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벼랑 끝' TBS...오세훈 "지원 연장 필요" vs 의회 "불가" / YTN

Описание к видео '벼랑 끝' TBS...오세훈 "지원 연장 필요" vs 의회 "불가" / YTN

서울시, 6월 1일 TBS 지원 중단…"폐국 막아달라"
재정난에 라디오 재허가 탈락·민영화 좌초 위기
오세훈 "선의의 피해 없어야…지원 연장 필요"
시의회 "이미 5개월 더 지원…자구책은 TBS 책임"

[앵커]
'김어준의 뉴스공장' 편향성 논란 끝에 곧 서울시 지원이 끊기게 된 TBS가 오는 6월 폐국할 위기에 처했습니다.

직원들은 폐국만은 막아달라며 호소하고 오세훈 시장도 방법을 찾아보겠다고 했지만, 전망은 어두운 상황입니다.

김현아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지켜달라! 지켜달라! 지켜달라!

TBS 노조가 회사를 살려달라며 다시 서울시의회 앞에 섰습니다.

의회가 TBS 지원 조례를 폐지하면서, 40여 일 뒤면 서울시 지원이 끊기기 때문입니다.

TBS 예산의 70%나 되는 서울시 지원금이 사라지면 재정난으로 라디오 채널 재허가에서 탈락하고, 라디오가 없어지면 민영화마저 어려워져 그대로 폐업할 거란 우려가 현실화하고 있습니다.

TBS 노조는 오세훈 시장을 향해 국민의힘 소속 시의원들을 설득해달라고 거듭 호소했습니다.

[송지연 / 언론노조 TBS 지부장 : 한때 편향성 논란에 휩싸였던 TBS를 정상화시킨 시장으로 남을지 아예 공영방송을 통째로 없애버린 시장으로 남을지 이제 선택하십시오.]

오세훈 시장은 TBS의 공익성에 문제가 있었지만, 선의의 피해자는 없어야 한다고 거듭 강조했습니다.

서울시는 이미 지난해 시의회를 설득해 폐지안 시행 기간을 5달 유예했고, TBS가 매각될 때까지만이라도 지원금을 주자는 입장입니다.

[오세훈 / 서울시장 : TBS가 찾고 있는, 주파수를 인수해갈 수 있는 언론사를 만날 수 있을 때까지, 조금 더 연장해 줄 방법은 없느냐, 의회 쪽에 타진했는데 그게 지금 뜻대로 잘 안 되고 있습니다.]

시의회는 이미 폐지 시한을 한 번 연장했는데도 자구책을 찾지 못한 건 TBS 책임이라며, 폐지를 마냥 유예할 수는 없는 만큼 입장을 바꿀 수 없다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오 시장은 의회를 다시 한 번 설득하고, TBS 인수자 발굴과 직원 구제를 위해 사실상의 도움을 주겠다고 밝혔지만, 결국, 시의회가 결정을 바꾸지 않는 한 불가능한 상황.

TBS는 민영화 협상을 이끌 대표이사가 공석이고 상업 광고마저 불가능한 터라, 서울시 지원이 당장 끊길 경우 자구책을 찾을 수 있을지 전망은 더욱 어두운 상황입니다.

YTN 김현아입니다.

촬영기자 : 정희인
영상편집 : 이영훈




YTN 김현아 ([email protected])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email protected]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15_202404...
▶ 제보 하기 : https://mj.ytn.co.kr/mj/mj_write.php

▣ YTN 유튜브 채널 구독 : http://goo.gl/Ytb5SZ

ⓒ YTN 무단 전재, 재배포금지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Комментарии

Информация по комментариям в разработк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