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가 예전에 방문했던 林本源園邸가 갑자기 생각나네요.
옛기억을 떠올리며 林本源園邸 홈페이지와 위키피디아를 참고해서 정리했습니다.
이곳은 대만 신베이시 반차오에 있는 린 가문의 저택과 정원입니다.
Tainan Wu Garden,
Hsinchu Beiguo Garden(新竹北郭園),
Wufeng Lin Family Mansion and Garden과 함께
대만의 4대 정원(台灣四大名園)으로 불립니다.
이곳의 면적은 약 20000제곱미터(6000평)입니다. 1847년에 린 가문의 "접객용 주택"으로 지어졌습니다.
나중에 린궈화(林國华)와 린궈팡(林國鋒) 형제가 확장하여 린 가문의 주택이 되었습니다.
지금은 2급 역사 유적지로 지정되어 관리되고 있습니다.
저택 내부에 들어가려면 투어 가이드가 필요합니다.
감상하는 순서가 있다고?
林本源園邸의 전통 중국정원은 감상하는 순서가 있습니다.
먼저 책이 있는 도서관 汲古書屋을 보고, 그 다음에 우아하고 평화로운 연못의 方鑑齋를 보고,
그 다음에 가장 호화로운 來青閣을 보게 됩니다.
그러면 점차 정원 설계자와 장인이 만든 경이로움을 깨닫게 될 것입니다.
예를 들어, 汲古書屋에서 方鑑齋까지는 어둡고 조용한 복도를 지나야 합니다.
갑자기 눈앞에 찬란한 연못이 보입니다.
연못은 눈을 뜨게 하고 중국 시에서 "산길 끝에는 나갈 길이 없는 듯하다. 어둠 속에서 다시 마을과 아름다운 꽃이 보인다"고 묘사한 것처럼 놀라게 합니다.
작은 것에서 큰 것을 보다.
자연 속의 엄청난 산과 물과 비교하면, 가족 정원의 산과 물은 비교적 작고 귀여워 보입니다.
어떻게 하면 제한된 공간에서 전망을 즐길 뿐만 아니라 동시에 무한한 우주에 대한 감각을 가질 수 있을까요?
이를 위해 조경 디자이너는 비교와 대비 설정과 같은 기술을 사용합니다.
크고 작은, 멀고 가까운, 밝고 어두운 대비로 방문객은 공간이 넓다는 착각을 하게 됩니다.
저도 실제로 경험해보니 무슨 말인지 알겠더군요.
다른 방향으로 보기
전통적인 중국 정원에서는 경로가 서로 다른 고도로 구불구불합니다.
복도, 벽, 다리도 사람들이 앞으로 나아가도록 이끌기 위해 사용되므로 방문객의 눈에 보이는 경치는 수평이 아닙니다.
투어 경로를 따라 정원 디자이너는 산, 물, 건물, 꽃, 나무를 사용하여 매력적인 장면을 구성하고 방문객에게 조금씩 인상을 줍니다.
다양성과 통일성
林本源園邸는 영적 삶을 추구하고 관리와 부유한 사업가를 접대하는 장소입니다.
정원 내부에는 다양하고 다른 시설이 있으며, 독특한 기능이 있지만 명확한 질서가 있어 전체적으로 통합될 수도 있습니다.
전체 장소는 네 개의 구역으로 나뉩니다.
첫 번째는 서재 도서관 연못이며,
두 번째는 귀빈들이 휴식을 취하고, 모임을 갖거나, 회의를 하는 공간입니다. 두 번째 공간에는 공연장과 화단 등이 함께 있습니다.
세 번째는 파티가 열리는 공간입니다. 이곳에도 연못이 있습니다.
네 번째는 관자루과 榕蔭大池가 있는 숙박공간이죠.
또한, 이곳의 정원 디자인은 섬세한 배열에 많은 중점을 둡니다.
건물에 풍부하고 다채로운 이미지를 제공합니다.
30가지 이상의 꽃 모양 창문을 찾을 수 있습니다.
각각 고유한 특성이 있지만 풍경과도 일치합니다.
중국 목조 건축에서 가로대를 지지하는 기둥 꼭대기의 목재 브래킷 시스템은 용호랑이와 같은 다양한 형태를 가지고 있습니다.
