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텃밭배추병해충방제포인트4가지
#농약치면나쁜농부일까?
#배추병해충과적용농약은?
#텃밭주말농장배추재배기술
2022.9.20
0. 배추 병해충방제 포인트4가지
1. 배추가 어릴때 방제해라
결구가 되어 잎이 합쳐지면
잎 안쪽에서 가해하는
파밤나방, 진딧물 등은
방제가 어려우니
초기에 생기는 10여장의 잎은
병해충 없이 건강해야
광합성을 통해
빛에서 얻은 탄소동화물질을
속잎을 만드는데 힘이 된다.
2. 해충이 어릴 적에 방제 해라
배추에 발생하는 나방류는
4번의 잠을 자며
1,2령기에는 방제효과가 높지만
3령기 이후부터는
방제가가 떨어지고
야행성이 되어
주로 밤에 가해를 한다
3. 충분히, 천천히, 잎 뒷면까지
약액을 살포 한다.
4. 방제시간은 아침이나 저녁시간
메뚜기, 노린제 등 이동성이 큰
해충은 아침에 이슬이 묻어 있어
쉽게 날아가지 못할 때
방제를 한다.
나방류는 대부분 야행성이기에
저녁 해지기 전에 방제하는 것이
방제효과가 높다.
배추는 나방류의 피해가 많기에
해지지 전에 방제하는 것이 좋다.
0. 농작물에 농약을 치면
나쁜 농부인가?
최근 유튜브 등에 보면
'이것 하나면 완전방제' 등의
영상으로 농약이 아닌
자가 조제한 것으로
착한농부 이미지를 부각하며
방제를 한다는
영상이 있는데
진짜로 방제효과 있을까?
배추의 경우, 초기에 발생한 잎은
햇빛을 보며 광합성작용을 하는
공장같이 중요한 잎인데
병해충 피해를 받아
잎에 상처가 많고 너들너들하다면?
착한농부는 초기에 방제를
확실하게 하고 식용부위인 속잎이
생장하는 시기에는 약제살포를
하지 않거나 수확안전기준을
감안하여 방제를 한다.
0. 배추 주요 병해충은?
1. 병해
노균병, 무름병, 밑둥썩음병
뿌리마름병, 뿌리혹병
2. 충해
거세미나방, 파밤나방, 배추흰나비
진딧물, 배추좀나방, 벼룩잎벌레
선충, 무잎벌
0. 주요병해충 및 적용농약은?
1. 노균병
저온다습한 조건에 아래쪽 잎부터
발생을 하며 수분과 온도가
가장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밤온도가 8~16도, 낮온도가
24도 이하일때 최적온도이며
오전 10시까지 이슬이 맺혀있는
기간이 3~4일 지속되면
심하게 발생을 하게 된다.
노균병은 봄, 가을에 많다.
적용약제는?
캐스팅, 매카니, 명작, 포룸씨
코사이드, 인피니트, 이슬탄
퀸텍, 보르백바운티, 원프로
젬프로 등
2. 무름병
감병부위는 물러 썩고
악취가 나면서
심하게 병든 배추는 전체가
물러서 썩게 된다.
발병적온은 32~33도로
가을날씨가 높을 때 많다.
병원균은 해충이 배추를
가해했을 때 상처를 통해
침입을 하게 되는데
벼룩잎벌레 등의 가해부위는
병의 침입경로가 되니
해충방제를 필히 실시한다.
연작시 토양소독을 하며
발병이 심한 밭은
3년 이상 다른 작물을 재배한다.
방제약제는?
방범대, 용마루, 아리농용신,
일품, 부라마이신, 고추탄 등
3. 벼룩잎벌레
2~3mm정도의 작은 해충으로
정식 및 파종 전에
토양살충제를 살포하여
땅속의 유충을 방제
정식 이후에는 경엽처리용
약제를 살포하여 방제
적용약제는?
격파, 데푸콘입제, 라피탄
알타코아, 에이팜, 카운타
오신, 델리게이트, 팬텀
토리치, 엑설트 등
4. 진딧물
진딧물은 작물에 바이러스
매개충으로 생육초기에
철저한 방제가 필요하다.
진딧물은 순식간에
밀도가 증가되기에
결구되기 전에 방제를 해야
김장을 담을때 진딧물 없는
배추를 활용할 수 있다.
적용약제는?
세티스, 스트레이트, 모벤토
베리마크, 트랜스폼,토리치
모스피란 등
5. 나방류
파밤나방, 배추좀나방 등
잎 뒷면에 숨는 특성이 있으니
약액이 골고루 묻을 수 있도록
살포를 한다.
배추좀나방은 배추가
어릴 때 발생량이 많으니 주의
파밤나방은 고온성 해충으로
8월하순부터 10월 상순까지
집중하여 방제를 해 주며
1~2령기 어린 유충은
농약에 대한 방제가가 높으나
3령기 이후는 방제가가 약하니
해충이 어릴 때 방제를 한다.
적용약제는?
에이팜, 볼리암후레쉬, 런너,
델리게이트, 알타코아,
베리마크 등
Информация по комментариям в разработк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