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입 개발자 연봉 6천만원 가능한가? 누구나 하면 될까? 아니면 함정인가?

Описание к видео 신입 개발자 연봉 6천만원 가능한가? 누구나 하면 될까? 아니면 함정인가?

신입 개발자 연봉 6천만원 가능한가? 아니면 함정인가?

#신입 #개발자 #연봉 #6천만원 #신입개발자


오늘은 요즘 떠오르는 개발자 모시기에 대해서
속지 말라고 한 말씀 드리기 위해 제작해 봤습니다.
우선 대기업 신입 연봉 5천~6천 인건 아시겠지만
거길 못 갈 경우 초봉 2400~2800 정도 생각하세요.
네이버, 카카오, 라인, 쿠팡, 배달의 민족 등
누가 봐도 대기업입니다. 초봉도 급여도 높아요.
대규모 채용이라고 개발 공부 하시는 분들 계시는데
원래 개발하신 분들 말고 새로 시작은 말리고 싶네요.
채용하는 그 규모가 50~60만명 됩니까?
우리나라에 개발자가 50~60만명으로 추산됩니다.
최근 okky.kr 운영자님 글에서 확인 했죠.
왜 대기업 들은 사람이 없다고 할까요?
그들이 따지는 능력은 단기간에 습득은 힘듭니다.
따지는 능력이 낮아도 들어갈 능력 좋은 사람 많죠.
대기업 서버, 트래픽, 데이터 관리 안정화 하려면
보통 지식으로는 가능하지가 않습니다.
근데 뭐 90일이면 완성한다는 학원 글 있죠?
3달 만에 공부해서 거기서 일할 능력을 키워요?
대기업 말고 초급 기술자 정도는 가능하겠죠.
대기업 ‘갑’에서 일했던 제 5년차 담당자가
In서울에 3개 외국어하고 맨땅에 클라우드 사용해서
신규 서비스 오픈하고 유지하고 전산 용어 빠삭해요.
그 친구 자소서 잘 써서 친구들 합격 많이 시켜줬죠.
이번에 카카오 뱅크 합격했는데 서류 두번 탈락했죠.
거의 전문 강사 급 어휘를 발휘하는 사람이라
면접은 최종 면접까지 원샷 원킬이었는데
저 정도 스펙인데 서류 광탈합니다. 카카오 뱅크.
일단 In 서울대도 외국어 3개 해도 서류 2번 털려요.
그리고 이미 국내 잘나가는 대기업에 5년 경력 있고
그런데도 서류에서부터 털려요.
네이버, 카카오, 라인, 쿠팡, 배달의 민족 등
이렇게 개발자 연봉 올려준다 하고 말하는 것은
엄청~ 잘하는 사람을 먼저 채가려 노력하는거예요.
또, 자기들끼리 이직해… 돈 더 주는 곳으로요.
그들만의 프리미어 리그일 수도 있습니다.
근데 세 달 만 공부해서 대기업? 그게 될까요?
일단 컴퓨터 공학과 아니면 99% 떨어질테고
외국어는 당연히 기본 소양일 것 입니다.
저들이 원하는 건 초급 개발자가 아닙니다.
신규 사업을 아이디어 내고 수익을 발생시키는 거죠.
전 국민을 상대하는 회사 메뉴를 대충 맡길 순 없죠.
개발자들은 대기업 간판 아래 자신이 만든 서비스를
개발해서 수익/판매/성공 확률 많으니까
그곳에서 코딩을 해서 판매하면 잘 팔리니까
그런 이점이 있어서 대기업 입사하는 거예요.
서비스 유지하려면 서버도 사야 하고 비용이 들죠.
카카오톡, daum이 인수하기 전에 서버 좀 불안했죠.
그래서 실력 좋은 개발자들 코딩 전념을 위해서
합격하면 가서 더 전념해서 일 할 수 있어요.
어쨌든 대기업 합격하기가 쉽지가 않겠죠?
그거 모르고 학원 강의 신청하고 개발자 되겠다고
시작하신 분들 크게 후회 하실 수도 있습니다.
낚이라고 학원 홍보하는 사람도 자기밖에 모릅니다.
3달 공부해 놓고 안된 건 공부 안 한 네놈 탓이죠.
배운게 아까우니 SI업체라도 소개 시켜주면
님은 이미 속아서 낚인 것과 다름 없습니다.
취업이 안 되어서 개발자 많이 뽑는 다는 말에
그것도 고액 연봉이라는 글과 뉴스에 속아서
결국에는 막장 혼종 SI에 발을 들이게 하는
정부의 교묘한 작전에 말려드는 것 일 뿐입니다.
결국 목적은 탄광에 들어가서 일할 노비가 필요했죠.
대기업 아니면 거의 한국은 SI 시장 밖에 없습니다.
SI시장 통해서 개발자들 등꼴 빨아먹는 분들이 많죠
갑은 날 쓰려고 천만원을 줬는데 내가 받은 돈은
반절도 안 돼요. 중간에 유통 과정인가요? 다단계지.
물건만 팔면 쉽게요? 일은 최악입니다.
업무의 난이도가 매우 살벌합니다.
투입했는데 생전 처음 겪는 업무를 누가 안 알려줘요.
일반 학원에서 배우던 속도로 개발하면 매일 야근에
고객님들이 어떻게 만들어 달라고 잘 제시도 안하고
다 만들어진거 보고 나서는, 응 아니야. 다시 해.
돈을 줬으니 무조건 만들어라는 갑질에
경기 안 좋아지면 일거리도 없어질 수도 있고
회사들은 급여도 안 주고 잠적해 버릴 때가 있습니다.