일부 용호랑이는 귀엽고 흥미롭지만 다른 용호랑이는 용감하고 자랑스럽습니다.
일부는 관공(중국 문화의 영웅)의 칼 모양이나 "여의"(장식품은 중국 문화에서 행운을 의미) 모양으로 지어졌습니다.
건물과 통합된 이러한 변화는 방문객이 가는 곳마다 놀라움을 선사하고 끌어들입니다.
거리가 없는 풍경
고대 원예 설계자 ‘지청’은 "빌려온 풍경 사이에는 거리가 없다"고 말했습니다.
즉, 자연의 산과 물 풍경, 유명한 사찰과 정자 그림자를 빌려서 정원의 건물과 통합하여 내부 풍경의 일부로 만들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來青閣과 觀稼樓에 올라가면 북쪽으로 단수이 강과 카우안인 산을 볼 수 있으며 정원의 경치를 감상할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멀리서 농부들이 땅에서 열심히 일하는 것도 볼 수 있었구요.
우리나라의 서원같은 곳에 있는 누각에서 볼 수 있는 풍경과 유사합니다.
하지만 지금은 도시로 둘러싸여 외부의 풍경을 가져올 수 없게 되었지요.
풍경을 그림으로 감상하다.
가끔 건물의 창문을 통해 좋은 그림 프레임이 있는 풍경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풍경을 표시하는 기술입니다.
문, 창문 또는 두 기둥 사이의 공간을 사용하여 프레임을 형성하므로 아름다운 풍경이 그림으로 표시됩니다.
장애물로 시야를 조정하다.
전통적인 중국 정원에서 설계자는 의도적으로 방문객이 모든 것을 동시에 볼 수 있도록 허용하지 않습니다.
방문객이 첫눈에 전체 정원을 볼 수 있다면 전혀 관심이 없습니다.
따라서 장애물을 시야에 적절하게 사용하는 것은 정원 설계자의 놀라운 아이디어가 됩니다.
林本源園邸의 건축
삼락대저택 - 세 채의 큰 집(三落大厝)
지구슈우(汲古書屋)
방건자이(方鑑齋)
라이칭거(來青閣)
무지개 달 다리
(Rainbow- Moon Arched Bridge)
향위이(香玉簃)
유보수이셰(月波水榭)
정경탕(定靜堂)
정경탕(定靜堂)이라는 이름은 대학(大學)의 ". 그리고 결심하면 평온하고 흔들리지 아니함을 얻을 수 있다"(定而後能)는 구절에서 유래되었으며, 이 홀의 이름이 적힌 현판은 린웨이위안 (林衛園)이 직접 지었습니다.
사합원인 정경탕은 정원 내에서 가장 넓은 공간을 차지하고 있으며, 앞뒤 안뜰을 연결하는 정자가 있습니다.
창문이나 문이 없는 두 개의 복도가 설치되어 있으며, 안뜰(天井)을 마주보고 있습니다.
예전에는 연회를 열기 위한 장소였으며, 홀 중앙에는 야외 갤러리와 정자에서 잔치를 벌일 수 있었는데, 100명 이상의 손님을 수용할 수 있습니다.
정경탕의 외관은 주거 공간과 비슷하며, 양 끝의 울타리는 팔각형 기와를 사용하고 벽에는 나비와 박쥐 모양의 투각 창문이 있어 "복을 베푸다"(賜福)를 상징합니다.
내 외부의 모습을 사진으로 보여드립니다.
관자루(觀稼樓)
삼원저택과 가까운 곳에 있기 때문에 정원 내에서 비교적 오래된 건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관자(觀稼)’라는 이름은 이곳에서 멀리 있는 관음산(觀音山) 아래 농부들이 밭을 가꾸는 모습을 볼 수 있었기 때문입니다.
이 건물은 풍경을 가리는 기능을 하기도 하는데, 인공 연못과 바위산을 보이지 않게 합니다.
관루루(觀碌樓)를 중심으로 양쪽에 구부러진 복도가 있고, 이 복도를 따라 가면 각각 방향 감각을 잃어버리는 느낌이 듭니다.
건물 앞에는 팔각형 문 구멍과 해탕이라는 이름의 연못이 있습니다.
