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금리 계속"이라는데…증시 나흘 연속 사상 최고치, 왜? / SBS / 친절한 경제

Описание к видео "고금리 계속"이라는데…증시 나흘 연속 사상 최고치, 왜? / SBS / 친절한 경제

〈앵커〉

친절한 경제 오늘(14일)도 권애리 기자와 함께합니다. 권 기자, 어제 우리 증시가 올해 들어서 가장 높은 수준에 바짝 다가섰죠. 

〈기자〉

우리 대표 지수인 코스피, 어제 1% 가까이 오르면서 2,755포인트에 바로 밑에서 마감했습니다.

지난 3월 26일에 기록했던 올해 최고가에 딱 2포인트 모자라는 수준까지 바짝 다가섰습니다.

그나마 우리나라 증시는 지금 전 세계 주요 다른 증시들에 비해서 힘을 좀 내지 못하고 있는 편이고요.

이를테면 미국 주식은 그야말로 날아다니고 있습니다.

뉴욕증시의 대표 지수들인 나스닥과 S&P500 지수가 오늘 새벽까지 나흘 연속 역대 최고치를 경신했습니다.

이번 주 들어 매일 사상 최고치인 겁니다.

그런데 어제 분위기는 해석이 좀 묘했습니다.

앞서 SBS 뉴욕 특파원도 전해드렸지만, 미국의 중앙은행 연준에서 미국의 기준금리를 결정하는 사람들이 기준금리를 또 어제 최고 상단 5.5% 수준에서 동결시켰거든요.

이게 미국으로서는 23년 전 이후로 가장 높은 기준 금리 수준인데, 지난해 7월 이후로 1년째 유지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동결하리라는 건, 기정사실처럼 돼 있었기 때문에 사실 여기에 대한 긴장감은 없었는데 중요한 건 어제 함께 나온 올해 금리에 대한 전망이었습니다.

〈앵커〉

지금의 높은 금리가 좀 더 오래갈 수 있다. 이런 전망이었죠. 

〈기자〉

미국의 기준금리를 결정하는 사람들은 앞으로 금리가 어떻게 될 거 같은지 3, 6, 9, 12월 이렇게 분기별로 한 번씩 세상에 자기들 전망을 공개합니다.

그런데 어제 나온 전망이 3월에 내놨던 전망에 비해서 훨씬 앞으로도 꽤 장기간 고금리가 유지될 거란 쪽에 가까워졌습니다.

같은 사람들이 3월에는 올해 기준금리를 3번은 내려야 도달할 수 있는 4.6% 정도를 전망했습니다.

그래서 온 세상이 미국 금리가 곧 내려가겠구나, 그러면 우린 언제 내리지 계산기를 두드려 왔습니다.

그런데 어제 석 달 만에 5.1% 수준으로 전망을 올렸습니다.

그러면 아무리 많아야 올해 인하는 한 번, 아무리 빨라야 9월에 시작됩니다. 계속 고금리라는 거죠.

앞서 이달 초에 유럽과 캐나다는 먼저 금리를 내렸습니다.

미국보다 경제가 힘들어서 고금리로 못 버티겠다는 것도 있었지만요.

미국이 올해 3번은 내린다는 수준의 전망을 지난 연말 이후로 유지하면서 미국도 곧 내리겠지 고려한 점도 어느 정도 작용했습니다.

그런데 미국의 기준금리를 결정하는 사람들은 '우리는 아직 좀' 약간 주저하는 모습을 어제 보인 거죠.

아무래도 금리가 내려가야 사람들이 돈을 갖고 이것저것 좀 더 뭔가 합니다.

저축해 봤자 이자를 많이 못 받으니까 가지고 나와서 주식투자도 하고, 기업들도 투자를 더 하고요.

그래서 주식시장, 자산시장에서는 당분간 고금리가 더 이어질 거라는 얘기가 긍정적으로 들리기 힘듭니다.

그런데 간밤에 뉴욕증시는 나흘 연속 최고치, 그리고 좀처럼 힘을 내지 못하던 우리 증시까지 연고점에 가까워진 겁니다.

〈앵커〉

금리도 그렇고 주식 시장이 그렇게 좋은 상황만은 아닌데 이렇게 오르는 이유가 따로 있겠죠.

〈기자〉

크게 두 가지 요인을 얘기합니다.

하나는 어제 미국의 기준금리 결정 회의만큼 사람들이 눈여겨본 발표가 하나 더 있었다는 것.

그리고 두 번째는 지금의 AI 붐입니다.

어제는 미국의 5월 소비자 물가지수도 함께 나왔습니다.

물가상승률이 낮아지는 모습이 뚜렷했습니다.

이런 지표가 몇 번 더 되풀이되면 다시 금리를 낮추자는 분위기가 커질 수 있습니다.

게다가 물가 발표와 금리 결정이 겹치는 날이 원래 별로 없습니다.

이번에도 2020년 6월 이후 4년 만에 처음이었습니다.

금리 전망 직전에 나온 둔화된 물가지표가 회의에서 반영이 충분히 안 됐나 보다, 그런 분위기도 컸습니다.

두 번째로 어제 증시는 'AI 대기업'과 관련 수혜 기업들 때문에 많이 오른 거였습니다.

돈값이 이자가 좀 비싸도 돈 구하는데 어려움이 없는 기업들입니다.

금리의 영향을 많이 받는 중소기업들은 미국 증시에서도 좀 하락하거나 상승폭을 사실 줄였습니다.

그만큼 'AI 열풍'이 금리 분위기를 뛰어넘을 정도로 거세다는 겁니다.

앞으로 관건은 그러면 우리나라입니다.

미국이 올해 금리를 한 번 내리든 두 번 내리든 우리는 어떻게 할까, 지금 우리도 반도체 수출은 호조지만, 전반적으로는 내수를 포함해서 경제에 부담이 큰 상황입니다.

미국이 내리면 얼마 지나지 않아 내리는 모습이 나타날 거란 예상이 큽니다.

[노근창/현대차증권 리서치센터장 : 미국이 금리 인하를 하면, 그러고 나서 '좀 지켜보겠다' 그렇게 할 가능성이 크거든요. 한국은행도 아마 한 4분기 정도…10월 정도에 인하에 동참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더 자세한 정보
https://news.sbs.co.kr/y/?id=N1007683366

☞[친절한 경제] 기사 모아보기
https://news.sbs.co.kr/y/t/?id=100000...


#SBS뉴스 #친절한경제 #고금리 #증시

▶SBS 뉴스 채널 구독하기 : https://n.sbs.co.kr/youtube

♨지금 뜨거운 이슈, 함께 토론하기(스프 구독) : https://premium.sbs.co.kr

▶SBS 뉴스 라이브 : https://n.sbs.co.kr/youtubeLive , https://n.sbs.co.kr/live

▶SBS 뉴스 제보하기
홈페이지: https://n.sbs.co.kr/inform
애플리케이션: 'SBS뉴스' 앱 설치하고 제보 - https://n.sbs.co.kr/App
카카오톡: 'SBS뉴스'와 친구 맺고 채팅 - https://pf.kakao.com/_ewsdq/chat
페이스북: 'SBS뉴스' 메시지 전송 -   / sbs8news  
이메일: [email protected]
문자 # 누르고 6000
전화: 02-2113-6000

홈페이지: https://news.sbs.co.kr/
페이스북:   / sbs8news  
트위터:   / sbs8news  
카카오톡: https://pf.kakao.com/_ewsdq
인스타그램:   / sbsnews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Комментарии

Информация по комментариям в разработк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