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라벌여성국악단/ 사단법인 여성국극예술협회/ 옥보 김옥진 육자배기 전국대회/ 전 국악협회 이사장/ 홍성덕 명창의 육자배기 중 흥타령 전곡 영상.
여성국극, 때로는 방송 프로그램을 통해
작품을 재현하고 한동안 그 단체 이사로 활동하면서
여성국극의 부활에 품을 보탰다.
지금 드라마 바람에 눈길 돌리는데
언제나처럼 단풍지고 눈 내리면
식을 게 뻔하다.
여성 소리꾼들의 순수한 열정과 우정
그리고 우리가 살고픈 세상에 대한
눈물과 사랑에 할 이야기가 태산만 같을까.
60년 전에 전에 극단 숙식비가 쌓였는데
여관집 주인네 부부가 그만 국극에 빠져
무대에서 깃발 들고 똘똘이로 나섰던 사연이며....
여기 여성국극의 산 증인 중 한분.
국가로부터 은관문화훈장을 받은 분.
북한공연 8회 기록을 가진 분.
그 어머니는 옥보 김옥진 명창이고
집안에 동학혁명 때 대장으로 전주완산칠봉에서
전사한 홍필현의 후예이며 전주 판소리를
이끈 명고수 홍두환 명인 딸인
홍성덕 명창 흥타령을 최근 찾아 편집해 전하며
국악엔 이런 펄떡이는 역사가 살아 있다는 거
돌아봤으면 싶다. (페이스북 게시글)
“풍류당TV” 안내 010 8885 2232 /풍류당 대표 김병준 작가/ 보라사부 남궁성례 강의 판소리 민요 가야금 산조 병창. 구음 굿소리 가무악 특별강좌 //서울 종로 낙원동 / 풍류당 보라사부 남궁성례 작곡의 가무악을 위한 구음 중 기초구음 강좌. 소리를 위한 발림춤 강좌개설. Borasabu. 풍류당 대표 김병준 작가 이력 경력 활동상. 김병준풍류당TV
다음카페 “풍류당”, http://cafe.daum.net/991samo 전통음악 전통문화 사랑하는 국악사랑 풍류당 동호인들이 악보와 함께 국악 배우는 동영상. 생활 속에 판소리와 남도민요 부르자며 모인 ‘풍류당’ 사람들, 장단 연습과 남도민요 육자배기, 자진육자배기, 흥타령 배우고 이어서 판소리 유명 대목 배워 불러보는 강습회 동영상. 취재와 촬영 편집 업로드는 김병준 작가가 진행하고 있습니다. 풍류당 동호인 활동 문의사항은 김병준 이메일로 전해 주세요. [email protected]
풍류당 보라사부 남궁성례님은 국가무형문화재 정권진 명창, 김소희 명창, 오정숙 명창 문하에서 판소리 심청가, 춘향가, 흥보가를 배웠고 국립전통예술고등학교와 한양대 음대를 졸업하고 중앙대 대학원에서 판소리를 연구한 후 2011년부터 풍류당에서 대중강좌를 열고 있는 소리꾼. ‘가무악을 위한 구음’을 작곡 대중에게 지도했으며, ‘흥타령 가야금병창’을 작 편곡하여 지도하면서 전통무용인 살풀이와 승무 북춤등을 배워 지도하고 있음. 풍류당 대표 김병준 작가 작품소개 김병준작가 이력경력 활동상. 1981년 KBS 3TV ‘시조와 창’ 작가를 시작으로 KBS TV와 라디오에서 국악공개방송, 마당놀이 뺑파등 창작 창극을 30여편 발표했으며 교육방송 국악프로, 교통방송 전통문화 프로그램. 국군방송 라디오 사극 ‘산하의 숨결’ 국방홍보원, 역사극, 국악방송에서 일일 시사 프로그램 ‘우면골 상사디야’ 집필했으며, 1998년 정부수립 50주년 기념 중앙국립극장 ‘창극 백범김구’ (김명곤 연출, 박범훈 작곡) 1998년 국립국악원 예악당 국내 최초 경서도 소리극 ‘남촌별곡’ 등을 발표했으며 2017 9월부터 KBS한민족방송 ‘전통으로 소리길로’ 집필 취재 방송출연 하며 국악을 널리 알리는데 일조했습니다. ‘풍류당TV’를 통해 4천 5백여개의 영상 미디어를 온누리에 알리면서 우리 전통문화와 국악예술을 알리는데 앞장서고 있습니다.
