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나라는 18세기 강희, 옹정, 건륭황제의 황금기가 지나고 관료들의 무사안일주의, 사치풍조와 부패, 청나라지배에 대한 한족의 집단반발로 점차 혼란속으로 들어가고 있었습니다…
아편의 위험과 중독성에 대한 인식이 거의 없던 청나라 사람들은 쾌락을 위해, 혹은 현실도피 방법으로 아편을 소비하면서, 아편의 수요가 급속하게 늘어났습니다.
19세기 초 연간 약 4천여 상자에서, 30여년이 지난 1830년대에는 연간 약 4만여 상자로 10배가량 소비가 늘어났습니다.
고위관료, 군인 등 지위가 높은 사람들로부터 일반 백성들에 이르기까지 많은 사람들이 아편을 피웠고, 그 만한 가치의 은이 영국으로 흘러 들어가는 것을 의미했습니다.
은이 없어진다..
사태의 심각성을 깨달은 청나라 조정
놀랍게도 최초의 해결방법은 아편 합법화였습다. 아편을 합법화시켜 관세를 징수하고, 대금결제수단인 은의 사용을 금지시켜 은의 국외 유출을 막아야 한다는 주장이었습니다. 또한 아편의 원료인 양귀비 재배를 금하고, 일반 백성의 아편 흡연은 간섭하지 않는 대신 병사, 지식인, 관료들의 아편 흡연은 단속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이금론(弛禁論)이 대세였습니다.
매우 설득력 있는 방법이었지만 명분을 중시하는 청나라 입장에서는 받아들이기 힘든 주장일 수밖에 없었습니다.
또다른 의견으로 아편을 강하게 단속해야 한다는 엄금론(嚴禁論)도 있었습니다. 결국 도광제는 엄금론에 힘을 실어, 아편단속을 명령했습니다. 그러나 이때까지만 해도 아편 단속이 실제로 이루어진건 아니었습니다.
영웅의 등장
1837년 임칙서는 호광총독(湖廣總督)으로 농업·상업을 개혁하고, 아편을 강력히 단속하고 사회를 안정시키는등 총독으로서 충실히 임무를 수행하는 당시 청나라에서 보기드문 능력있는 관리였습니다. 임칙서는 엄금론을 내세워 아편을 강력히 단속해야 한다고 주장하였을 뿐만 아니라, 이에 대한 정책과 그 세부사항까지 이미 준비해 놓고 있었습니다.
임칙서가 제시한 정책에 설득된 도광제는 임칙서를 흠차대신(欽差大臣)으로 임명했습니다. (1838년 12월 31일)임칙서는 강력한 아편 단속으로 금지령을 위반한 1,600명을 체포, 아편 2만 8천근을 몰수하였으며 관련된 관리들도 엄벌에 처했습니다.
은이 부족한 영국..
1781년부터 1810년까지 중국으로 흘러들어간 은은 무려 4,200만 냥을 넘는 수준이었습니다.
청나라가 이런 압도적인 무역 흑자를 확보할 수 있었던 이유는 엄청난 인구(4억명)를 기반으로 한 공장형 수공업의 경쟁력이었습니다. 광동을 통해 들어오는 영국의 모직물들은 중국 남부 지역을 중심으로 유통되었는데, 아열대 지방인 광동지역에서는 땀 흡수나 통풍 기능이 떨어지는 모직물이 그다지 인기가 없었습니다. 모직물이든 면직물이든 저렴하고 풍부한 노동력으로 생산되는 대륙의 공장제 수공업 제품과는 경쟁자체가 안되는 상황이었습니다.
또다른 문제는 19세기 초반 중국의 차가 선풍적인 인기를 끌면서 대중국 무역의 90%를 차지, 영국이 한 해 청나라에 지불하는 은이 무려 2만 8천톤을 넘는 상황이었습니다.
