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065차 2,112회 답사
2023년 11월 26일, 화성시에 위치한 철마산 서학산을 답사했다. 들머리는 마당바위로, 덕우저수지 수문 좌측 개척 능선, 날머리는 삼천병마로 탄운이정근창의탑을 거쳐 장짐교차로 정류장이었다. 산행 거리는 8.6km, 소요 시간은 3시간 15분 이었다. 여정 기록은 챗GPT와 Bard, 트랭그, 가민, 스냅은 울트라23, 영상은 Pr, 음악은 Soundraw를 사용했다.
오전 9시 18분 : 평택역에서 출발하여 수원역으로 향했다.
오전 10시 18분 : 수원역에서 들머리행 35번 버스에 올랐다.
오전 11시 : 팔탄입구에서 하차, 사전에 검토한 경로 마당바위로, 덕우저수지로 향했다. 이내 저수지 수문 좌측 개척 능선으로 오르기 시작했다. 늦가을 낙엽이 쌓인 상쾌한 오름 구간을 이어갔다.
오전 11시 52분 : 2,111번째 철마산 해발 168m의 정상에 도착했다. 가을 빛 물든 나무 잎새 사이로 시원스레 트인 전망은 없으나, 멀리 산야가 정겹게 펼쳐보인다. 국토정보원 자료에 따르면 이 지점은 1,299번 표고점 남양 037 산이다.
철마산을 뒤로하고, 늦가을, 낙옆진 바위 안부 구간을 지나 도로 구간을 거쳐 '앱'을 확인 하면서 서학산 들머리로 이어간다.
오후 1시 15분 : 2,112번째 서학산 143m 정상 바위능선 안부를 거쳐 팔각정에 도착했다. 국토정보원 자료에 따르면 이 지점은 1,303번 표고점 남양 047 산이다.
이어지는 날머리 경로는 삼천병마로 탄운이정근창의탑 였다.
오후 3시 15분 : 장짐교차로 정류장에서 종료한다. 이내 111번 오산역행 버스에 올라 오늘 여정을 마무리했다.
산행 소감
철마산 들머리는 비교적 짧은 거리에 덕우저수지 수문 좌측 개척 구간은 앱을 확인하고, 위성 지형도를 활용하면 쉬운 코스이다. 한편 서학산은 이정목을 따라 가벼운 산행을 즐기기에 좋은 곳이었다. 특히, 서학산 정상에서 바라본 전망은 가을의 정취를 만끽하기에 충분했다.
산행 기록
산행 일자: 2023년 11월 26일
산행 장소: 화성시
들머리: 덕우저수지 수문 좌측 개척 능선
날머리: 삼천병마로 탄운이정근창의탑 장짐교차로 정류장
산행 거리: 8.6km
소요 시간: 3시간 15분
여정 기록: 챗GPT, Bard
앱:가민, 트랭글(https://www.tranggle.com/course/TTViV...
스냅: 울트라23
영상: Pr
음악: Soundraw
국토정보플랫폼 한국지명유래집 자료
봉담읍 峰潭邑 Bongdam-eup 시의 북동부에 위치한 읍이다. 현재의 봉담읍은『호구총수』기록 당시 모 지면(芼旨面)·삼봉면(三峰面)·갓등면(Q等面)·정송면 (貞松面)으로 구분되어 있었다. 모지면에는 오늘날의 수 영리가, 삼봉면에는 오늘날의 동화리(驛村으로 기록됨, 즉 옛 동화역이 있던 곳)와 내리(內洞里로 기록됨)가, 갓 등면에는 오늘날의 세곡리(細里로 기록됨)와 마하리(馬乙里로 기록됨)가 각각 속해 있었다. 또 정송면에는 오늘 날의 분천리가 속해 있었다.『팔도군현지도』나『팔도지 도』,『해동여지도』등 이 무렵에 제작된 고지도에서는 모지면·삼봉면·갓등면의 3개 면은 거의한 곳에 붙어있 는 것처럼 표현되어 있다. 다만 정송면은『동국여도』에만 모지면 아래쪽에 표시되어 있다. 1831년에 편찬된『화성
지』에 따르면 현재의 봉담면은 삼봉면과 갈담면 관할지 역으로 기록되어 있다. 갈담면은 이전의 정송면이 폐지되 고 그 일부가 갈담면으로 되었다. 또 모지면은 삼봉면에 합쳐졌다고『화성지』에 기록되어 있다. 갓등면의 통폐합 에 대해 아무런 기록이 없지만, 이 역시 갈담면에 포함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 무렵에 제작된『1872지방지도』를 보면, 현재의 봉담읍 왕림리 일대(삼천병마골로 표기)가 삼봉면과 갈담면의 경계인 것으로 나타나 있다. 삼봉면과 갈담면은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봉담면으로 통합되었 다. 1998년에 봉담읍으로 승격하였다. 봉담이라는 면 이름 중에‘봉’은 옛 면 이름 삼봉면에서 따온 것이고 이때 삼봉은 이곳의 산 이름 삼봉산에서 따온 것이다.
Информация по комментариям в разработк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