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은 도움 안 돼” = 진짜인가?

Описание к видео “문학은 도움 안 돼” = 진짜인가?

편집 : 장관 (김엽)
디자인 : 차관 (박혜진)

[참고 문헌]
* 인용은 따로 본문에 각주로 표기합니다
* 꺽쇠 괄호 표기X

강민규. "이월된 ‘불확실성’과 문학 독서 체험의 시간적 형식들 : 문학교육의 사회적 지평 확장을 위한 모색." 독서연구 -.70 (2024): 9-44.
최미숙. (2024). ‘문학적 지성(Literary intelligence)’의 신장을 위한 문학교육. 국어교육, 184, 73-105.
유현주. (2014). 문자와 책의 운명 - 텍스트의 해체 혹은 문자의 코드화 -. 인문과학, 100, 21-43.
서혁. (2023). 독서 사회의 변화와 새로운 독서 교육 : 독서 환경의 변화와 교육적 대응을 중심으로. 독서연구,(68), 9-33.
오리사. (2024). 문학교육을 통한 생태전환교육의 방향 탐색 - 아도르노의 미메시스 개념을 중심으로-. 문학과환경, 23(1), 57-81.
박성애. (2022). 과잉되고 우회하는 말하기와 윤리적 듣기 - 송미경의 『광인 수술 보고서』를 중심으로 -. 아동청소년문학연구,(30), 41-72, 10.24993/JKLCY.2022.06.30.41
이인제. (2013). 소통, 화합, 문화 융성의 핵심 역량으로서 독서 능력 향상 정책의 방향. 청람어문교육,(48), 225-288.
조성면. (2007). 문학의 시정성을 회복하자. 오늘의 문예비평,, 85-101.
정연희. (2015). 스마트 시대의 대학교양교육에서 독서교육의 의미와 방향. 어문논집,(75), 147-170.
김선남, 김희주. (2019). 수용자의 독서행태에 관한 연구 : 연령별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출판학연구, 45(6), 5-24.
김혜원. (2019). 문학을 활용한 시민교육의 가능성 연구 -이야기그림책을 중심으로. 한중인문학연구,(65), 23-49.
김중신. (1994). 문학작품의 선정과 배열에 관한 고찰 - 문학작품 독서의 범주 -. 국어교육연구, 1, 217-230.
최명호. (2013). 문학적 독서의 전형, 보르헤스의 『틀뢴, 우크바르, 오르비스 떼르띠우스』. 중남미연구, 32(3), 51-81.
차호일. (2006). 독서와 문학의 통합적 접근을 통한 시 감상 전략. 비평문학,(23), 225-251.
하은하. (2023). 팬데믹 기간 학교 밖 성인 대상 문학교육 사례와 그 의의. 문학교육학,(80), 147-183.
김성진. (2022). ‘근대 문학의 종언’과 문학교육 - 읽기 중심주의에 대한 성찰 -. 문학교육학,(76), 87-112.
유은순, 류선정. (2023). 디지털 시대의 새로운 문학 읽기 : 알베르 카뮈(Albert Camus)의 디지털문학관 구축. 인문콘텐츠,(71), 107-135, 10.18658/humancon.2023.12.107
유은순, 류선정. (2023). 디지털 시대의 새로운 문학 읽기 : 알베르 카뮈(Albert Camus)의 디지털문학관 구축. 인문콘텐츠,(71), 107-135, 10.18658/humancon.2023.12.107
유광수. (2023). 고전문학의 계승과 확장 방안 -블로그, 팟캐스트 연재의 경우-. 열상고전연구,(80), 195-234.
최인자. (2008). 디지털 시대, 문학 고전 읽기 방식 -고전 변용 텍스트의 상호매체적,상호문화적 읽기를 중심으로. 독서연구,(19), 97-128.
김민화. (2008). 독자의 내용이해 방식이 독서를 통한 행복경험에 미치는 영향. 어린이문학교육연구, 9(2), 51-75.
김혜진. (2021). 독자의 능동성에 대한 문학교육적 고찰 - 카타르시스와 정동 이론을 중심으로 -. 문학교육학,(71), 73-106.
이국환. (2013). 독서, 연민과 자기 이해의 여정. 국제언어문학,(28), 25-51.
최인자. (2008). 문학독서의 사회문화적 모델과 '맥락' 중심 문학교육의 원리. 문학교육학,(25), 427-450.