‘풍류당’ 사람들 카페는 http://cafe.daum.net/991samo
풍류당에서 판소리, 남도육자배기, 가야금 산조와 병창, 국악발성을 지도하는 보라사부-Borasabu- 남궁정숙님은 한양대와 중앙대 음악대학원에서 판소리를 전공했으며, 중요무형문화재 5호 정권진, 김소희, 오정숙명창에게 사사. 강종철 명창에게 정정열제 소리를 수학했으며, 한양대 음대에서 음악정교사 자격취득. 동아일보사 동아문화센터 판소리 남도민요 부문 지도교수를 했고, 현재 국악사랑 풍류당 판소리 남도민요 지도사부. 가야금산조는 함동정월류(최옥삼류)와 성금연류 사사. 2017전주대사습놀이 가야금병창 심사위원. 2010-現 사회적기업 극단 창작마을 단원/ 자문위원
2921 임진택 창작판소리 입체창극 ‘안중근전’ 모친역
2022 ‘가무악을 위한 구음’ -기초.중급 고급편 작곡
2010- 풍류당 판소리 남도창 가무악 대중강의 (보라사부)
유튜브 강의영상 3천 4백여편 게시
現 오선보 채보-박녹주제 흥보가, 보성소리 춘향가, 심청가. 기타
보라사부 채보한 판소리악보집과 판소리음반, 육자배기음반, 가야금산조음반 제작도 준비하고 있습니다.
김병준 작가, 풍류당 대표 김병준 작품활동 소개
김병준 작가는 1981년 KBS제3TV ‘시조와 창’을 통해 방송계 입문하여 2024년 현재까지 43년째 방송작가로 활동하고 있다.
김병준 자가는 풍류당 대표로 유튜브 ‘김병준 풍류당TV’ 제작자로 활동하며
2023년 현재까지 4천 5백여편의 영상을 업로드 하고 있다.
풍류당 대표인 김병준 작가는 성균관대학교 유학대학원에서 한국유학사상을 공부했으며, 1979년 재단법인 민족문화추진회(民族文化推進會) 국역연수원 및 국역연구원(國譯硏修院 및 硏究院) (현, 한국고전번역원) 에서 사서오경등 중국고전과 한국고전을 연구한 한문고전 번역가이기도 하다.
김병준 작가 작품활동과 사회 활동을 보면 1992.2월 ‘한.중.일 안중근 자서전 학술세미나 (최서면박사 주관)에서 안중근 한문 자서전 서문초록 번역 발표 했다.
(국제학국학연구원)
김병준 작가는 대통령 행사와 해외 국빈행사에 참여했다. 1993.8.15. 한국방송인 단체인 ‘여의도클럽’의 김영삼 대통령초청행사 ‘개혁축가’인 ‘신한국 큰길이 열렸구나’를 작시하였고 성창순 명창이 김영삼 대통령과 방송인들 앞에서 발표 하였다.
김병준 작가 대통령 행사는 1997.10 용산국립중앙박물관 기공식 당시, ‘문화전당 이 터전에’란 축가를 지어서 성창순 명창이 김영삼 대통령 앞에서 기공식축가로 올렸다. (문화체육부)
해외국빈방문 행사 참여는 2023년 12월 12일 윤석열 대통령 네델란드 국빈방문 축하행사 중 김병준 작시, 신영희 명창 소리로 '꽃들의 낙원 벗을 찾아, 한강 암스테르담으로 흐르다' 축가를 지어 무대에 올려졌다.
김병준 작가 주요작품 중 1998.8.15. 정부수립 50주년 기념 중앙국립극장 ‘백범 김구’ 극본을 써서 국립창극단. 국립극단. 국립무용단. 국립관현악단 합동무대로 김명곤 연출, 안숙선 작창. 김병준 창극대본 ‘백범 김구’를 올렸다.
김병준 작가 방송활동은 1981년부터 현재까지 KBS한국방송. 국군방송. 국악방송. 한민족방송. 교통방송. 교육방송 채널을 통해 1만6천시간 방송기록을 가지고 있다.
