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생인류 이전 존재했던 수많은 인류, 인간의 기원을 찾아서│현생인류가 된 호모 사피엔스(Homo sapiens)│명작 다큐프라임, 사라진 인류 몰아보기│다큐프라임│

Описание к видео 현생인류 이전 존재했던 수많은 인류, 인간의 기원을 찾아서│현생인류가 된 호모 사피엔스(Homo sapiens)│명작 다큐프라임, 사라진 인류 몰아보기│다큐프라임│

※ 이 영상은 2016년 11월 28일에 방송된 <다큐프라임 - 사라진 인류 1부 ~ 2부>를 편집해 재가공한 영상입니다.

제 1부 멸종

현생인류 이전에 수많은 인류가 있었다. 그들은 다 사라지고 우리만 외롭게 남았다. 극한 환경에 적응해 살았던 인류의 혹독한 삶을 만나기 위해 호모 하이델베르겐시스와 파란트로푸스 보이세이와 네안데르탈인의 시대로 가본다.
① 인간다움의 시작. 큰 덩치의 호모 하이델베르겐시스(일명 ‘골리앗’)는 맹수가 가득한 위험천만한 환경에 대처하기 위해 몸집을 키웠다.
무리생활을 하며 포식자들로부터 자신을 보호했고, 죽은 자를 기억하는 의식을 치르기도 했다. 고차원의 사고를 발달시켰음에도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진 이들의 험난한 삶을 재연해본다.
② 생존을 향한 또 다른 분투. 우리 이보다 네 배나 큰 어금니 때문에 ‘호두까기맨’이라 불리는 파란트로푸스 보이세이가 있었다. 빈약한 식물성 식단으로 신체를 유지하기 위해 깨어있는 상당 시간 음식물을 씹어야 했던 이들은 뇌보다 위를 발달시켰다. 뇌를 진화시킨 인류에게 결국 패배한 이 ‘호두까기맨’의 일생을 파헤쳐본다.
③ 꽃피는 언어와 문화. 빙하시대에 살았던 네안데르탈인은 언어와 장례의식 등으로 인간다운 특징을 더 보이며 혹독한 환경을 헤쳐나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라진 그들. 마지막 생존자의 이야기를 되짚어본다.
이렇듯 거의 모든 인류는 멸종했다. 우리라고 예외일 수 있을까. 사라진 인류와 현재 우리의 생존기는 처절하다.

제 2부 생존

인간이 인간일 수 있는 조건은 무엇일까. 그 수수께끼를 풀기 위해 지금은 사라졌지만 참으로 비범했던 생존자, 호모 플로레시엔시스와 아르디피테쿠스 라미두스를 만나본다.

① 인류에 대한 정의를 다시 쓰다. 작은 체구 때문에 ‘호빗’이라 불리는 호모 플로레시엔시스는 키가 1미터 남짓으로 매우 작다. 인도네시아의 외딴섬 플로레스에 살았던 이들은 불과 1만2천 년 전까지도 우리와 함께 살았던 것으로 추정된다. 뇌가 겨우 오렌지 크기였지만, 도구를 사용하고 사냥을 했던 그들. ‘호빗’의 발견은 우리가 알고 있던 인류의 계보와 진화사가 아주 작은 부분에 지나지 않았음을 알려주었다.

② 미지로의 전진, 이족보행. 나무 위에 둥지를 짓고 살아 ‘타잔’을 떠올리게 하는 아르디피테쿠스 라미두스는 400만 년 전 살았던 인류다. 인간보다 침팬지에 더 가까운 생김새에 뇌 용량도 500cc로, 유인원과 크게 다르지 않았다.
어느 날, 그들이 포식자로부터 안전한 나무 위 둥지에서 땅으로 내려와 두 발로 걷기 시작했다. 그 걸음은 인류 역사의 거대한 첫걸음이었다.

✔ 프로그램명 : 다큐프라임 - 사라진 인류 1부 ~ 2부
✔ 방송 일자 : 2016.11.28

#TV로보는골라듄다큐 #다큐프라임 #인류 #인간 #멸종 #생존 #지구 #원시 #호모사피엔스

Комментарии

Информация по комментариям в разработк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