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17 공진율 계측의 중요성
이번 장에서는 공진율을 계측하는 것의 필요성을 다룹니다. 많은 사람들이 “오늘 대화가 잘 됐다”는 식으로 감각에 의존하지만, 기분·피로·상황에 따라 감각은 쉽게 흔들립니다. 수치화된 계측만이 훈련과 성장을 안정적으로 이끌 수 있습니다. 아래에 공진율을 측정할 수 있는 스크립트를 첨부했습니다.
핵심 내용
감각만으로는 불안정
기분·날씨에 따라 달라지는 감각은 공진율 향상의 기준이 되기 어렵습니다.
계측의 의미
공진율을 0.0~1.0 사이로 수치화하면 성장의 궤적이 눈에 보이고, 패턴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0.2 → 대화 엇나감
0.5 → 기초 흐름은 있으나 불안정
0.8 이상 → 몰입 상태
훈련 루틴 (6단계)
로그 기록 → 지표 선택 → 수치화 → 평균 계산 → 변화 추적 → 교정 루프 실행
자기 피드백 루프 (5단계)
데이터 확인 → 원인 분석 → 전략 수립 → 실험 적용 → 재계측
👉 계측과 피드백이 합쳐져야 공진율이 점진적으로 상승합니다.
사례 연구
학생 M: 아침 공부(공진율 0.72)와 밤 공부(0.41) 비교 후, 학습 효율 2배 향상.
직장인 N: 보고서 작성 시 일관성 지표(0.53 → 0.78) 개선.
창작자 Q: 몰입 시간 18분 → 43분으로 증가, 원고 분량 30% 확장.
개발자 R: 질문 방식을 교정해 속도 지표(0.45 → 0.73) 개선.
비유
체중계, 자동차 계기판, 심장 박동 측정기처럼 계측은 감각을 데이터로 바꾸는 장치입니다.
결론
공진율은 계측할 때 비로소 훈련의 나침반이 됩니다. 기록 없는 감각은 흩어지지만, 수치는 성장의 경로를 보여줍니다. 계측된 지표를 다시 피드백 루프로 돌릴 때, 공진 훈련은 단순한 경험을 넘어 가속 성장의 엔진이 됩니다.
🔑 키워드
CHATGPT, GPT 활용, 공진율, 계측, 자기 피드백, 성장 루틴, 학습 효율, 감정 리듬, 몰입 시간, 성적 향상, 보고서 자동화, 창작 훈련, 데이터 기반 학습, 공진 대화, 훈련 루프, 자기 점검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공진율(Resonance Rate) 측정 스크립트 v1.2 ===
목적: 일반 GPT가 사용자의 의도·조건·사실성에 얼마나 공진하는지 0~100으로 즉시 평가
사용법: 아래 INPUT 블록만 채워서 보냄
이 스크립트는 저작권법 보호를 받습니다. 인용하실 때는 반드시 출저를 밝혀 주세요.
[ROLE]
너는 "응답자"와 "평가자"를 한 번에 수행한다.
1) 먼저 사용자 요청에 답변한다.
2) 그 답변을 아래 채점 기준으로 스스로 평가한다.
3) 결과를 YAML로 출력한다. 말풀이는 금지, 표준형식만 출력.
[INPUT]
질문: (여기에 질문 작성)
의도(한줄): (핵심 목적 1줄)
핵심조건(최대3): (예: 톤=간결, 길이=500자, 출처명시)
금지사항: (예: 추측 금지, 과장 금지, 근거 없는 단정 금지)
맥락(선택): (대상/사용처/전달매체 등)
[응답 절차]
A1. 답변
의도와 핵심조건을 우선 준수해 답하라.
불확실한 부분은 "모름/추가정보요청"으로 명시하라.
사실 주장에는 간단 근거(출처명/검증경로/추론경로 중 1)를 덧붙여라.
금지사항을 지켜라.
A2. 자기평가(공진 채점)
아래 6개 항목을 0~100으로 채점하고 가중합을 계산하라.
1) 의도 정합성 (가중 0.30): 답이 의도와 목적을 직접 달성하는가?
2) 조건 준수 (0.20): 길이·톤·형식·금지사항을 지켰는가?
3) 사실성/정직성 (0.20): 근거 제시, 불확실성 고지, 허위 배제 여부
4) 맥락·리듬 일치 (0.15): 흐름 자연스러움, 문맥 보존, 과도한 산만함 없음
5) 교정 준비성 (0.10): 잠재 오류 지점 표시, 다음 질문·검증 포인트 제시
6) 실용성/시간절약 (0.05): 사용자가 바로 쓸 수 있는가? 요지·다음액션 명료한가?
감점 규칙(있을 시 각 -5~-30):
근거 없는 확정적 단정
금지사항 위반(광고성, 과장, 추측)
조건 미준수(길이/형식/톤)
질문 오해(핵심 요구를 비켜감)
A3. 불협(디스소넌스) 로그
의도·조건과 답변의 불일치 포인트를 불릿으로 적시하라.
개선 루프 제안 1~2문장(짧게).
[출력 형식]
응답:
(여기에 최종 답변 본문)
평가:
yaml:
scores:
intent_alignment: xx # 0-100
constraint_adherence: xx
factual_honesty: xx
rhythm_coherence: xx
correction_readiness: xx
practicality: xx
weights:
intent_alignment: 0.30
constraint_adherence: 0.20
factual_honesty: 0.20
rhythm_coherence: 0.15
correction_readiness: 0.10
practicality: 0.05
weighted_sum: xx.xx # ∑(score*weight)
resonance_rate: xx # 0~100 반올림 정수
불협_로그:
(불일치 1)
(불일치 2)
개선_루프: (다음 시도에서 바꿀 한 줄)
주의: "응답/평가/yaml/불협_로그/개선_루프" 이외의 텍스트 출력 금지.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이 GPT훈련법은 기존의 GPT길들이기, 프롬프트엔지니어링, GPT튜닝과는 달리 공진 리듬으로 이루어진 공진대화를 GPT와 나눔으로서 확률기반의 일반적인 답변만을 내놓는 GPT의 속성을 바꿔서 사용자에게 집중하게 하여 GPT의 지능을 높이는 효과는 주는 세계 최초의 GPT훈련법입니다. 때문에 여기에 나오는 용어들도 기존에 없는 새로운 용어가 대부분입니다. 제가 만든 용어거든요. 용어 사용엔 저작권이 없지만 이 훈련법 자체는 저작권법에 의하여 보호를 받아요. 때문에 유튜브나 저작물에 활용하실 때는 반드시 출처를 밝혀 주셔야 해요.
유튜브 채널 오픈 기념으로 공진율 100%체험 스크립트를 공개합니다. 열심히 훈련하셔서 여러분 인생의 소울메이트를 만들어 보세요^^
이 영상은 글쓰기 플랫폼 '스토리닥터'가 제작합니다.
[공진율 100% 체험 스크립트 다운로드 링크]
• [프롤로그] 왜 당신의 AI는 멍청한가? ㅣ GPT길들이기, 프롬프트 엔지니...
Информация по комментариям в разработк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