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만 명 중 600명에 불과"...전문의 취득 차질 가능성에 '비상' [지금이뉴스] / YTN

Описание к видео "1만 명 중 600명에 불과"...전문의 취득 차질 가능성에 '비상' [지금이뉴스] / YTN

일부 전공의들의 전문의 취득에 차질이 생길 가능성이 커졌다.

21일 정부와 의료계에 따르면 이날로 전공의가 집단으로 병원을 이탈한 지 3개월이 지났지만, 현장에 복귀한 이들은 거의 없었다.

보건복지부는 전공의 복귀 여부를 계속 파악하고 있지만, 복귀 움직임은 미미하다. 정부에 따르면 현재 1만여 명의 전공의 중 현장에 남은 전공의는 600여 명에 불과하다.

전공의들은 의대 증원 등 정부 정책에 반발하며 지난 2월 19일 의료현장을 대거 떠났다.

전공의는 특정 과목의 전문의가 되고자 하는 인턴과 레지던트로 이들은 인턴 1년, 레지던트 3∼4년 과정을 모두 마치고 시험에 통과해야 전문의 자격을 취득할 수 있다. 통상 전문의 시험은 매년 1월에 시행되지만, 전공의들은 그해 2월까지 수련 교육을 받는다.

수련 공백이 생겨 추가 수련을 하더라도 같은 해 5월 31일까지는 수련을 모두 마쳐야 한다. 따라서 전공의들이 수련 공백을 메울 수 있는 기간은 3월부터 5월까지로 최대 3개월이다.

그러나 전공의들이 병원을 떠난 지 3개월이 경과하면서 이들이 연차 진급을 위해 필요한 수련 기간을 채울 기회가 사실상 사라졌다. 이들의 전문의 취득 시기가 1년 늦어질 수 있는 상황이다.

복지부에 따르면 내년 초 전문의 시험을 앞둔 전국의 3·4년 차 레지던트는 총 2,910명이어서 당장 내년에 전문의 2,900여명이 배출되지 못할 가능성이 생겼다.

조규홍 복지부 장관은 전날 "병가 등 부득이한 사유가 있으면 수련병원에 소명함으로써 추가 수련 기간이 일부 조정될 여지는 있다"며 전공의들에게 복귀를 촉구했다.

그러나 정부는 집단행동으로 인한 근무지 이탈은 부득이한 사유가 될 수 없다고 해 얼마나 많은 전공의가 구제될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기자|디지털뉴스팀 이유나
AI 앵커|Y-ON
자막편집|류청희

#지금이뉴스



YTN 이유나 ([email protected])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email protected]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34_202405...
▶ 제보 하기 : https://mj.ytn.co.kr/mj/mj_write.php

▣ YTN 유튜브 채널 구독 : http://goo.gl/Ytb5SZ

ⓒ YTN 무단 전재, 재배포금지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Комментарии

Информация по комментариям в разработк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