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뉴스-더인터뷰] 국민의힘 2강?...홍준표가 보는 상승세 이유는? / YTN

Описание к видео [더뉴스-더인터뷰] 국민의힘 2강?...홍준표가 보는 상승세 이유는? / YTN

■ 진행 : 김정아 앵커
■ 출연 : 홍준표 / 국민의힘 의원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앵커]
여야 대선 주자를 만나보는 시간입니다. 최근 범야권에서 눈에 띄는 지지율 상승세를보이는 분인데요. 절박한 심정으로 마지막 정치도전에 나섰다며 대권 재도전을 선언한 국민의힘 홍준표 의원 스튜디오 모시고 직접 만나보겠습니다.

어서 오십시오. YTN 출연은 굉장히 오랜만이시죠?

[홍준표]
오랜만입니다.

[앵커]
오늘 보니까 넥타이 푸른 계열 하셨는데 이제 빨간 넥타이를 꼭 고집하시지는 않으시나 봐요?

[홍준표]
빨간 것만 고집하니까 너무 고집스러워 보인다고 그래서 파란 걸로 바꿨습니다.

[앵커]
그렇습니까? 그래도 이미지 홍보 효과가 상당히 있었을 텐데요.

[홍준표]
그건 그렇죠. 파란색이 좀 덜 강렬해 보이고 또 파란색이 희망을 상징하잖아요. 그래서 이미지 좀 바꿔보려고 넥타이도 바꿨습니다.

[앵커]
이미지를 좀 바꿔보려고 넥타이 색깔도 바꾸셨다 말씀해 주셨고요. 지난 17일에 대선 출마 공식 선언을 하면서 진충보국의 각오로 빼앗긴 정권을 되찾아오겠다, 이 말씀하셨습니다. 정권 교체가 꼭 필요한 이유, 어떻게 보십니까?

[홍준표]
금년부터 사실 국제적으로 우리나라가 공인된 선진국이 됐어요. 그럼 선진국에 걸맞는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대북, 안보, 국방, 외교. 전 분야에 걸쳐서 국정 대개혁을 해야 됩니다.

그래서 우리나라가 선진국 시대의 원년을 맞이해야 되기 때문에 그걸 지난 4년간 준비해 왔기 때문에 이번에 정권교체가 꼭 돼야 되겠다, 그런 생각입니다.

[앵커]
이번이 마지막 도전이십니까?

[홍준표]
그렇게 봐야 되겠죠? 저도 정치를 한 지가 26년인데 이제는 마지막으로 나라 경영하는 데 한번 몸을 바쳐보고 정리하는 게 옳지 않느냐, 그런 생각입니다.

[앵커]
대권 도전하면서 7대 국정개혁 과제를 내놓으셨는데 내용을 보면 대통령 중임제 개헌도 있고요. 쿼터아파트 도입 얘기도 있고 45할, 공수처 폐지 여러 가지가 있는데 이중에서 특히 강조하고 싶은 공약이 있습니까?

[홍준표]
제일 강조하고 싶은 것은 우선 경제 활성화입니다. 지난번 이 정권이 들어와서 좌파 일변도의 경제정책을 내세우고 국가가 민간을 갑질하는 갑질 경제정책으로 5년을 이렇게 하다 보니까 경제가 엉망이 되고 나아가서 최근에 와서는 경제가 민간 위주에서 정부 위주로 바뀌어버렸거든요.

이렇게 해서는 선진국 경제를 만들기가 어렵다. 또 코로나로 인해서 중산층이 몰락했어요. 그리고 20~30대, 40대가 꿈과 희망이 없는 세대로 전락을 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가장 중요한 것은 지금 경제 활성화죠. 그걸 민간 중심의 경제체제로 다시 바꿔야 된다는 겁니다.

[앵커]
경제활성화가 가장 중요하고 그러려면 민간 중심으로 돌려야 된다는 말씀을 해 주셨는데 홍준표 후보의 부동산 공약만큼은 보면 공공의 역할도 강조를 하신 것 같습니다.

전체적으로 보면 의원님 부동산 공약은 규제를 좀 풀고 세금은 단순화하고 공급은 확대하고. 큰 틀에서 보면 그런데 공급으로 조금 들어가서 보면 쿼터 아파트 도입, 이 부분이 가장 눈에 띄거든요.

[홍준표]
그렇죠?

[앵커]
반값도 아니고 반의 반값. 어떤 형식으로 가능할까요?

[홍준표]
그러니까 4분의 1 아파트라는 건데 이게 강북 대개발을 하면 가능합니다.

[앵커]
강북 대개발, 어떤 방식으로요?

[홍준표]
전국의 부동산 시장의 등락의 중심이 되는 것은 서울 아... (중략)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1_202108...
▶ 제보 하기 : https://mj.ytn.co.kr/mj/mj_write.php

▣ YTN 유튜브 채널 구독 : http://goo.gl/Ytb5SZ

ⓒ YTN & YTN plus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Комментарии

Информация по комментариям в разработк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