김병준 작가 주요방송 프로그램은 1984-2006 KBS 1라디오, KBS 2라디오. 사회교육방송.한민족방송‘ 등에서 흥겨운 우리가락’(진행자. 김성녀. 김영화) ‘전통으로 소리길로’(진행자 김종엽. 김영화) 집필하며 여러 창극무대, 특집무대. 공개방송 프로그램을 집필 제작했다. 김병준 마당놀이 ‘뺑파96’-KBS1TV 추석특집 방송.
김병준 작가는 1989년부터 국군방송국에서 ‘전통의 오솔길’등을 집필하며, 1995년부터 2003까지 국방부 국군홍보관리소 국군방송국에서 일일 역사 드라마 ‘산하의 숨결’ 2000여회 걸쳐 집필 제작하였고, 2012에서 2014 까지 국방부 국방홍보원 국군방송에서 역사 드라마 ‘호국의 숨결’ ‘여기에 섰다’ 집필 제작하였다.
방송작가 김병준은 2001년부터 2016년까지 15년에 걸쳐 국악방송국 생방송 ‘상암골 상사디야’(진행, 김종엽,김영화) (진행. 이종구, 이정일) 집필하며 국악사랑 운동의 일환으로 ‘국악사랑 이웃사촌’ 300여명을 인터뷰 영상제작해 유튜브에 게시 하였다.
방송작가 김병준은 2017부터 KBS한민족방송 ‘전통으로 소리길로’(진행.남상일) 집필 취재 출연 하면서 3백여명의 문화예술인과 우리것 사랑하는 대중들을 인터뷰하거나 초대해서 방송에 알렸으며
남북한동포를 아우르는 특집 ‘대동강수 한강수 민요로 만나다’ 등 다수의 특집프로그램을 제작 방송했다. 제작 연출 서기철, 기획, 극본 김병준. 진행 출연 남상일, 박애리. 취재 출연 전수향. 출연 정회천 교수,
김병준 작가가 집필한 프로그램 중 KBS 1라디오 ‘흥겨운 우리가락’은 1990년 11월 제1회 PD협회 교양음악부문상을 받았으며, 1994년 9월 한국방송대상 특별공로상 (흥겨운 우리가락)을 수상하기도 했다.
김병준 작가가 집필한 프로그램 중 국방부 국군방송국 ‘산하의 숨결’ (성우 이종구외) 은 1998.12월 국방부 국군방송국 최우수프로그램상을 수상했다.
김병준 작가가 국악방송에서 집필한 일일 생방송 ‘상암골 상사디야’는 2008년 4월 방통위 우수프로그램상을 수상했다.
김병준 작가는 2016년 문화체육관광부로부터 풍류당을 통해 국악보급과 미디어를 통한 활동에 대하여 공로표창을 받았다.
한문고전 전문 번역가이기도 한 김병준 작가의 고전강의는 1983년 11월 경희대 철학과 ‘동양학 할술세미나’에서 ‘동양학 어떻게 할 것인가’ 발표하였고. 1984년부터 한양대학고 음악대학 권오성 교수 초청으로 ‘茶山 樂書孤存’ 원서강의를 1987년까지 완강 하였다.
김병준 작가의 작품 중에 창극은 ‘정부수립50주년 기념-백범 김구’가 있고 KBS 1TV의 ‘뺑파96’ 그리고 국립국악원에서 올린 경서도 소리극 ‘남촌별곡’등이 있으며, 노래 가사는 김병준 작시,유은선 작곡, 안숙선 명창이 부른 ‘나비’. 김병준 작시, 이병욱 작곡 ‘정풀이’ ‘햇빛맞이’. 김병준 작사 채치성 작곡 ‘독도만파식적’등 여러편의 작사 작시 작품을 음반으로 발표 하였다.
풍류당 김병준 대표는 국악배우기, 판소리 남도민요 배우기를 위한 ‘풍류당’을 만들어 보라사부 남궁성례님이 강좌를 맡아 일반 대중에게 판소리. 남도민요. 육자배기 흥타령, 진도굿소리. 북장구 배우기. 전통무용 배우기 강좌를 마련하여 종로 낙원동에서 풍류당 강습소를 열어 대중강습을 하고 있다.
앞으로 새로운 국악신작품등을 작사. 작시. 발표 예정
Информация по комментариям в разработк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