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총재도 꺼낸 '리디노미네이션'...뭐길래? / YTN

Описание к видео 한은총재도 꺼낸 '리디노미네이션'...뭐길래? / YTN

■ 진행 : 노종면 앵커
■ 출연 : 정철진 경제평론가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앵커]
리디노미네이션, 화폐 가치 하락으로 거래되는 금액 단위가 지나치게 커졌을 때 일정한 비율로 금액을 낮추는 조치를 뜻합니다. 예를 들어 1000원을 1원으로 낮추되 그 가치는 그대로 유지하는 겁니다.

말이야 쉽지만 매우 중요하고 민감한 사안이라고 합니다. 그럼에도 한국은행 총재가 리디노미네이션을 논의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습니다. 왜 지금 굳이 이 말을 꺼냈을까. 실제로 리디노미네이션이 단행되면 어떤 일이 생기는 걸까. 쉬워야 경제다. 더 쉬운 경제 정철진 평론가와 쉽게 풀어보겠습니다. 안녕하십니까?

[인터뷰]
안녕하십니까?

[앵커]
어서 오십시오. 어떤 뜻입니까?

[인터뷰]
리디노미네이션인데요. 디노미네이션이라는 뜻은 뭔지 알아야 되는데 액면가, 뭐 이런 뜻입니다. 채권의 표면에 써 있는 단위. 그러니까 액면이라고 표현할 수가 있고 화폐금액이라고 표현할 수가 있는데 이것을 리, 다시 한 번 변경한다라고 해서 기존에 갖고 있는 화폐 가치는 그대로 두고 있으면서 100분의 1이라든가 1000분의 1로 단위만 교체하는 그런 방식인데요.

큰 틀에서 우리가 화폐개혁이라고 할 때 여러 가지 종류가 있거든요. 처음에 종이 모양만 바꾸는 것도 화폐개혁이에요. 그리고 방금 얘기하신 것처럼 단위가치를 줄이는 경우. 100원을 1원, 1환으로 이렇게 하는 것도 화폐개혁. 우리 MB 정부 때 했었던 5만 원 신권발행도 큰 범주에서는 또 화폐개혁이라고도 표현하기도 하거든요.

그런 여러 수단 중의 하나인데 주로 리디노미네이션은 최근에 있었던 베네수엘라처럼 어마어마한 하이퍼인플레이션이 나왔을 때는 빵 하나 사야 되는데 250만 원 이래야 되는 막 1000만 원 이렇잖아요. 그런 나라들이 주로 이 리디노미네이션을 많이 하고 있는데 최근 들어서는 여러 가지 이유를 통해서 리디노미네이션을 단행한 국가들이 나오고 있습니다.

[앵커]
이게 단위뿐만 아니라 호칭까지도 바뀐다는 건데 구체적으로 어떻게 한다는 건가요?

[인터뷰]
가령 아까 말한 것처럼 1000분의 1이다, 100분의 1이다라고 하면 1000원이 1환이 되겠고요.

[앵커]
1원이 될 수도 있고 1환이 될 수도 있고.

[인터뷰]
1환이 될 수도 있고 1 뭐가 될 수도 있고 이름만 바뀌는 거고요. 100분의 1이라고 하면 100원이 1환으로 이런 식으로 이름이 바뀌고 단위가 줄어드는 이런 패턴이라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앵커]
지금 우리나라에서 없지는 않았는데 지금 기억에는 없습니다. 언제 단행이 됐던 겁니까?

[인터뷰]
역대 화폐 개혁이 두 번 있습니다. 굵직한 화폐개혁이. 첫 번째가 이승만 정부 때고 그다음에 박정희 정부 때인데요. 1953년 2월이었었는데 당시에는 100 대 1의 리디노미네이션을 합니다. 그래서 그때까지만 해도 우리 통화 단위가 원이었거든요.

그다음에 100원을 1환으로 바꾸게 되는 리디노미네이션을 단행했고 두 번째가 아마 시청자분들 중에서도 기억하시는 분들이 계실 텐데 1962년에 당시에 10환을 1원으로 줄이게 되는 리디노미네이션을, 그러니까 두 차례에 걸쳤다 이렇게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앵커]
원에서 환이 됐고 환이 다시 원이 됐고.

[인터뷰]
원이 됐고 그래서 박정희 정부 때 했었던 62년의 원이 쭉 쓰이게 되는 그런 상황이 되는 것이죠.

[앵커]
그 당시의 상황이 어땠나요?

[인터뷰]
1962년도의 얘기. 그러니까 저도 선배님들도 잘 모르고 ... (중략)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2_201904...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email protected], #2424

▣ YTN 유튜브 채널 구독 : http://goo.gl/Ytb5SZ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

Комментарии

Информация по комментариям в разработк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