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TN24] 대만 TSMC 생산 차질...삼성전자·SK하이닉스 영향은? / YTN

Описание к видео [YTN24] 대만 TSMC 생산 차질...삼성전자·SK하이닉스 영향은? / YTN

■ 진행 : 윤재희 앵커
■ 출연 : 홍기빈 글로벌정치경제연구소 소장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인용 시 [YTN24] 명시해주시기 바랍니다.

[앵커]
국내·외 경제 이슈 전해드립니다. 홍기빈 글로벌정치경제연구소장과 함께합니다. 어서 오세요. 오늘은 반도체 얘기를 해봐야 할 것 같아요. 타이완에 25년 만에 최대 강진이 났는데. 그러면서 TSMC 일부 공장도 가동이 중단된 상태거든요. 그러면서 지금 글로벌 업계가 계속해서 이 사태를 지켜보고 있는데 TSMC 어떤 회사입니까?

[홍기빈]
대만에 있는 회사고요. 아마 이름은 많이 들어보셨을 겁니다. 반도체가 크게 두 가지가 있죠. 하나는 메모리를 담당하는 반도체가 있고요. 기억을 저장하는 메모리 반도체가 있고 두 번째는 시스템 반도체라는 게 있는데. 가령 요즘 얘기 나오는 AI라든가 그다음에 고도의 연산기능을 하는 것들은 시스템 반도체가 해결을 하는데요. 이 시스템 반도체는 다시 2개로 나눠집니다. 시스템을 설계하는 회사들이 있고 그 설계에 맞춰서 반도체를 생산하는 회사가 있어요. TSMC 말고 최근에 굉장히 많이 각광을 받은 기업이 엔비디아라는 기업이 있죠. 엔비디아라든가 퀄컴 같은 기업들이 시스템 반도체를 설계하는 기업입니다.

그러면 여기서 설계를 하면 TSMC에서 그걸 받아서 실제로 생산을 하는. 그러니까 시스템 반도체 파운드리를 만드는 기업이기 때문에 AI가 뜨게 되면 엔비디아도 함께 각광을 받게 되고 거기서 TSMC가 생산하는 시스템 반도체도 함께 올라가는 이런 추세죠. 시스템 반도체 생산 시장에서 한 60%를 점유하고 있으니까 이 TSMC가 타격을 받는다, 그러면 굉장한 충격을 가져올 수가 있어요.

최근에 벌어진 일인데 가령 요즘은 자동차도 기계라기보다는 하나의 거대한 전자제품이잖아요. 여기에 반도체가 조금이라도 모자라게 되면 생산이 두 달씩 늦춰지게 되죠. 그러니까 이번에 대만에서 지진이 나서 TSMC가 타격을 받는다? 이거는 상당한 충격을 줄 수도 있는 일입니다.

[앵커]
지금 지진이 발생하고 이틀째인데 TSMC가 여전히 작동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습니다. 구체적으로 피해들이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홍기빈]
이를테면 아이폰15프로 같은 경우에 A17 바이오닉칩이라는 게 들어가거든요. 그런데 이런 칩들은 요즘에 진공상태에서 생산이 돼야 돼요.그런데 진공상태에서 생산한다는 것은 그 생산시설 자체가 굉장히 안정된 조건에 있을 때 가능한 거니까 지금 확인을 해 봐야 되겠습니다마는 만약에 지진 때문에 안정된 조건이 훼손됐다고 한다면 기존에 생산됐었던 칩들은 폐기해야 될 가능성이 높아요. 그런데 지금 이런 고도의 제품들은 선주문을 받아서 제작하는 게 대부분이기 때문에 납기일을 제대로 맞추지 못하게 되면 이게 쭉 뒤로 밀리면서 생산기한이 계속 뒤로 연기되면서 한 달, 두 달 이렇게 될 가능성이 있는 거죠.

[앵커]
생각보다 피해가 구체적이고 상당할 것 같은데 지금 TSMC에서는 예상보다는 피해 상황이 큰 편이다, 이렇게 진단을 하고 있거든요. 반도체 공급망이나 가격에도 영향을 미칠 것 같은데 어떻습니까?

[홍기빈]
그렇습니다. 확인을 해 봐야 하는데 아마 피해가 크지는 않다라고 얘기를 했으니까 주요시설이 완전히 파괴됐다든가 이런 일은 없는 모양이에요. 하지만 이걸 점검하고 확인하는 데 가령 일주일이 걸린다, 이주일이 걸린다 그러면 이게 워낙 미세하고 섬세한 생산 부분이기 때문에 이게 품질 컨트롤이라든가 생산물의 품질에... (중략)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2_202404...
▶ 제보 하기 : https://mj.ytn.co.kr/mj/mj_write.php

▣ YTN 유튜브 채널 구독 : http://goo.gl/Ytb5SZ

ⓒ YTN 무단 전재, 재배포금지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Комментарии

Информация по комментариям в разработк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