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국악원 토요명품공연[2015.11.07.] 03. 본령·해령(Bollyeong , Haeryong)

Описание к видео 국립국악원 토요명품공연[2015.11.07.] 03. 본령·해령(Bollyeong , Haeryong)

03. 본령·해령
세종 당시 만들어진 여민락은 원래는 용비어천가 한문가사를 노랫말로 하는 음악이었다. 여민락은 조선후기를 거치면서 네 가지 악곡으로 분화되어 전승되었는데, 여민락만, 본령, 해령은 관악합주로 연주되는궁중음악이며, 관현합주 여민락은 민간의 풍류음악으로 전승된 음악이다. 궁궐의 중요한 행사가 있을 때임금이 편전에서 나와서 행사 장소까지 가마를 타고 가서 어좌에 앉을 때까지 연주하는 음악을 출궁악이라 하고, 행사가 끝나고 임금이 어좌에서 일어나 가마를 타고 편전까지 돌아갈 때 연주하는 음악을 환궁악이라 한다. 15세기부터 18세기까지 출궁악으로는 여민락만, 환궁악으로는 여민락령(본령)이 연주되었다. 해령은 본령을 풀어서 변주하는 연주곡을 말한다.

03. Bollyeong·Haeryong
Yeomillak was originally a song set to the Sino-Korean text of Yongbieocheonga, which is known to have been composed by King Sejong the Great, but it diverged into four variations in the late Joseon dynasty, which have been passed down as such. Yeomillakman, Bollyeong, and Haeryeong are court music performed by wind ensemble whereas Yeomillak, which is orchestral, has been passed down as civilian Pungnyu music.
There are musical differences between the first three pieces and Yeomillak, as the first three were used for Kings’ processions while Yeomillak developed its own gracious style in private chambers. Between the 15th and 18th centuries, Yeomillak-man was performed when the king left his palace to proceed to an event venue, and Bollyeong was performed as he traveled back to his palace. Haeryeong is a variation on Bollyeong.

○ 집박/김기동, 피리/양명석·황규상·김성진·윤형욱·김성준·이종무·김인기, 대금/노붕래·최성호·문응관·김기엽·김휘곤·이승엽·이종범
○ 해금/황애자·윤문숙·류은정·전은혜·사현욱·공경진, 소금/김백만(준단원), 아쟁/김창곤
○ 편종/김형섭, 편경/조인환, 장구/박거현, 좌고/조성욱(준단원)

○ 주최 및 촬영/국립국악원[National Gugak Center]

Комментарии

Информация по комментариям в разработк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