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제원정 전야 왕권강화에 나선 무열왕 | [다큐멘터리 역사를 찾아서 신라편

Описание к видео 백제원정 전야 왕권강화에 나선 무열왕 | [다큐멘터리 역사를 찾아서 신라편

[다큐멘터리 역사를 찾아서 신라편 #0190] 백제원정 전야 왕권강화에 나선 무열왕 | KBS라디오 20080607 방송

방송일자 2008-06-07

진행자 김연갑
연출자 임종성
작가 이상락

출연자

음악 박복규
효과 신현파 정영민 노동걸 김기평 기술 김남희


초록

멸망한 가야 출신으로 뛰어난 문장실력을 인정받아 신라의 17관등 중 제8등급에 해당하는 사찬 벼슬에 오른 인물 '강수' 에 대한 기록
무열왕이 즉위 후 상대등에 김유신이 아닌 금강을 임명한 배경
무열왕이 자신의 가장 강력한 후원자인 김유신을 상대등에 임명하지 못한 배경
삼국사기 신라본기 무열왕 2년, 고구려와 백제가 연합하여 신라를 침공, 북쪽 변경의 33개 성을 빼앗았다는 기록의 진위 분석
서기 655년 3월, 무열왕이 자신의 아들들을 대거 요직에 등용
친위세력을 확충해 왕권을 강화하겠다는 목적
삼국사기 무열왕조 655년에서 659년까지 사이에 집중적으로 수록돼 있는 이변기사들 소개
무열왕 2년 10월, '왕녀 지조를 대각찬 김유신에게 시집보냈다'라는 삼국사기 신라본기 무열왕조 내용 분석
왕녀가 김유신의 여동생 문희와 김춘추 사이에서 출생한 딸인지 여부
무열왕이 또 다른 실권자인 김유신에게 자신의 딸을 출가시킨 의도
무열왕이 둘째 아들 김인문을 국내에 머무를 시간을 주지 않고 계속 당나라로 보낸 이유
서기 658년, 신라 조정에서 하슬라의 소경을 두고 벌어진 존폐논란 배경과 목적
적의 침입에 효율적으로 방어하기 휘한 군사방어체제를 갖추려는 의도
삼국사기 열전편 김유신 전에 실린 김유신과 조미곤, 그리고 백제의 최평 임자에 관한 기사 내용 분석
무열왕 6년 1월(서기 659년), 옛 임금의 신하였던 혼령이 나타나 무열왕에게 당나라의 백제 공격 시기를 알려주었다는 삼국사기 신라 본기 내용 분석


인서트리스트

01무열왕이 즉위 후 그의 강력한 후원자였던 김유신을 가장 높은 자리인 상대등에 임명하지 않은 이유를 분석하는 전덕재 경주대학교수 06:31 07:16
02무열왕이 상대등에 금강을 임명한 것에는 반대세력에 대한 유화적 의도가 숨어있다고 분석하는 주보돈 경북대사학과교수 07:42 08:16
03무열왕 2년 시기 고구려와 백제가 군사연합을 해서 신라를 침공했다는 기록을 사실대로 믿기 어렵다고 분석하는 배경을 설명하는 주보돈 경북대사학과교수 10:26 11:09
04무열왕 2년 고구려와 백제가 군사연합을 하여 신라는 침공했다는 연화설을 믿을 만한 사실로 분석하는 전덕대 경주대학교수 12:03 12:45
05삼국사기 신라본기나 중국 당서에 백제가 고구려와 연합하여 신라를 친다는 기사가 자주 등장하는 이유를 분석하는 주보돈 경북대사학과교수 14:27 15:05
06무열왕이 자신의 아들들을 대거 요직에 등용한 배경을 분석하는 주보돈 경북대사학과교수 16:37 17:14
07무열왕이 자신의 어린 아들들을 고관으로 기용한 것은 왕권강화의 목적일 것이라고 분석하는 전덕재 경주대학교수 17:43 18:25
08무열왕이 자신의 권력기반 구축을 위해 왕자들을 대거 중용했지만 나중에는 소외세력의 반발로 무열왕 직계가 무너지게 된다고 설명하는 주보돈 경북대사학과교수 18:52 19:30
09삼국사기 신라본기 무열왕 655년부터 659년 사이에 집중적으로 이변기사들이 수록되어 있는 이유를 분석하는 전덕재 경주대학교수 21:12 22:00
10무열왕 2년에 토함산 밑의 땅에 불이 붙어 3년 동안이나 탔다는 삼국사기 기사를 운석, 즉 별똥이 떨어진 것으로 보는 이유를 설명하는 전덕재 경주대학교수 23:33 24:18
11무열왕이 김유신에게 시집보낸 왕녀가 김유신 여동생과의 사이에서 출생한 딸인지 여부와 이러한 혼인이 이루어진 배경을 분석하는 전덕재 경주대학교수 26:55 27:33
12김유신이 자신의 여동생의 딸을 아내로 맞아 다섯 명의 아들을 두었다는 기록에 대해 진실 여부를 분석하는 주보돈 경북대사학과교수 28:04 28:52
13무열왕이 둘째아들 김인문에게 국내에 머무를 시간을 별로 주지 않고 자꾸만 당나라로 보낸 배경을 분석하는 주보돈 경북대사학과교수 33:30 34:08
14서기 658년, 강릉지방에 설치되어 있던 하슬라의 북소경에 대한 존폐문제가 거론된 배경을 분석하는 전덕재 경주대학교수 36:35 37:08
15무열왕이 하슬라의 소경을 파하기로 결정한 것은 군사방어체제를 강화하기 위함이라고 분석하는 주보돈 경북대사학과교수 38:40 39:16
16김유신이 백제의 좌평 임자를 접촉한 배경과 목적을 분석하는 전덕재 경주대학교수 43:27 44:05
17삼국사기 신라본기 열전편 김유신 전은 미화된 부분이 없지 않지만 김유신은 탁월한 능력을 가진 책략가라고 평가하는 주보돈 경북대사학과교수 44:54 45:31
18김유신이 비밀리에 백제 의자왕에게 보낸 금화라는 무녀에 대한 기록이 조선상고사에만 나오고 있는 이유를 말하는 주보돈 경북대사학과교수 48:03 49:39
19신채호가 조선상고사에서 기록한 금화에 얽힌 설화에서 금화라는 인물은 신채호가 스스로 지어 붙인 이름일 것이라고 설명하는 전덕재 경주대학교수 50:22 51:04

Комментарии

Информация по комментариям в разработк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