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토리가 있는 조선왕릉 테마 기행 '비운테마', 광해군과 문성군부인 광해군묘-태믹스의 역사지식문화 콘텐츠

Описание к видео 스토리가 있는 조선왕릉 테마 기행 '비운테마', 광해군과 문성군부인 광해군묘-태믹스의 역사지식문화 콘텐츠

그런데 건국초기 정종을 몰아낸 태종과 단종을 폐위시키고 즉위한 세조의 경우는 반정이라고 하지 않습니다. 대체 무엇을 반정이라고 하는 걸까요?
반정(反正)은 왕조의 정통성은 유지한 채 왕위만 교체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때 '반'(反)은 돌이킨다는 뜻으로 정통으로 돌아가거나 어긋난 정도(正道)를 회복한다는 뜻입니다.

조선사에서 두 번의 반정은 1506년 연산군을 축출한 중종반정과 1623년 광해군을 축출한 인조반정입니다. 이때 반정의 명분으로 연산군은 폭정과 패륜을, 광해군은 영창대군 살해와 인목대비의 폐비에서 찾았습니다.

두 임금 모두 시호와 묘호도 받지 못해 '군'(君)으로 불렀으며, '실록'도 '일기'(日記)라 하여 편찬됐습니다. 그런데 오늘날 편찬과정이 지나치게 패륜을 강조하려는 의도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고 있으며, 객관성에 의심을 품는 시각으로 보기도 합니다. 더구나 이 책을 편찬했던 사람들이 반정을 주동했거나 방조한 세력이라는 사실을 감안하면 편파적일 수밖에 없다는 것입니다.

이 같은 견해로 인해 광해군은 같은 반정에 의해 폐위된 연산군과는 평가를 달리해야 한다고 합니다. 과연 광해군은 어떤 인물이었으며, 반정의 희생자란 얘기가 나온 걸까요? 의문과 함께 광해군이 묻힌 경기도 남양주시로 발걸음을 향해 봅니다.

Комментарии

Информация по комментариям в разработк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