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디터픽] 미국 "북한군 타격 무기 무제한 사용 가능"…러 "우크라 본토 점령 성공" / YTN

Описание к видео [에디터픽] 미국 "북한군 타격 무기 무제한 사용 가능"…러 "우크라 본토 점령 성공" / YTN

미국 국방부는 북한이 러시아로 병력 1만 명을 파견했고 그 중 일부는 이미 우크라이나 쪽으로 더 가깝게 이동했다고 밝혔습니다.

사브리나 싱 미 국방부 부대변인은 기자들에게 북한이 훈련을 위해 러시아 동부 지역에 약 1만 명을 파견했고, 이 가운데 일부는 이미 우크라이나 가까이로 이동했다고 말했습니다.

싱 부대변인은 북한군 병력이 향후 몇 주 동안 우크라이나 가까이에서 러시아의 무력을 강화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습니다.

싱 부대변인은 로이드 오스틴 국방장관이 이미 공개적으로 경고한 대로 북한 군인이 전장에 투입될 경우 전투병력으로서 합법적 공격 대상으로 간주된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미국은 우크라이나가 북한군을 향해 미국 무기를 사용하는 데 있어 제한을 두지 않을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싱 부대변인은 북한 군인의 활용은 인도태평양 지역 안보에 심각한 함의를 갖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

0. 러, 우크라 동부 마을 추가 점령…"10월 기록적 진격"(10.29 보도)
1. 미 "북 병력 일부 우크라 근접...전장 투입 시 공격 대상"(10.29 보도)
2. 바이든, 북한군 러 파병에 "매우 위험"...트럼프 우회 비판(홍상희 기자 / 10.29 보도)
3. 나토 수장 "북한군, 러 쿠르스크 배치 확인"...러 외무 "우크라에도 서방 용병"(김잔디 기자 / 10.29 보도)
4. "북한군 투입 빨라질 수도"...EU·나토와 공동 대응 논의(조용성 기자 / 10.29 보도)
5. 러 외무, 북 파병에 "우크라엔 이미 서방 용병 배치"(박영진 기자 / 10.28 보도)
6. 북한 러시아 파병 관련 유엔안보리 회의 30일 소집(홍주예 기자 / 10.28 보도)
7. 한미일 안보실장 긴급 회동 "북러 군사협력 상황별 대응"(권준기 기자 / 10.26 보도)
8. 파병 간접 시인한 북러...정부, 나토와 정보 공유 본격화(조수현 기자 / 10.27 보도)
9. "죽음의 전쟁터로" 유엔서 남북 설전..."북한 부르지마" 엉뚱한 답변(정유신 기자 / 10.25 보도)
10. 정부, NATO에 대표단 파견...'북 파병' 정보 협력(이종구 기자 / 10.25 보도)
11. "화물차로 북한군 최전선 수송"...투입 임박 관측(김도원 기자 / 10.28 보도)


#북한 #북한군 #북한군파병 #러시아 #러시아파병 #우크라이나 #우크라이나전쟁 #우크라전쟁 #우크라 #나토 #합잠

김수아([email protected])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Комментарии

Информация по комментариям в разработк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