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생 최고의 철학 “중용” (진짜 중요ㅇ함)

Описание к видео 인생 최고의 철학 “중용” (진짜 중요ㅇ함)

편집 : 장관 (김엽)
디자인 : 차관 (박혜진)

[참고 문헌]
* 인용은 따로 본문에 각주로 표기합니다
* 꺽쇠 괄호 표기X

나종석. (2013). 인권에 대한 유교적 정당화의 가능성에 대한 연구. 다산과 현대,(6), 187-230.
박지혜. (2015). 유교사상에 나타난 사회성 교육 고찰 -仁, 禮, 恕의 개념을 중심으로-. 열린교육연구, 23(2), 1-17.
정미량. (2018). 한국 다문화 교육과 전통 유교 교육 문화의 접맥(接脈). 퇴계학논집, 23, 427-458.
김백희. (2018). 신과학기술혁명시대의 유교윤리주체. 동서철학연구, 89, 391-411.
이충한. (2020). 유교의 인간관과 사회정의 - 롤스의 정의의 원칙의 정당화 문제를 중심으로 -. 철학논총, 100, 163-184, 10.20433/jnkpa.2020.04.100.163
임헌규. (2023). 동서철학의 지평에서 본 유교 인성론. 태동고전연구, 50, 287-312.
이상호. (2020). 유교 평화론에 관한 연구. 윤리교육연구,(58), 325-354.
김흡영. (2022). 도(道)의 신학이란 기독교와 유교의 만남과 도의 신학: 칼 바르트와 왕양명. 기독교사상, 757, 131-141.
신정근. (2020). 유교 경학의 전개와 현대적 방향 연구 사고전서총목제요의 ‘육변설’을 중심으로. 동양철학연구,(103), 127-159.
김우진. (2018). 유교 상속의 공정성: 분재기를 중심으로. 퇴계학논집,(23), 491-512.
임헌규. (2016). 유교에서 죽음의 의미 : 논어와 그와 연관된 栗谷의 해석을 중심으로. 온지논총,(47), 161-187.
이영찬. (1997). 유교 합리성의 모색. 한국사회과학연구, 16, 111-123.
이은선. (2015). 다른 유교, 다른 기독교. 양명학,(42), 235-276.
장승희. (2019). 유교 행복담론의 도덕교육적 함의. 윤리연구, 1(127), 1-28.
이일래. (2020). 의례문화의 변화와 공동체성: 유교적 관점에서. 한국학논집, 81, 29-60.
황경선. (2020). 중용의 중(中)과 하이데거에서 존재. 철학논총, 102, 459-486, 10.20433/jnkpa.2020.10.459
장승희. (2015). 중용에 나타난 유교생태윤리의 실천원리 탐구. 환경철학,(20), 29-62.
문빛, 이유나. (2011). Public Relations 윤리에 대한 소고. 영상문화콘텐츠연구, 4, 5-25.
임헌규. (2018). 유교 인문학의 이념과 의미. 온지논총,(57), 169-193.
임헌규. (2018). 인공지능시대 유교 심성론의 의미- 공맹과 퇴계를 중심으로-. 대동철학, 84, 123-143
장복동. (2021). 유교윤리의 사회통합적 가능성과 한계. 공존의 인간학,(5), 7-46, 10.37524/HUCO.2021.02.5.7
홍승표. (2015). 유교 마음 공부의 탈현대적 함의. 한국학논집, 60, 189-208.
정용환. (2007). 다원주의 사회에서의 仁개념. 동양철학연구,(49), 459-485.
이희재. (2006). 동아시아 문화의 특성과 문화적 삶. 한국사상과 문화,(34), 361-382.
이상호. (2017). 時代精神과 유교의 역할. 동양철학연구,(91), 73-109, 10.17299/tsep.00.91.201708.73
이상호. (2007). 유교의 悅樂 사상 硏究. 동양철학연구,(49), 117-152.
황성규. (2015). 청소년 인성교육 방향 모색을 위한 유교의 배려 이론 고찰. 한국철학논집,(44), 149-177.
