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
오늘의 영상은 골든캣츠의 부채산조입니다.
산조춤은 한국춤의 형식미가 두드러지는 춤이기도 하죠!^^
산조춤은 산조 음악에 추는 춤이며, 산조 음악을 표현하며 무용가의 개성이 두드러지는 춤으로 정의됩니다. 자유로운 형식을 갖춘다고 하지만, 그 춤의 양식이 오늘날 창작무용에서 두드러지는 컨템포러리적이지 않고 신무용과 전통양식이 좀 더 두드러지는 것이 특징입니다.
산조 음악에 추어지는 춤이다 보니 산조음악의 발생시점인 1900년대 초를 산조춤의 출현의 기점으로 제시합니다. 기록에 의하면 최승희가 1942년 "산조"라는 제목으로 작품을 발표한 것을 산조춤이 창작된 시점으로 보는 것이 학계의 다수 의견입니다.
1980년대만 하더라도 동아콩쿨 등에 창작무용으로 산조춤이 추어졌다는 점을 미루어보면 당시에는 산조춤이 꽤나 무용인들에게 자유로운 형식으로 받아들여졌음을 유추할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산조춤으로는 "강태홍산조춤", "호남산조춤", "김진걸 산조춤: 내 마음의 흐름", "황무봉 산조춤: 잔영", "송범 산조춤: 황혼", "최현 산조춤: 남색끝동/여울/연정", "김백봉 산조춤: 청명심수", "정재만 산조춤; 청풍명월", "국수호 산조춤: 금무", "이은주 산조춤: 금선무" 등이 있습니다.
특히 2021년 대한무용협회의 명작무극장 -和, 산조춤을 담다...‘의 공연이 기획된 바 있었는데요. 이때 예술성과 격조높은 다양한 산조춤을 한 무대에서 감상할 수 있었던 좋은 기회였습니다.
현재 산조춤 중 호남산조춤은 지방무형문화재로 지정되었으며, 일부 작품은 대한무용협회 명작무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골든캣츠의 부채산조춤은 일반인을 위한 교육용으로 창작된 산조춤입니다. 작품이기는 하지만, 기본무의 단조로움에서 벗어나, 단아하고, 깨끗한 춤사위가 특징이라 한국무용의 전통적 춤 형식을 학습하기에 적합합니다.
저의 꿈은 교육용으로 부채산조춤을 학습한 후, 김백봉 선생님의 산조춤인 "청명심수"를 언젠가는 꼭 회원님들과 함께 추는 것입니다^^
산조 음악이 주는 명상적 효과와 산조춤의 아름다운 움직임으로 심신이 치유되는 효과까지 기대되는 산조춤! 강력하게 추천합니다^^
위 내용은 산조관련 논문 10편을 읽고 요약 정리한 내용입니다.
*참고 논문
-이현주(2000), effort-shape 분석 이론을 기초로 한 김진걸 산조춤의 특성 연구, 대한무용학회논문집, 28, p. 239-254.
-정은혜(2016), 산조춤은 한국무용가 고유의 색깔이다: 나의 산조춤 [새가락별무](2003) 에 대해, 공연과 리뷰, 22(2), p. 46-59.
-김영희, 윤명화(2020), 산조춤의 역사적 전개와 맥락, 무용역사기록학회, 58, p. 97-127.
-배민지, 김미숙(2020), 산조춤의 유형과 변천, 영남춤학회 8(1), p. 79-105.
-김경숙(2015), 산조춤의 전개 양상 연구, 우리춤과 과학기술 11(1), p. 137-166.
-봉정민, 최지원(2019), 산조춤의 특성과 예술적 가치에 관한 연구, 대한무용학회논문집 77(2), p. 37-58.
-차수정, 권영임(2021), 정재만 산조춤《청풍명월 淸風明月》의 구성과 의미, 한국무용교육학회지, 32(2), p. 105-125.
-차수정(2021), 정재만류 산조춤의 형성배경과 춤의 특징:‘청풍명월 (淸風明月)’을 중심으로, 대한무용학회논문집 79(2), p. 207-230.
-윤명화(2020), 최현류 산조춤의 특성 연구: "연정", "남색끝동", "남천" 을 중심으로, 한국무용연구 38(3), p. 83-111.
-배민지(2019), 황무봉 산조춤 무대화 양상 연구, 영남춤학회 7(1), p. 111-134.
Информация по комментариям в разработк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