잘 키운 산나물 하나가 명품 산나물로 부활!!! '마을 그리고 사람을 살리다 2012 산나물 이야기' (KBS 20121003 방송)

Описание к видео 잘 키운 산나물 하나가 명품 산나물로 부활!!! '마을 그리고 사람을 살리다 2012 산나물 이야기' (KBS 20121003 방송)

수요기획 - 마을 그리고 사람을 살리다 2012 산나물 이야기

※ 본 영상은 2012년 방송된 것으로 현재 상황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 오지마을, 산나물로 날개를 달다! 자연치유마을 대티골
‘육지 속의 섬’이라 불리는 경북 영양 땅은 척박한 환경과는 달리 ‘산나물 천국’이라 불리는 곳. 영양의 대티골은 일월산 자락 깊숙이 자리한 작은 산골 마을이다. 7년 전만 해도 12가구가 고작이었던 평범한 오지마을이 연간 1만 명 이상이 찾는 유명마을이 될 수 있었던 건 ‘산마늘’ 덕분이었다. 명이나물로 잘 알려진 산마늘을 재배하기 시작하면서 마을에 활기가 돌기 시작했는데... 마을에 소득을 안겨주는 효자작물로, 도시사람들을 산골로 불러 모으는 주인공으로 자리 잡은 산마늘은 대티골이 자연치유마을로 재탄생될 수 있었던 일등공신이었다.

▶ 울릉도, 우리는 어떻게 산나물 주산지가 되었나?
섬 전체가 하나의 화산체인 울릉도. 깎아지른 절벽이며 산세는 험하기로 유명하다. 하지만 한온난대가 공존하는 특유의 기후 덕에 울릉도에서 산나물 농사는 연중 노지 재배가 가능할 뿐 아니라, 섬 특유의 산나물들이 비싸게 팔리고 있는 터라, 지금은 마을마다 집집마다 산나물 농사가 농가소득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오징어 잡아 자식 대학 보낸다’는 말이 옛말이 됐고, 그 자리를 산나물 소득이 대신하고 있다. 관광산업과 연계되어 고부가가치를 올리는 산나물이 울릉도의 알짜배기 산업으로 거듭난 현장을 찾아가 본다.

▶ 구황작물이 새로운 소득작물로... 농촌경제구조를 바꾼 정선 곤드레
산나물은 오랜 세월 우리 민족과 함께 해 온 ‘구황작물’이었다. ‘아흔 아홉 가지 나물 노래를 부를 줄 알면, 삼년 가뭄도 이겨 낸다’는 속담이 있을 정도로 산나물은 흔했지만 소중한 음식이었다. 특히, 정선의 곤드레나물은 보릿고개를 힘겹게 넘어야 했던 구황시절 밥 대신 식량으로, 비타민 보급원으로 그 역할을 톡톡히 해온 산나물이다. 마당 밖을 나가면 지천으로 자라나던 곤드레가 본격적으로 대량재배가 되고 지역의 특산품이 될 수 있었던 것은 2010년 지리적표시등록제 덕분이었다.

▶ 산나물에 희망이 있다! 횡성 산야초세상 사람들
횡성의 산야초세상은 귀농인들로 이뤄진 마을이다. 건강에 이상 신호가 생기자 산으로 들어온 사람들인데, 약 대신 야생의 산나물들을 밥상에 올리기 시작했고, 산에서 건강과 미래를 찾아가고 있다. 해마다 가을이면 다음 해 산나물 농사를 위해 종자산행을 하고, 겨울을 제외하고는 산에서 먹을거리를 찾아내는 이들에게 산나물은‘희망’그 자체다.

▶ 현대인이 잊고 있는 산나물 이야기
동의보감에는 1,000여 종의 자생식물이 등장하고, 이 중 산나물로 분류할 수 있는 건 300여종이다. 하지만 실제로 식탁에 올릴 수 있는 것은 120여종. 그나마 우리가 흔히 먹는 것들은 10여 종에 불과하다. 눈을 돌리면 우리 건강을 위해 보다 많은 종류의 산나물을 먹을 수 있고, 조리 방법 또한 다양하다. 산나물을 지혜롭게 먹을 줄 알았던 옛 사람들의 전통적인 조리방법을 들여다본다.

▶ 산나물의 가치를 찾다! 명품산나물 개발을 위한 노력들
잘 키운 산나물 하나가 마을을 살리는 상황이 되다 보니, 잊혀졌던 명품 산나물의 부활을 위해 각계의 연구개발이 한창이다. 특유의 향 때문에 마니아층을 형성하고 있는 누룩취는 야생의 상태에서는 만나볼 수 있지만, 재배 방법이 까다롭다. 하지만 그만큼 경제작물로써의 가치가 있어 연구개발 목록 1호다. 더불어 갈변된 묵나물이 아닌, 초록의 기운이 가득한 묵나물 복원기술은 최근 특허를 내고 우리의 밥상 위에 오를 준비를 하고 있다.

▶ 섬마을 사람들의 새로운 꿈
여수 금오도 바닷가에선 미역이나 다시마를 말리는 풍경 대신, 산나물 말리는 풍경이 더 자연스럽다. 금오도 남면 대부분의 농가들은 바닷가 벼랑에서 자라던 식방풍을 대량 재배하기 시작했고, 못 먹던 시절 영양 공급원이 됐던 나물이 도시 사람들의 건강을 위한 약초나물로 입소문 나면서, 이제 식방풍은 마을사람들에게 보다 나은 미래를 열어주는 소득원으로 자리 잡고 있다.

#산나물 #농촌 #구황작물

Комментарии

Информация по комментариям в разработк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