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각연구소] 갑작스러운 상실에 대한 애도 심리학…슬픔을 건강하게 극복하는 방법은? / YTN 사이언스

Описание к видео [생각연구소] 갑작스러운 상실에 대한 애도 심리학…슬픔을 건강하게 극복하는 방법은? / YTN 사이언스

■ 이동귀 / 연세대 심리학과 교수

[앵커]
사랑하는 사람을 갑자기 떠나보낸다면 그 충격이 더욱 클 텐데요. 유족들의 대부분은 상실감을 극복하기 힘들다고 합니다. 애도의 과정을 통해 슬픔을 치유하는 방법은 무엇일까요?

오늘 '생각연구소'에서는 '갑작스러운 상실에 대한 애도 심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연세대학교 심리학과 이동귀 교수와 함께합니다. 교수님 어서 오세요.

모든 죽음은 슬프고 힘들죠. 그런데 오랜 지병처럼 예상된 상실보다 사고로 인한 그런 갑작스러운 이별이 훨씬 더 강한 트라우마를 남긴다고 들었습니다. 어떤가요?

[인터뷰]
모든 죽음은 사실 큰 상처를 남기기 마련이죠. 남아 있는 분들한테 고통스러운 순간이니까요. 근데 이제 갑작스러운 상실을 경험하게 되면 미처 준비하지 못한 상태에서 상실을 경험하니까 그 자체가 극복하기 훨씬 더 어렵게 됩니다.

느끼는 어려운 점이 어떤 것인가 하면 이게 큰 대비현상이 있어요. 자신의 소중한 사람이 사망해서 대단히 슬픔 속에 있는데 나를 제외한 다른 세상은 평온하게 그대로 진행되는 것 같거든요. 그 둘이 너무 대비되니까 이 불일치감을 자기가 어떻게 수용해야 할지 잘 가늠이 안 되는 것이죠. 그래서 사고로 가족을 잃은 유가족의 슬픔, 그들이 겪는 증상들을 '외상 후 애도 증후군'이라고 새롭게 불리고 있습니다.

외상 후 애도 증후군인데 가장 많이 알려진 외상 후 심리 스트레스 장애가 있잖아요. PTSD 하는 여러 가지 충격적인 사건을 경험하게 되었을 때 신체나 심리적으로 당하는 이런 증상을 말하는 데 거기에 사랑하는 사람과의 이별에서 오는 우울이라든지 불면, 공황증상, 이런 것들을 합치면 애도의 느낌이 있잖아요. 애도 증후군을 결합한 '외상 후 애도 증후군' 이 말은 사실 세월호 참사 이후에 국내 여러 전문가들로부터 많이 사용되는 용어입니다.

[앵커]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가 어떤 사고를 겪고 나서 그 사고에 대한 공포가 주원인이라면 '외상 후 애도 증후군'은 사랑하는 사람과 같은 상실로 인한 슬픔이 작용한다는 말씀인데요. 외상 후 애도 증후군, 구체적으로 어떤 증상이 나타나나요?

[인터뷰]
사실 어느 정도는 상실을 경험했을 때 시간이 6개월 정도 지나면 자발적으로 나아지는 상태가 되거든요. 그런데 그렇게 시간이 흘렀는데도 불구하고 여전히 그 슬픔이라든지 사망한 사람에 대한 기억이 계속 나서 아무 일도 할 수 없다든지 그 고통을 계속 느끼는데, 특히 이렇게 고통이 길어지는 이유 중 하나가 사망의 원인에 대해서 자기 탓을 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또 하나는 있을 때 좀 더 잘해줄 걸 그랬다는 죄책감이 많이 느껴질 경우에 이 애도 과정이 잘 진행이 안 되기 때문에 애도 증후군 자체가 계속 지속할 수 있는데 심할 경우에는 일상 사회생활 자체가 안될 수 있고 아주 심할 경우에는 자살 충동을 느끼게도 한다고 합니다.

[앵커]
이렇게 갑작스러운 상실을 겪게 되는 경우에 심리적인 변화의 단계가 있다고 들었거든요. 어떤 변화를 겪게 되나요?

[인터뷰]
사실 상실 경험을 하면서 애도를 해야 하는 그런 단계가 있는데 학자에 따라서 4단계도 있고 5단계도 있고 6단계도 있는데 가장 간단한 4단계를 설명해 드리면 첫 번째 단계에서는 충격과 무감각의 시기라고 하는데요. 사랑하는 사람이 떠났을 때 사람들이 가장 흔하게 보이는 반응이 무엇이냐 하면 이것이 사실일 리가 없다는 부정하는 마음 그리고 실제로 그 현실 자체를 직면하고 싶어 하지 않고 회피하려고 하는 태도가 매우 많은데, 사람에 따라서 개인차가 있어서 두 가지 방향으로...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https://science.ytn.co.kr/program/pro...

Комментарии

Информация по комментариям в разработк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