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곡지(官谷池)는 경기도 시흥시 하중동에 있는 연못으로 조선 세조 때 강희맹(姜希孟)이 명나라 난징[남경(南京)]에서 가져온 연꽃을 심어 현재에 이르렀다. 이를 계기로 조선시대 시흥 지역이었던 안산군의 별호를 ‘연성(蓮城)’으로 부르게 되었다.
시흥시 하중동은 조선시대에는 경기도 안산군 초산면 하중리였다. 조선시대 안산군 관련 문헌에 관곡지와 관련된 기록이 남아 있다. 조선 후기 1842년(헌종 8)에 편찬된 『안산군읍지(安山郡邑誌)』에 따르면, 안산군 대월면 산대장(山垈場) 앞에 제언(堤堰)인 오취(烏嘴)와 전당(錢塘)이라는 작은 연못이 있었다. 1846년(헌종 12) 권용정(權用正)이 지은 『연지사적(蓮池事蹟)』에 따르면, 전당은 강희맹이 명나라 남진에서 ‘전당홍(錢塘紅)’이라는 새로운 품종의 연꽃을 하중리의 작은 연못에 심은 데서 유래하였다. 1466년(세조 12)에는 연꽃이 무성해져 ‘연성(蓮城)’, 즉 연꽃의 고을이 되었다고도 전해진다.
연못의 소유권은 조선 초기부터 최근까지 안성군(安城君) 이숙번(李叔蕃), 이숙번의 사위 진주 강씨(晉州姜氏) 감찰공(監察公) 강순덕(姜順德), 강순덕의 종질(從姪) 손으로 양자가 된 강희맹, 강희맹의 사위 안동 권씨 권만형(權曼衡), 이후 안동 권씨 화천군파로 이어져 온 것으로 보인다.
관곡지와 관련된 자료는 안산군수서목(安山郡守書目(1845), 연지사적』(1846), 안산군완문(安山郡完文)(1883), 연지준지기(蓮池浚池記)(1900) 등이 있다. 특히 연지사적에는 연못의 유래 및 수축 관련 기록과 연지기를 두어 잡역을 면제하였다는 언급이 있다. 또한 연지기의 결원 여부, 연지기가 관리 시 준수해야 할 사항 등을 자세하게 설명하고 있다. 결국 관곡지가 조선 후기 무렵에는 경기감영(京畿監營)의 승인을 받아 안산군 차원에서 체계적인 연못 관리가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Gwangokji Pond (官谷池) is a pond in Hajung-dong, Siheung-si, Gyeonggi-do. During the reign of King Sejo of Joseon, Kang Hee-maeng planted lotus flowers brought from Nanjing (Nanking) in the Ming Dynasty. This planting led to the nickname "Yeonseong" (蓮城) for Ansan-gun, which was part of Siheung during the Joseon Dynasty.
During the Joseon Dynasty, Hajung-dong, Siheung-si, was Hajung-ri, Chosan-myeon, Ansan-gun, Gyeonggi-do. Records of Gwangokji Pond exist in Joseon-era Ansan-gun documents. According to the "Ansan-gun-eupji" (安山郡邑誌), compiled in 1842 (the 8th year of King Heonjong's reign), there was a small pond called Ochui (烏嘴), a dam, and Jeondang (錢塘) in front of Sandaejang (山垈場), Daewol-myeon, Ansan-gun. According to the 『Yeonji Sajeok (蓮池事蹟)』 written by Kwon Yong-jeong (權用正) in 1846 (12th year of King Heonjong's reign), the name Jeondang originated from the small pond in Hajung-ri where Kang Hui-maeng planted a new variety of lotus called 'Jeondanghong (錢塘紅)' during his Ming Dynasty visit to the South. It is also said that in 1466 (12th year of King Sejo's reign), the lotus flowers had grown so abundant that it became 'Yeonseong (蓮城)', meaning 'lotus town'. It appears that the ownership of the pond has been passed down from the early Joseon Dynasty to the present through Lee Suk-beon, Prince of Anseong; Lee Suk-beon's son-in-law, Kang Sun-deok, an inspector of the Jinju Kang clan; Kang Hui-maeng, who was adopted by Kang Sun-deok's nephew; Kang Hui-maeng's son-in-law, Kwon Man-hyeong of the Andong Kwon clan; and later to the Hwacheon branch of the Andong Kwon clan. Materials related to Gwangokji include the "Ansan County Governor's Book" (1845), "Yeonjisajeok" (1846), "Ansan County Wanmun" (1883), and "Yeonjijunjigi" (1900). In particular, "Yeonjisajeok" records the origin and construction of the pond, and mentions that a lotus pond keeper was appointed to exempt miscellaneous labor. It also provides detailed explanations on whether or not the lotus pond keeper was vacant and what the lotus pond keeper had to observe when managing it. In conclusion, it can be seen that by the late Joseon Dynasty, Gwangokji had received approval from the Gyeonggi Provincial Office and systematic pond management was implemented at the level of Ansan County.
이 콘텐츠는 저작권이 있습니다.
This content is copyrighted.
https://creator-kr.pixtastock.com/@pr...
Информация по комментариям в разработк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