대기업은 기름칠 잘 해 놓고 기계에 넣는다 치면
SI는 무자비하게 죽던 말던 기계에 넣고 갈아버려요
숨 쉬는거, 목 마른거, 누가 사정 봐주나요.
예를 들자면 대기업은 메뉴당 사람 1명 고용한다면
시스템 하나에 많은 사람이 개발하겠죠.
SI는 1명이 2~3개 시스템 책임쳐야 할 때가 많아요.
서비스가 최 우선인 대기업은 그 기능만 꼼꼼하게
잘 돌아가게 만들면 딱 좋다고 하자고요.
근데 SI는 혼자서 빠삭하게 납기 지키면서 만들고
한방에 오픈하는데 오픈하고 집에 가겠나요?
고객은 개발자를 초급 기준 월 1천 만원을 주고 고용해요.
그 정도 금액이면 한달동안 일 안하고 노는 꼴을 보겠나요.
못 버티니 피할 길은 퇴사 밖에 없습니다.
선천적으로 업무 해결 능력과 센스가 없다면
매일 매일 내장 뒤틀리는 고통 맛보다가 업계를 떠나요
10년 전 보다 야근 문화는 많이 사라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한국 개발자들 말 안 듣는다고 중국, 인도에서 수입하고
중국, 인도 개발자들 일 안하고 퇴근하고 말 안 들으니
그때 되어서야 좀 환경이 살짝 좋아지는 것 같더라고요.
가능하다면 침팬치도 데려다가 일 시킬 악랄한 보도방이죠.
고급 기술직인데 건축,토목 구조를 도입했으니
갑을병정무기경신임계 하도급 단계 구조의 SI 사업
실력 좋은 분들 다 떠나고 기피하니 이제 좀 나아지나…
저는 6년 차에 연봉 6천만원 프리랜서 전향하고
10년 차에 연봉 9천만원 프리랜서 하고 있습니다.
이 급여는 제가 프리랜서라는 함정이 있습니다.
근무는 8시 30분 부터 5시 30분 까지 하고 있어요.
Cloud 환경에 React와 Spring Boot 기술을 씁니다.
그 기술만 안다고 해서 고액의 연봉을 주는게 아니죠.
고액연봉은 시킨 일만 하는 사람은 어렵습니다.
비 정상적인 책임감과 해결 능력이 있어야 합니다.
사비 털어가며 급여 안 나와도 고객 시스템 대응하고
한번에 4개 언어는 알아야 유지보수 가능하죠.
10년 동안 차세대를 3번이나 했네요.
정신 없이 살다가 돌아보니 초인이 되었네요.
절대적인 것은 내가 회사에서 바로 빠지면
회사가 힘들어서 크게 망할 수도 있다는 전제입니다.
결국 불끄는 소방수 개발자가 되어야 한다는 겁니다.
그래야 나간다고 하면 급여를 존나 인상해 줍니다.
또 해당 업무에서 누구보다 지식이 해박해야합니다.
그래야 얼토당도 않는 갑의 요구사항을 제압하죠.
제가 PM이 되어서 이것 저것 관리하다 보니까
지금부터 나열하는 사람은 큰 돈 벌기 어렵습니다.
말씀 드리는 것은 SI 기준입니다. 대기업 말고.
코딩을 못해서 허우적 거리는 사람은 당연하죠.
코딩은 적당히 하는데 시킨 일만 하는 사람도 있고
팀워크 모르고 독단적으로 행하는 사람이 있죠.
전체적으로 프로젝트 성공에 큰 관심이 없는 경우
서비스 장애가 일어났을 때 고치려 노력 안하는 사람
고객의 요구사항에서 고객을 더 만족 시키려 안 할때
이런 것을 나열 했을때 바라는것도 많다는 생각이면
그냥 적당한 급여 받고 적당히 다니시면 됩니다.
그런 사람에겐 큰일을 못 맡기고 언제든 교체를 하죠.
내 급여는 나 다음에 내 자리 올 사람이 받을 돈이죠.
대체 불가능 인재가 되어야 협상이 가능합니다.
잡설이 길었는데… 대기업은 갈 확률이 매우 적다.
배운게 아까워서 SI 올 거라면 각오해야 합니다.
하긴 그걸 알고 SI 들어오는 사람은 없죠.
들어와보니 지옥이라는 것을 저도 그때 알았으니깐요.
결국 생존의 법칙과 하청 근무와 급여 밀림과
개발 해 봐야 내 제품도 아니고 알아주는 사람도 없는
내가 버는 돈 중간에서 다 착취 당하고 일만 많이 하는
그러다가 열 받아서 이제는 초인급으로 되어버리긴 했는데
상황 역전되어서 고객도 저에게 쩔쩔 매는 꼴이 되었으니
그나마 다닐 만 한 회사가 되었긴 했네요.
쉬운 회사가 어딨나요? 말씀하시는 분들 계시는데…
이곳은 포기하고 퇴사하는 사람 많습니다.
좀 불쾌하게 들리셨을 지 모르겠지만
오시기전 각오 하라는 말은 예방 주사라 생각합니다.
아, SI 업체 사장님들은 제 영상을 싫어하겠죠.
저는 제가 겪은 이야기들을 영상으로 올리고 있습니다.
SI 업체에 대해서 여러가지 조언을 드리고 있어요.
구독과 좋아요 부탁 드릴게요. 감사합니다.^^

Комментарии

Информация по комментариям в разработк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