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품권 핀 번호' 신종 피싱 주의 / KBS뉴스(NEWS)

Описание к видео '상품권 핀 번호' 신종 피싱 주의 / KBS뉴스(NEWS)

문화상품권에 적혀 있는
'핀 번호'는 온라인에서
현금처럼 쓸 수 있지만
범죄에 이용되면 추적이 거의 불가능한데요.

대출 금융기관으로 속여
핀 번호만 가로채는
신종 보이스피싱이 기승을 부리고 있습니다.

성용희 기자가 보도합니다.

한 남성이
편의점으로 들어오더니,
통화 중이던 휴대전화를
편의점 주인에게 건넵니다.

문화상품권 3백만 원어치를
구매하라는 전화를 받고
구매 방법을 물어보는 겁니다.

대출 회사로 속인 보이스피싱 일당은
이 남성에게 3천만 원 대출을 받으려면
수수료를 먼저 내야 한다며
문화상품권 핀 번호를 요구했습니다.

[인터뷰]주혜진/편의점주
"문화상품권 얼마짜리 금액이 제일 큰
금액이냐고 팔 수 있는 게. 5만 원짜리라고 했더니
그러면 3백만 원어치를 줄 수 있냐고 해서..."

하지만 수상한 낌새를 챈
편의점 주인이 전화를 끊고
파출소로 가볼 것을 권해
가까스로 피해를 막았습니다.

문화상품권 앞면을 긁으면
이렇게 핀 번호가 나오고
영수증 형태는 핀 번호가 적혀 있는데요.

이 번호만 있으면
인터넷 사이트에서 쉽게 현금화 할 수 있습니다.

또 게임머니 등으로
'돈세탁'도 가능하다보니
최근 범죄의 표적이 되고 있습니다.

앞서 지난 3월에도
같은 편의점에서 동일 수법으로
상품권 50만 원어치의
대출사기 피해가 발생했습니다.

[인터뷰]김현정/대전지방경찰청 수사2계장
"상품권을 대량으로 구입해서 보내는
고객들이 있으면 보이스피싱을 의심하고
경찰에 신고해달라는 내용의 홍보 전단을
배포하고 있습니다."

경찰은 특히
상품권 핀 번호는 한 번 사용하면
환급이 불가능하다며 주의를 당부했습니다.

KBS 뉴스 성용희입니다.

Комментарии

Информация по комментариям в разработк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