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설소재길상다라니(佛說消災吉祥陀羅尼) 2시간 - 혜명스님

Описание к видео 불설소재길상다라니(佛說消災吉祥陀羅尼) 2시간 - 혜명스님

부처님이 이르시기를,
"모든 사람이 이 진언을 외우고 있으면 모든 재앙이 사라지고 상서롭고 길한 기운이 내게 돌아오니, 부디 열심히 외워서 진언을 하면 집안에 나쁜 마귀가 도망치고 좋은 일들이 많이 일어난다"라고 하셨습니다.

불교에서 법석을 마련하여 기도드리는 도량 가운데 소재도량이라는 법회가 있다. 고려 문종 즉위년(1046) 10월 처음 봉행한 밀교의식인 소재도량(消災道場)은 불교도량 가운데 재난에서의 구원은 물론이고 이를 예방하기 위한 예방법회의 성격을 갖는 유일한 도량이다.

세종 당시 불교개혁에 관한 양봉래의 상소문을 보면 “어떠한 변괴든지 있게 되면 열었던 불사가 바로 소재도량”이라고 하였을 정도로 고려의 비정기적 불교의례 가운데 가장 많이 개설된 법회이다.

인간의 능력으로 피할 수 없는 하늘과 땅의 불길한 징후를 소멸시켜 앞으로 다가올지도 모르는 어려움을 미리 예방하려는 소재도량에서 모셨던 부처님은 ‘금륜불정치성광여래’이다.

고려시대 팔만대장경에 실린 ‘불설대위덕금륜불정치성광여래소제일체재난다라니경(佛說大威德金輪佛頂熾盛光如來消除一切災難陀羅尼經)’을 보면 온갖 재앙과 환란이 있을 때 도량을 세워 다라니를 외우며 치성광여래에게 기도를 드리면 재난이 사라지고

8만 가지 상서로운 일을 성취할 뿐만 아니라 8만 가지 나쁜 일을 없앨 수 있다고 한다. 소재도량에서 기도드리며 암송했던 치성광다라니는 불자님들이 사찰에서 한 번은 들어 보았을 소재길상다라니이다.

치성광여래는 밤하늘에 빛나는 수많은 별들의 황제인 북극성을 의미하는 부처님으로 손에 세상을 평정하는 금륜을 가지고 있어 금륜불정치성광여래라고도 한다. 치성광여래 신앙은 점성을 통해 얻은 점괘에 의거하여 닥쳐올 재앙을 미리 소멸하기 위해 기도하는 신앙이기 때문에 소재도량 개설의 본래 목적은 하늘의 별이 궤도를 벗어남에 따라 발생하는 천변(天變)을 물리치기 위한 것이다.

하지만 점차 ‘천인감응’이라는 의미로 확대되어 땅에서 발생하는 자연재해도 기양(祈禳)하는 대상이 되어 고려시대 원종은 개경에 지진이 발생하자 궁궐에서 소재도량을 열어 재앙소멸을 기원하였고 공민왕 역시 소재도량을 열어 지진이 일어나지 않게 해달라고 빌었다.

치성광여래 신앙은 본디 하늘의 별에게 소원을 비는 점성신앙에 그 기원을 두고 있어 별점에 이용되는 움직이는 행성들이 주요한 도상의 구성요소가 된다. 그래서 치성광여래 신앙을 표현한 미술품에 등장하는 인물 대부분은 밤하늘의 별을 의인화하여 나타낸 것이다.

고려시대까지만 해도 지구를 도는 행성이 신앙의 주요대상이었기 때문에 치성광여래 좌우와 대좌 아래에는 지구 주위를 도는 아홉 개의 행성을 나타낸 구요(九曜, 일월화수목금토성 일곱별, 라후와 계도라는 보이지 않는 두 개의 별)가 두 손을 모아 홀을 가진 형태로 서 있다.

그리고 치성광여래 삼존의 위에 있는 일곱명의 인물은 우리나라 치성광여래 도상에서만 보이는 북두칠성이다. 칠성의 옛 모습은 머리를 풀어헤친 형상이라서 성현은 ‘용재총화’에서 소격서 태일전(도교의 영향을 받아 하늘과 별에 제사를 지내던 조선의 관청이며 오늘날의 대통령 직속 종교자문위원회에 해당하기도 함)에 모셔진 칠성들이 모두 여자의 모습이라 하였다.

조선이 건국되고 유교가 통치이념이 되면서 불교의 의례, 특히 밤하늘의 별과 관련을 갖는 치성광여래 신앙은 미신으로 터부시 되어 국가적 차원의 소재도량 개설은 조선 초기 몇 번을 제외하고는 열리지 않았다.

하지만 병들어 늙고 죽는 것에 대한 두려움과 초자연적인 현상에 대한 공포는 유교적 교리로는 해소될 수 없는 신앙적 차원의 문제였기에 뿌리 깊은 성수신앙에 기반을 두고 있는 치성광여래 신앙은 백성들의 호응이 높아 그 명맥을 유지하게 되었다.

미증유의 코로나19사태로 인해 평생을 살면서 한 번도 겪어보지 못했을 재난의 공포는 쉽게 잊히지 않을 고통스러운 기억으로 남을 것이다. 두려움에 처한 인간의 나약함을 미신이든, 비과학적이든 밤하늘의 별들에게 마음만이라도 편안케 해 달라고 기도라도 드려야겠다.
법보신문
#혜명스님 #길상다라니 #보은사 #소재길상다라니 #사대주

Комментарии

Информация по комментариям в разработк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