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슴벌레, 슬릭백 가능할까요? 다리구조의 비밀을 밝힌다

Описание к видео 사슴벌레, 슬릭백 가능할까요? 다리구조의 비밀을 밝힌다

오늘은 사슴벌레의 걸음걸이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사슴벌레는 기다랗고 두꺼운 다리가 있지만 무겁고 커다란 몸집 때문에 걸어 다니기가 쉽지 않습니다.

사슴벌레는 다리가 몸의 중심에 위치한 ‘무게중심’과 6개의 다리가 ‘삼각형’이라는 안정된 구조로 이동하는 습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사슴벌레의 걸음걸이 방법을 자세히 관찰해 보겠습니다.
우선 각각의 다리에 숫자를 매기면, 왼쪽 앞다리는 1번, 오른쪽 앞다리는 2번 그리고 3번, 4번, 5번 6번

사슴벌레 걸음걸이 패턴을 보면..
1번 다리가 위로 올라가면 4번이 같이 올라갑니다. 동시에 5번이 움직이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마치 슬릭백처럼 공중부양하는 모습처럼 보입니다.

그리고 2번 다리가 위로 올라가면 3번과 6번이 동시에 움직입니다.
움직이는 다리에 선을 그어보면 삼각형 모양인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사슴벌레 #슬릭백 #공중부양 #며느리

이것은 마치 카메라를 고정하는 삼각대처럼 매우 안정된 구조를 유지하기 위한 것입니다.
사슴벌레의 다리는 ‘삼각형’ 모양으로 움직이며, 그 안에서 ‘무게중심’을 잡는 걸음걸이 형태를 가집니다.

얼핏보면 사슴벌레의 걸음걸이는 이리저리 기울어지며 뒤뚱뒤뚱 가고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무게중심을 이용하여 6개의 다리를 가장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것이죠.

================================================
▶ 교육 및 강의, 그룹 수업 문의
[email protected]

▶초, 중등 그룹 과학코칭 / 실험보고서 코칭 / 실험 과학 프레젠테이션 발표
* 곤충학 석사(학위논문: Lignin 분해효소를 생산하는 곤충유래미생물, Serratia marcescens HY-5의 특성/2001년)
* 일본돗토리대학교 특별연구생/1998년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곤충자원생 연구원/2000년
* 국립중앙과학관 푸름라이프사이언스 생명과학운영 /2004년(12년 운영)
* (사)생명의 숲 ‘숲체험 안내자’양성교육
* 누적교육인원 : 25년간 18,500명 /과학공부기술을 전수(트레이닝)
- 유치원: 4,500명(1년 225명)
- 초등 :13,000명(1년 550명)
- 중고등:1,000명

* 집필
- 과학공부의기술 /4차 산업 혁명 시대 우리 아이 이과 뇌 만들기 /김기덕 저/라온북/2018/https://www.yes24.com/Product/Goods/5...
- ㈜NE능률/아이첼린지 부모가이드/‘궁금한 세상으로 다가서게’

* 교육대상
- 과학을 잘 가르치고 싶은데, 전문적으로 내 자녀에게 과학을 가르쳐줄 곳(사람)이 없어 고민인 부모님
- 과학역량을 키우는데 있어서 공교육만으로는 안된다고 생각하는 부모님
- 가르치는 선생님 말고 과학현장에서 일해 본 연구원이나 실무진 출신에게 아이를 맡기고 싶어 부모님
- 내 아이는 과학적인 역량이 크다고 생각하는데, 채워줄 사람(곳)이 없다고 고민인 부모님

Комментарии

Информация по комментариям в разработк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