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디터픽] “北, 올여름 안에 쏠 가능성” 미국서 나온 두려운 전망 / YTN

Описание к видео [에디터픽] “北, 올여름 안에 쏠 가능성” 미국서 나온 두려운 전망 / YTN

Q. DMZ 비무장지대 안에 북한군이 장벽을 세우는 모습이 관측된 건데. 그 길이가 현재는 1km도 안 되고 군 역시도 추가 분석이 필요하다고 했지만 갑자기 이러는 의도는 무엇이라고 보십니까?

A. [조한범 통일연구원 선임연구위원]
모든 큰 그림은 금년 1월 15일날 최고인민회의 시정연설에서 김 위원장이 남북은 전쟁관계... 물론 지난해 연말부터 얘기했죠, 전쟁관계. 철두철미의 주적, 교전관계로 바꿨거든요. 그러면 모든 군 전략도 교전관계에 준하는 것으로 바뀌는 거죠. 그러니까 전투태세도 바뀌었고 모든 면에서 9.19 남북 군사합의로 철거했던 파괴했던 GP에도 병력이 다시 진주했어요. 그러니까 그 일환으로 봐야죠. 그러게 전쟁관계로 전환을 했기 때문에 향후 장벽이 얼마나 길어질지, 아니면 어떤 쪽으로 활용될지는 모르지만 어쨌든 확실한 건 전쟁 관계로 전환했기 때문에 그에 맞는 DMZ 내부의 태세로 전환하고 있다, 이렇게 봐야 되겠죠.

Q. 그리고 또 최근에 보도가 되고 있는데 북한의 신포조선소에서 잠수함, 바지선 등의 움직임이 활발하다는 보도가 나왔습니다. 이게 푸틴 대통령의 방북 이후에 북한이 SLBM 이것의 발사를 준비할 거라는 관측도 나오는 상황, 이것에 대해서는 어떻게 보십니까?

A. 물론 신포에서의 동향은 자주 있어요. 처음은 아닙니다. 아주 뚜렷한 특별한 새로운 동향은 아니고요. 간헐적인 움직임이고 다만 북한의 SLBM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 혹은 잠수함발사순항미사일, SLCM 발사는 시간문제다. 왜냐하면 지난해 9월 김군옥함이라고 해서 824영웅함 여기에 전술핵 공격 잠수함이라고 해서 진수를 시켰거든요. 6월이면 거의 10개월 돼가는데 동향이 전혀 없거든요. 그러면 거기에 SLCM, SLBM 발사관이 식별됐거든요. 그러면 지금 시운전 중이거나 여러 가지 문제를 교정 중일 텐데. 그 문제만 해결되면 거의 쏠 거거든요. 그러면 그 시기가 다가오고 있거든요. 그러니까 바지선에서 쏘는지 아니면 김군옥함에서 쏠 건지 그 여부지 어느 경우든 조만간 SLBM이나 SLCM 발사 가능성은 매우 높은 상황이고. 푸틴 대통령과 관계없이 자기들의 군사적 일정이라고 봐야 돼요.

=====

1. 軍 "北 휴전선 인근 담벼락 기초 공사"...국경선 긋나? (김대겸 기자 / 6.15 보도)
2. 대통령실 "北, DMZ 지뢰매설 계속...'대남 절연' 연결성 보는 중" (6.16 보도)
3. 분주해진 北 신포조선소...SLBM 실험 임박했나 (김문경 기자 / 6.16 보도)
4. "北, DMZ서 담벼락 설치"...러 푸틴, 방북 임박 (조한범 통일연구원 선임연구위원 / 6.16 보도) 중 발췌
5. 한미, 북·러 정상회담에 "군사 협력 심화 안 돼" (김대겸 기자 / 6.14 보도)
6. 북한군 군사분계선 침범...軍 경고사격 받고 돌아가 (조용성 기자 / 6.11 보도)
7. [뉴스나우] 푸틴 방북 임박, 한·중 '견제구'...한반도 정세는? (문성묵 한국국가전략연구원 통일전략센터장 / 6.17 보도) 중 발췌
8. 한미, 북핵 공격 맞설 새 '로드맵' 확정...하반기 훈련 진행 (조용성 기자 / 6.10 보도)
9. IAEA "北 강선 증축 핵시설 완공 단계" (황보선 기자 / 6.4 보도)
10. 미 국방 "인·태 최우선 그러나 한국 핵잠수함은 안돼" (권영희 기자 / 6.1 보도)
11. 北 미사일 더 빨리 부순다...한국형 '사드' 개발 완료 [지금이뉴스] (5.27 보도)
12. 미 "한반도 핵무기 전진배치 계획 없어" (권영희 기자 / 5.31 보도)
13. 전술핵 훈련 나선 러시아...따라하는 북한 (조용성 기자 / 5.26 보도)
14. 정점 향하는 북러 밀착...북한 위협 막을 한국 무기는? (김대영 한국국가전략연구원 연구위원 / 6.15 보도) 중 발췌


#북한 #미국 #핵무기 #전술핵 #slbm #미사일

강재연 ([email protected])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Комментарии

Информация по комментариям в разработк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