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수교사 배치기준 지킨 지역 17개 시도 중 한 곳…지원도 태부족 [통합교육]/ EBS뉴스 2023. 08. 24

Описание к видео 특수교사 배치기준 지킨 지역 17개 시도 중 한 곳…지원도 태부족 [통합교육]/ EBS뉴스 2023. 08. 24

https://home.ebs.co.kr/ebsnews/menu2/...

[EBS 뉴스12]

장애와 비장애의 벽을 넘는 통합교육이 제대로 이뤄지려면, 장애의 특성을 잘 이해하고 있는 특수교사의 역할이 중요합니다.

그런데 전국 17개 시도에서 특수교사 배치기준을 지킨 지역은 단 한 곳에 불과했습니다.
더 큰 문제는, 이들을 도울 전문적 지원도 턱없이 부족하다는 겁니다.

보도에 박광주 기자입니다.

[리포트]

장애학생 9명이 있는 김포의 한 초등학교엔 코로나19 기간 특수교사 두 명이 더 생겼습니다.
과밀학급 완화를 위한 추가 인력과 감염병 대응을 위한 협력교사가 배치된 겁니다.

혼자 감당해야 했던 특수교육 시간을 세 명의 교사가 분담하게 되자, 비로소 통합학급 교사와 제대로 된 협력 수업을 진행할 수 있게 됐습니다.

인터뷰: 정원화 정책실장 / 특수교사노조
"특수교사가 통합학급의 수업에 참여할 수 있는 여유가 드디어 생겼어요. 학생 측면에서는 또 자기가 수업 중에 어려우면은 뒤에 있는 (특수교사) 선생님한테 슬쩍 여쭤보기도 하고 또 (통합교사가) 이 학생은 왜 그래요? 하고 바로바로 여쭤보면 바로바로 적합한 답이 돌아오니까 (만족도가 높았습니다)."

특수교사 한 명이 적정 숫자의 학생을 지원하는 것만으로도 생활지도부터, 학습지도까지 통합교육의 가능성은 더 커집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학교에선 먼 나라 얘깁니다.
17개 시도교육청 가운데 특수교사의 법정 기준인 1인당 4명을 지킨 곳은 전남 한 곳뿐이었습니다.

특수교사 한 명이 장애학생 5.4명을 돌보는 지역도 있었습니다.

공립학교도 특수교사 1인당 학생 수가 평균 4.2명으로 기준을 넘겼는데, 사립학교는 1인당 4.5명으로 인력 부족이 더 심각했습니다.

장애학생들의 갑작스러운 도전행동 등 문제 상황에 대응할 매뉴얼이 없다는 것도 어려운 점입니다.

최근 교육부가 생활지도 고시를 발표했지만 장애학생은 학급생활규정에서 예외로 보는 등 현실적으로 지키기 어려운 규정이 많습니다.

문제행동을 중재하고 개선할 전문 인력 지원도 턱없이 부족합니다.

인터뷰: 장은미 위원장 / 특수교사노조
"시도교육청에서 행동 중재 전문가 양성을 한다라고 하지만 그 수가 너무 턱없이 부족하고 한 교육청에 몇 명밖에 없고…."

특수교사 개인이 아니라 교육 당국과 개별화교육팀 전체에 책임과 의무를 지우는 외국의 개별화 교육 사례와 비교하면 나갈 길이 멀다는 겁니다.

인터뷰: 김성남 대표 / 발달장애지원전문가포럼
"특수교육 및 관련 서비스라고 표현이 돼 있고 우리나라 법에도 쓰여 있는데 우리나라는 관련 서비스가 학교에서 이루어지지 않잖아요. 언어 치료 작업치료 등등 미국은 처음부터 IEP(개별화교육)에 그게 기록하게 돼 있고 (언어치료사) 그 사람을 섭외하거나 예산을 집행하는 건 학교에서 선생님들이 하는 일이 아니에요. 교육청에서 다 해결해 주는 거예요."

통합교육의 취지를 제대로 살리기 위해선, 장애학생을 우리 사회의 일원으로 포용하는 교육이 학교 구성원 모두의 과제라는 공감대 속에, 법과 제도의 개선이 뒤따라야 한다는 지적입니다.

EBS 뉴스 박광주입니다.

Комментарии

Информация по комментариям в разработк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