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눈판 사이 찔리고·삼키고...장난감 '주의 문구' 살펴야 / YTN

Описание к видео 한눈판 사이 찔리고·삼키고...장난감 '주의 문구' 살펴야 / YTN

"찔리고·삼키고"…장난감 사고 60% 집 안
4살 아이, 장난감 위로 넘어져 얼굴 크게 다쳐
"날카로움 관련 주의 문구 없어"…피해구제 신청
"영유아는 사소한 사고도 치명적…감독 중요"

[앵커]
어린아이들이 장난감을 가지고 놀다가 삼키거나 부딪혀 다치는 경우, 적지 않죠.

사고의 60%는 집 안에서 일어납니다.

장난감에 주의 문구가 제대로 표시돼 있지 않은 경우도 있어 잘 살펴야겠습니다.

김우준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볼에 깊게 파인 상처가 곳곳에 나 있고, 울긋불긋 부어올랐습니다.

장난감을 가지고 놀던 4살 세희가 넘어지면서 생긴 생채기입니다.

송곳처럼 날카로운 장난감 끝에 얼굴을 찍힌 겁니다.

[김재연 / 경기도 하남시 : (아이가) 놀다가 우는 소리가 나서 가보니까 여기(장난감)에 얼굴이 찍혔더라고요.]

제품 포장에는 3살부터 가지고 놀 수 있다고 적혀 있을 뿐 날카로우니 조심하라는 주의사항은 쓰여있지 않았습니다.

아이 엄마는 제조사에 시정을 요구했지만 석 달 넘도록 아무런 조치가 없었고, 결국 소비자원에 피해구제 신청을 냈습니다.

[김재연 / 경기도 하남시 : 이렇게 뾰족하다는 주의 문구가 들어가지 않은 게 너무 잘못된 거 같고, 다른 많은 아이도 이 제품을 구매해서 또 다칠 수 있는 거잖아요. 그래서 뭔가 변화가 있어야 한다고 생각해요.]

장난감 관련 사고는 매년 2천 건 안팎으로 일어나고 있습니다.

2017년부터 2019년까지 총 6천2백여 건의 장난감 관련 안전사고가 접수됐는데, 이 가운데 가정에서 발생한 사고가 3천9백여 건으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습니다.

구슬이나 풍선 같은 물건을 삼키거나 삽입하는 사고가 가장 잦고, 부딪히거나 추락하는 사고가 다음으로 많습니다.

특히 영유아는 사소한 사고가 자칫 사망까지 이어질 수도 있는 만큼 아이 혼자, 혹은 아이들끼리 놀고 있을 때는 더욱 주의 깊게 살펴야 합니다.

[최재훈 / 한국소비자원 위해예방팀 과장 : 사용 중에는 정기적으로 파손됐었는지를 확인해 파손된 장난감은 즉시 수리하거나 폐기해야 하고요. 무엇보다 보호자가 적절히 감독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아울러 장난감을 살 때는 사용 가능 나이와 주의사항을 반드시 확인하고, 자녀의 신체발달 정도를 고려해 선택할 필요가 있습니다.

YTN 김우준[[email protected]]입니다.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YTN은 여러분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카카오톡] YTN을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email protected] [온라인 제보] www.ytn.co.k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3_202005...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email protected], #2424

▣ YTN 유튜브 채널 구독 : http://goo.gl/Ytb5SZ

ⓒ YTN & YTN PLUS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Комментарии

Информация по комментариям в разработк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