변학수. (2010). 문학 독서와 치유독자. 독서연구,(23), 107-135.
최인자. (2016). 인성교육을 위한 ‘자기이해와 수용’의 문학 독서: 박경리 소설 '토지'를 중심으로. 독서연구,(41), 93-118.
이국환. (2019). 미메시스의 재해석을 통한 독서 이론과 환상문학의 가치와 자질 연구. 시민인문학,(37), 175-200.
김해인. (2020). 성인 애독자와 비독자의 독서 가치와 목적 인식 비교. 독서연구,(56), 97-138.
최은순. (2021). 공부방법으로서 독서의 잃어버린 차원: ‘렉시오 디비나’의 교육학적 함의. 교육철학연구, 43(4), 213-234.
홍단비. (2021). 초연결시대 독서의 의미와 치유적 활용 가능성 -초연결시대의 특징과 병리성을 중심으로-. 독서치료연구, 13(1), 73-90.
이국희. (2022). 생산적 독서 습관과 독서에 대한 해석이 독서에 미치는 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2(5), 565-575.
이재기. (2021). 재난의 일상성, 독서를 통한 자기 돌봄의 탐색. 독서연구,(60), 37-61, 10.17095/JRR.2021.60.2
이덕재. (2022). 디지털 인문학의 독서법 -멀리서 읽기에 관한 성찰-. 인문과학, 126, 175-209.
백희정. (2022). ‘향유 독자’의 삶에 관한 내러티브 연구 : 소유와 치유, 사유의 의미로서 독서 경험과 성장. 인성교육연구, 7(2), 223-245.
최진석. (2024). 인공지능과 문학의 가치에 대한 시론 ― 휴머니즘 이후 문학성의 미-래. 비평문학,(91), 263-293, 10.31313/LC.2024.03.91.263
정은해. (2005). 문학과 독서에 대한 예술이론적 해석-가다머를 중심으로-. 현대유럽철학연구,(11), 107-146.
이세나. (2023). 독서 능력과 읽기 능력의 연구 동향 비교 분석.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54(3), 223-248.
정보미. (2024). 매체와 문학의 통합 교육을 위한 시론 - 매체 중심 문학사 교육을 중심으로-. 우리문학연구, 81, 121-159, 10.20864/skl.2024.1.81.121
염은열. (2023). 문학하는 시대, 다시 문학 속으로. 문학교육학,(79), 261-291.
이도흠. (2022). 고전문학에서 소통의 장애와 극복방안. 고전문학연구,(62), 183-215.
백원근 /Wonkeun Baek. (2014). 하이브리드 독서문화의 현황과 발전 과제. 한국출판학연구, 40(3), 113-136.
오문석. (2012). 디지털 시대의 문학교육. 열린정신 인문학연구, 13(2), 35-55.
박진경. (2015). 고등학생 인성함양을 위한 문학 독서교육. 수사학, 22, 99-139.
朴寅基. (1994). 문학 독서 방법의 상위적 이해. 국어교육연구, 1, 247-263.
변학수. (2011). 문학수업과 감성능력. 카프카연구, 26, 331-351.
김종갑. (2013). 문학 치료와 I. A. 리처즈의 독서이론. 문학치료연구, 27, 225-249.
원영선. (2013). 문학치료와 영문학 연구 : 독서(행위)의 영향에 관한 소고(小考). 문학치료연구, 29, 265-295.
김동환. (2020). 디지털 미디어 환경과 문학 독서 교육. 문학교육학,(66), 9-29.
최인자. (2019). 문학 독자의 내면변화를 촉진하는 마음기제로서의 ‘은유’와 독서 은유 스토리텔링 교육. 문학교육학,(63), 275-303.
최지현. (2007). 문학독서의 원리와 방법. 독서연구,(17), 63-82.
김혜정. (2019). 미디어 시대의 책맹(비독서) 현상과 독서 교육의 방향. 독서연구,(52), 9-49.
김동영. (2024). 겸허함, 현대적 우울을 살아가기 위한 문학적 태도 - 작가와 독자를 잇는 윤리적 독서 시론(試論). 국어교육연구, 84, 231-262.

Комментарии

Информация по комментариям в разработк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