연못은 작고 좁지만, 곡선 돌 난간과 아치 모양의 다리로 설계되었습니다.
그런 다음 돌아서면 작고 외딴 안뜰이 있습니다.
탑 앞쪽의 작은 안뜰 울타리는 책 두루마리 모양의 조각 벽이 있는데, "문을 열면 산을 볼 수 있다(開門見山)"는 속담이 있습니다.
이것은 "문을 열면 책을 읽을 수 있다"와 더 비슷하며, 아마도 "책을 읽는 데는 이로움이 있다(開卷有益)"는 이 문장의 은유적 표현일 것입니다.
이 건물에서 더욱 매혹적인 것은 벽에 있는 창문입니다.
과일 모양의 투각 창문은 석류, 호박, 불로장생을 의미하는 복숭아, 감을 모티브로 각각 복(福), 수(祿), 장수(壽), 행복(喜)의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누각에서 바라보면 관음산 아래의 들판이 보이고, 논 사이의 산책로가 합쳐지고, 전원 풍경이 보이는데, 마치 이 건물의 이름이 유래한 원명원의 "다자루윈(多稼如雲)"에 있는 것 같다고 하네요.
건물 근처에 공작 정원이 있습니다.
공작 정원 맞은편 인공 산의 동굴에서 원숭이를 키웠습니다.
돈을 모으는 것은 중국어로 원숭이와 귀족을 발음하는 것이 같기 때문에 귀족으로 지명되는 것을 의미했습니다.
롱인다치(榕蔭大池)
榕蔭大池는 거대한 용나무가 그림자를 만들고 있어 “용음대지”라고 합니다.
연못의 중심에는 작은 섬이 있고, 아치형 돌다리로 연결되었습니다.
섬위에는 방형 정자가 있으며, 옛날에는 "운금종(雲錦淙)" 이라는 편액이 걸려있었는데, 물이 모이는 수면이라는 뜻입니다.
못의 북쪽에는 병풍처럼 늘어선 가산들이 있습니다.
정원 내에서 가장 큰 연못으로 많은 반얀나무가 깊이 뿌리를 내리고 있으며 북쪽 제방에는 린가 롱시(龍溪), 장저우 조상 마을의 돌이 인공 언덕으로 배열되어 있습니다.
연못 북쪽에 서 있는 인공 산은 린의 고향 장저우의 풍경을 모방했습니다.
연못은 삼각형, 사각형, 마름모, 팔각형, 두 개의 겹치는 평행사변형 등 다양한 모양의 정자로 둘러싸여 있습니다.
또한 각각 메이화우, 디아오위지, 원진종 등 고유한 이름을 가지고 있습니다.
롱인다치는 불규칙한 모양의 지그재그 연못으로 관자루를 마주보고 있습니다.
제방을 따라 보트를 정박할 수 있습니다.
연못 주변에는 팔각형 정자, 마름모 모양의 정자, 마름모 모양의 접힌 정자 등 다양한 모양의 정자가 있으며 지형에 따라 변화와 독창성을 만들어냅니다.
정자는 여행 코스 중간에 휴식을 취하고 먼 경치를 보는 장소일 뿐만 아니라 시선을 사로잡는 스포트라이트이기도 합니다.
아래를 보거나 위를 보는 시각을 기반으로 지어졌습니다.
정자의 지붕 스타일은 중국 건축에서 소위 "잔-지엔" 외에도 "셰-산" 스타일이 가장 일반적입니다.
그것은 하나의 주보와 네 개의 수평 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건축 스타일은 다른 장소의 미학에 적합하며 소유자의 취향과 호기심을 최대한 드러냅니다.
우리나라 경주의 동궁과 월지가 생각나는 곳이었습니다.
경자정(敬字亭)
롱인다치의 가장자리에는 소각장인 경자정이 있는데,
보통은 글이 쓰여진 종이를 이곳으로 가져와서 소각하는데,
글에 대한 경의와 사람들의 문화에 대한 감사가 담겨 있습니다.
"글을 소중히 여기는 것"(敬惜字紙)은 동포의 미덕이며,
그들의 목적은 글을 소중히 여기고 사람들의 문화를 소중히 여기는 것이라고 하네요.
Информация по комментариям в разработк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