황성규. (2015). 청소년 인성교육 방향 모색을 위한 유교의 배려 이론 고찰. 한국철학논집,(44), 149-177.
임헌규. (2010). 유교의 이념. 동양고전연구,(40), 7-31.
김세종. (2022). 유교사상에서 중中 개념의 의미 차이에 따른 정의(義) 관념의 차이 고찰. 중국학논총,(73), 277-308.
홍순목. (2006). 공자의 유교윤리에 있어서 도덕교육단계론. 도덕윤리과교육,(22), 313-336.
이상호. (2009). 五福 개념을 통해 본 유교의 행복론. 동양철학연구,(60), 133-162.
임헌규. (2022). 四書의 심성론적 연구. 온지논총,(71), 179-205.
김현미. (2019). 유학의 교육 기능 회복을 위한 중용(中庸)의 현대적 해석 방향 모색 —주희(朱熹)와 정약용(丁若鏞)의 해석을 바탕으로—. 동양철학연구,(98), 135-166.
이유은. (2019). 자기실현의 관점에서 본 융합교육: 중용을 중심으로. 인격교육, 13(3), 157-179.
신창호. (2002). '중용'의 교육사상 고찰. 교육철학연구,(28), 127-146.
서은숙. (2009). 『中庸』의 天人心性合一 修養論. 동양고전연구,(35), 243-274.
박경환. (2011). 실천유학의 유교문화권을 위한 구상과 제언. 안동학, 10, 253-273.
이창호. (2022). 생명에 관한 간문화적 성찰: 슈바이처, 유교, 서남동의 ’생명’과 ’인간과 자연의 관계성’ 이해 비교를 중심으로. 선교와 신학, 56, 345-389, 10.17778/MAT.2022.02.56.345
임헌규. (2011). 유교의 인간이상과 보편적 가족주의. 동양고전연구,(45), 337-361.
김보경. (2014). 유교 사상을 통한 소외 개념의 구성. 한국학논집, 55, 109-147.
홍승표. (2008). 유교사상을 통해 본 다문화사회. 철학연구, 107, 69-89.
이봉규. (2013). 인륜 : 쟁탈성 해소를 위한 유교적 구성. 태동고전연구, 31, 109-153.
채석용. (2020). 혈연중심의 유교 윤리와 진화심리학적 이타성. 초등도덕교육,(67), 347-387.
김도일. (2018). 유교 가족주의의 이중성. 철학, 135, 1-22, 10.18694/KJP.2018.05.135.1
김상현. (2018). 4차 산업혁명 시대, 유교의 가족주의 비판에 대한 재평가. 철학연구,, 1-43, 10.20293/jokps.2018.145.1
박노식. (2021). 마태복음의 의(δικαιοσύνη)와 『중용』의 성(性)에 관한 고찰 - 존재의 실천원리로서 의와 성. 신약논단, 28(1), 39-71, 10.31982/KNTS.2021.3.28.1.39
황경선. (2019). 존재론적 관점으로 본 『중용中庸』의 중中 개념. 철학탐구, 55, 1-30.
박병만. (2020). 『중용』 치중화致中和의 공효 실현 과정에 대한 율곡과 다산 해석의 현대적 함의. 국학연구, 42, 105-135.
박경자. (2016). 중용의 문학치유적 고찰. 동북아 문화연구, 49, 155-171.
음영철. (2016). 동서양 인문고전을 활용한 청소년 인성교육 방안 니코마코스 윤리학과 중용을 중심으로.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6(12), 171-181.
서세영. (2014). 퇴계 이황의 중용해석. 동양고전연구,(54), 45-76.
이기원. (2014). 중용과 관용. 인문과학연구, 40, 475-500.
민황기. (2003). 중용(中庸)에 나타난 세계관과 인간이해. 철학연구, 85, 187-205.

Комментарии

Информация по комментариям в разработк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