비도덕적인 해결방안
대안으로 떠오른 방법이 인도에서 생산되는 아편을 청나라에 수출하는 것이었습니다. 19세기 초반 청나라에서는 아편의 독성과 중독성에 대한 인식이 없었고, 환각 효과로 선풍적인 인기를 끌고 있었습니다. 여기에 영국은 더 많은 아편을 팔기 위해 광동성 이외의 새로운 무역항구가 필요했고, 무역확대를 위해 청나라와 지속적인 협상을 시도했지만 ,정상적인 외교 채널로는 청나라를 개방할 수 없다고 판단, 당시 세계 최강의 군사력으로 무력시위를 해야만 가능하다는 결론에 도달했다는 겁니다.
영국의회.. 그놈들이 그놈들..
당시 광동에는 자국 상인들을 보호하기 위해 영국인 엘리어트가 군함 3척을 이끌고 들어와 있었습니다. 영국의회에서는 아편 밀수출을 계속해야 한다는 주장과 아편 밀수출을 중단해야 한다는 주장이 대립했지만 (영국은 휘그당과 토리당의 양당 의회정치가 자리잡고 있었던 시기였습니다.) 근소한 차이로 군대 파견을 결정했습니다.
전쟁개시
1840년 6월 15일 영국 함대는 양자강 하구를 봉쇄하고, 천진(텐진)인근 해역까지 함대를 파견, 청나라와 협상을 진행했지만 실패하자 이듬해 전쟁을 시작했습니다. 압도적인 전력의 영국함대에 1841년 5월 광동이 함락 위기에 처하자 청은 항복할 수밖에 없었고, 굴욕적인 조건으로 영국에 600만불의 배상금을 지불하고 광동에서 양국 군대를 동시에 철수시키기로 하는 ‘광동협정'을 맺었습니다.
광동협정에 반발하는 중국인들의 집단행동이 늘어나자 ,영국은 상해를 점령하고 난징으로 진격했습니다. 청나라는 불리한 조건으로 라도 타협을 할 수밖에 없는 상황에 몰렸고, 결국 1842년 8월 역사적인 ‘난징조약이 체결되었습니다.
난징조약
난징조약의 내용은
1. 홍콩을 영국에게 넘겨준다.
2. 광동, 하문, 복주, 영파, 상해 등 5개 항구를 개항한다.
3. 개항에 영사를 주재시킨다.
4. 중국은 전쟁 배상금 1200만 달러, 몰수된 아편 배상금 600만달러 등을 3년 안에 영국에 지불한다.
5. 공행의 독점무역을 폐지한다.
6. 수출입의 관세를 정한다.
7. 동등한 지위에 있는 양국간의 문서 교환은 동등한 형식을 사용한다.
이후 관세에 관한 내용, 영사 재판권, 최혜국 대우, 5개항에서의 군사 정박권 등의 조건이 추가 됬습니다.
난징조약의 내용은 이렇게 간단한 내용이지만 역사적인 의미는 대단히 큽니다. 이 조약은 중국이 외국과 맺은 최초의 근대적인 조약이며 불평등 조약이었습니다. 이 조약으로 중국이 오랫동안 유지해오던 중화사상은 여지없이 깨졌으며, 광동에만 제한시켰던 외국상인들의 활동을 다른 항구에서도 할 수 있도록 인정해주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영국이 내세운 아편전쟁의 표면적인 목적은 '영국의 자유무역 권리 수호'였고 아편의 무역 유지를 위한 전쟁은 아니었기 때문에 전쟁 승리 후 체결한 조약들에는 아이러니하게 아편을 다룬 조항이 없습니다. 당연히 이후로도 아편 무역은 불법이었고 청나라는 계속 단속했지만, 청나라의 아편 수입량은 2배이상 폭증하고 있었습니다.
난징조약에 따라 청나라에서는 인구이동이 늘면서 유랑민도 증가했습니다. 무역 경로가 다변화되면서 자연스레 무역에 의지하던 많은 사람들이 이동하기 시작했고 기존 농민들과 대립하는 일도 잦아지기 시작했습니다. 이와 같은 양상은 특히 양자강 하류에서 빈번히 나타났고, 청나라의 양자강 이남에 대한 통치력이 한계에 다다랐다는 신호였습니다.
청나라의 무능과 유랑민 문제는 결국 태평천국의 난이라는 또다른 비극으로 연결됩니다…
Информация по комментариям в разработк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