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소야대 속...부동산 시장은 '시계 제로' / YTN

Описание к видео 여소야대 속...부동산 시장은 '시계 제로' / YTN

■ 진행 : 김영수 앵커, 이세나 앵커
■ 출연 : 윤지해 부동산R114 수석연구원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인용 시 [YTN24] 명시해주시기 바랍니다.

[앵커]
부동산 시장 살펴보는 시간입니다. 지난 총선 과정에서 다양한 부동산 공약을 쏟아냈던 정치권, 이제 약속의 시간이 다가왔고요. 부동산 시장에 미칠 영향도 궁금합니다.

야당 압승, 여당 참패로 끝나면서 22대 국회에서도 정부의 정책 추진에 제동이 걸릴 거란 관측 나오고 있습니다. 윤지해 부동산R114 수석연구원과 함께 부동산 이슈들 정리해 보겠습니다. 어서 오십시오.

[앵커]
최근에 보니까 전셋값이 계속 오르고 있다고 하고 그런데 집값은 떨어지고 있다고 하고요. 부동산 시장 전체적으로 흐름이 어떻습니까?

[윤지해]
전국적으로 주간 단위 정리해 보자면 한 0.03% 정도 하락했습니다. 그 부분들은 지방 쪽에서 대부분 하락을 하고 있고요. 서울 쪽은 5주 연속 상승을 했고, 더불어서 수도권은 보합 수준으로 머물러 있습니다. 그 과정에서 문제가 되는 부분들은 거의 1년 가까이 오르고 있는 전세 가격이라고 볼 수가 있고요. 그 부분들에 사실은 수요자가 굉장히 민감합니다. 전월세 가격이 오르게 되면 아무래도 시차를 두고 우리가 시장에서 선행지표로 보거든요. 그러다 보니까 매매 쪽에도 영향을 미치는 거고요. 더불어서 서울 쪽에서 아무래도 최근 들어서는 매매 거래량도 2년 7개월 만에 4000건을 돌파하면서 아파트 매매시장 쪽도 점진적으로 개선은 되고 있는데 아무래도 서울 중심으로만 일부 개선이 되면서 현재는 아직 양극화돼 있다는 평가가 우세합니다.

[앵커]
저희가 그래픽을 준비했는데요. 매매 가격이 일단 우리나라 전국 매매가격이 0.02% 하락. 그리고 전세 가격은 0.02% 상승 이렇게 나타났는데 저 0.02%가 상당히 작게 보이지만 실제로는 굉장히 크죠?

[윤지해]
아닙니다. 아직까지는 상승폭이 그렇게 크다라고 평가되는 수준은 아니고요.

[앵커]
저게 얼마 정도 반영되는 겁니까?

[윤지해]
저게 0.02%이니까 우리가 주간을 월간으로 했을 때 5주다. 그러면 0.1% 정도 오르는 수준이 되는 거죠. 그러면 연간으로 누적해서 보게 되면 우리가 12개월 정도 누적을 하더라도 사실 1%가 조금 넘는 상승률이 되는 거죠.

[앵커]
그런데 보통 1% 가격이 올랐다 떨어졌다고 하면 실제로 아파트 가격을 확인하러 가면 1000만 원, 2000만 원 되는 곳도 많더라고요.

[윤지해]
맞습니다. 덩어리 가격에 대한 부분이고요. 우리가 변동률로 보게 되면 시장에 대한 해석 부분들이 조금 달라지는데 개별 지역에 가서 현장에 가서 보시게 되면 사실 10억 원 하는 물건도 있고 강남에 가시면 30억, 40억 하는 물건도 있지 않습니까? 그러면 1%만 올라도 4000만 원, 5000만 원이 오르게 됩니다. 그래서 체감하는 상승폭과 우리가 전국 혹은 수도권을 평균했을 때의 변동률은 체감하는 수준이 조금 다른 거죠.

[앵커]
어쨌든 0.02%, 아직은 좀 낮은 수준이지만 앞으로 어떻게 될 것인지가 궁금한데요. 한국은행이 발표한 주택 가격 전망 발표 보면 소비자들은 1년 뒤에 집값이 오를 것으로 전망하고 있더라고요. 약간 경기가 풀릴 것이다 이렇게 다들 기대하고 있는 것 같죠?

[윤지해]
우리가 CSI, 주택 가격과 관련한 소비자 전망지수를 매달 합니다, 한국은행에서. 사실 이 부분은 2500가구에 대한 표본을 중심으로 조사를 하는 거고요. 다만 소비자에 대해서 우리가 왜 조사를 하냐면 ... (중략)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2_202404...
▶ 제보 하기 : https://mj.ytn.co.kr/mj/mj_write.php

▣ YTN 유튜브 채널 구독 : http://goo.gl/Ytb5SZ

ⓒ YTN 무단 전재, 재배포금지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Комментарии

Информация по комментариям в разработк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