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성 2편 - 외계행성, 생명체 존재 가능성

Описание к видео 행성 2편 - 외계행성, 생명체 존재 가능성

. . . .
항성들에 비해
행성들은 그 밝기가 너무 어둡기 때문에
행성을 발견하는 것은
항성을 발견하는 것보다
훨씬 더 어렵다고 할 수 있습니다.

항성의 백만분의 일도 안되는
빛세기를 갖고 있고
행성이 공전하고 있는 항성의 강한 빛때문에
행성의 어렴픗한 빛을 가려내는 것은 정말 힘든 작업이 아닐 수 없습니다.

지금까지 외계행성의 발견은
간접적인 방법인
시선속도법에 의해 발견하였습니다.

도플러 분광법이라고도 불리는 이 방법은
행성이 항성의 주위를 돌 때,
서로의 중력 영향으로 인해
행성과 항성 모두 약간의 진동을 하게되는데
항성으로부터 이러한 진동을 관측함으로써
행성의 존재 여부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또 다른 행성의 관측방법으로는 횡단법 또는
통과법이라고 불리는 관측방법을 이용하였는데
행성이 지구의 관측자와 항성 사이에 위치할 때
관측하는 방법입니다.
. . . .

Source :    / @mr-wooju  
Image Source :
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
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
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
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
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
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
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
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
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
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
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
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
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
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
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
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
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
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
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
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
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
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
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
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

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
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
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
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
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
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

#외계행성#우주다큐
[email protected]

Комментарии

Информация по комментариям в разработк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