는 비합리적인 철자법으로 악명 높은 언어입니다. 18세기에 영어 철자가 고정된 이래, 19세기 말부터 20세기 말까지 영어 철자 개혁론의 목소리는 끊이지 않고 제기되었습니다. 이 영상에서는 지난 2세기 간 영어 철자법을 개선하려고 했던 시도들을 예문과 함께 간략하게 소개합니다.

〈타임라인〉
00:00 도입부
00:35 영어 전통 철자법의 문제
02:10 영어 철자가 복잡해진 원인
04:22 철자 개혁론의 간단한 역사
07:24 개혁안 사례 소개
07:35 개혁안 – 글로식 Glossic
08:14 개혁안 – 로믹 Romic
09:29 개혁안 – 간략 철자 Simplified Speling
10:41 개혁안 – 뉴 스펠링 Nu Speling
10:55 개혁안 – 초기 지도 알파벳 i.t.a.
12:29 개혁안 – 컷 스펠링 Cut Spelng
13:47 결론

〈참고문헌〉
・Alexander John Ellis. 1890. English Dialects — Their Sounds and Homes. Trench, Trübner & Co.
・International Phonetic Association. 1999. Handbook of the International Phonetic Association.
・山口美知代(2009)『英語の改良を夢みたイギリス人たち―綴り字改革運動史』開拓社

3년 간 심혈을 기울여 완성한 책: 《향문천의 한국어 비사》는 한반도를 중심으로 한국어와 주변 언어 간의 언어 접촉의 역사를 통시적으로 훑어보는, 말하자면 한국어의 회고록입니다.
특설 페이지: https://www.bungbungnue.com/bisa

제1장에서는 세상에 알려진 한국어에 얽힌 잘못된 통념을 바로잡고 독자 분들께서 역사언어학이라는 생소한 분야에 가까워질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합니다. 제2장은 고대 한국어가 주변 언어에 미친 영향과 전근대 시기의 외국어 학습 방법에 대해 설명합니다. 제3장은 고유명의 언어학적 분석을 통해 고대사의 비밀스러운 일면을 들여봅니다. 제4장은 격변하는 근대에 홍수처럼 몰려온 언어의 변화를 동북아시아를 중심으로 검토합니다.

이 책은 한국어의 국제성을 시대 별로 돌아보며 한국어의 위상과 입지의 변화를 조망하고, 이를 통해 언어의 역사를 연구하는 역사언어학의 놀라운 힘을 체험할 기회를 선사합니다. 한국어의 역사를 탐구하는 것은 그 자체로도 즐거운 행위이지만, 섬세하게 맞춰진 여러 퍼즐 조각들이 짜맞춰지면서 숨어 있던 언어 외적인 사실들이 선명하게 드러날 때 역사언어학의 진가를 체감할 수 있습니다. 한국어와 주변 언어 간의 접촉으로 생겨난 언어교류의 거대한 물결을 통시적으로 탐구하여 소개한 대중서는 여태껏 없었습니다. 《향문천의 한국어 비사》는 그 첫 번째 책입니다.

Artlist는 저작권 걱정 없는 고품질 스톡 영상, 음악, 효과음, 템플릿, 플러그인을 하나의 라이선스로 모두 제공하는 서비스입니다. 구독 기간 중에 받은 콘텐츠는 평생 간직하여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아래의 링크를 통해 구독하시면 추가로 2개월을 무료로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https://artlist.io/referral/2169082/b...

채널에 가입하여 혜택을 누려보세요.
   / @bungbungnue  

웹사이트: https://www.bungbungnue.com
제휴: https://bungbungnue.com/affiliate
연락: [email protected]

Комментарии

Информация по комментариям в разработк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