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북목 교정, 안면 비대칭, 턱관절 교정운동을 흉쇄유돌근 스트레칭으로 목통증까지 완전 정복 (feat. 목통증 마사지, 흉쇄유돌근 뭉침, 거북목 베개)

Описание к видео 거북목 교정, 안면 비대칭, 턱관절 교정운동을 흉쇄유돌근 스트레칭으로 목통증까지 완전 정복 (feat. 목통증 마사지, 흉쇄유돌근 뭉침, 거북목 베개)

#흉쇄유돌근_거북목#턱관절_교정운동#목통증_스트레칭
1. 연관통과 부수현상
(1) 흉골분지
통증
- 흉골의 위쪽 부위로 내려감. 이 근육에서 유일하게 아래쪽으로 생긴 연관통.
- 흉골 분지의 중간지점에서, 통증 유발점은 한쪽으로만 뺨을 가로질러(대개 손가락모양으로 방사) 상악골로 들어가서, 안와상연을 넘어 안와의 깊숙이 있다.
- 분지의 중간지점서의 내측 가장자리를 따라 통증 유발점은 음식을 삼킬 때 통증을 인두와 혀의 뒷부분에 연관시키고(인두통), 턱의 작은 둥근 지점에도 연관시킨다.
- 흉골 분지의 위쪽 말단에 위치한 통증유발점은 후두부 융기의 뒤로 통증을 연관시키는데, 귀에 가깝게 생기지는 않고 두피의 압통과 같이 두개골처럼 두부의 두정에 생긴다.
부수증상
- 동측 눈과 코에 연관
- 눈의 증상 : 1)과도한 눈물 2)결막의 적화(혈관확장) 3)뚜렷한 안검하수(BY 안륜근의 경직) 4) 안검열의 좁아짐 5)시각장애 : 시야흐림, 빛의 강도를 인지의 감소
- 코의 증상 : 코감기, 상악동 충혈
이명 : 1)흉쇄유돌근 2)위쪽 승모근 3)경추의 척추주위근 4)저작근의 통증 유발점
이명을 흉골분지의 중간지점에 있는 표층 섬유를 집어서 재발시킬 수 있음.
일반적으로 흉쇄유돌근 보다 저작근의 깊은 부위에서 이명과 관련이 있다고 여김.

(2) 쇄골 분지
통증
- 중간섬유에서의 근막통 유발점은 전두부에 통증을 보내고, 심한 경우에는 드물지만 반대 측 이마까지 통증 유발.
- 이 분지의 위쪽 부분은 동측의 귀 깊숙히 그리고 뒤쪽 귓바퀴부위에 연관통을 가짐. 이러한 통증유발점은 가끔 같은 쪽의 뺨과 대구치에 잘 국소화 되지 않은 연관통 가짐.
부수증상
- 공간적 지남력 장애와 관련
- 체위성 어지럼증(두부의 불유쾌한 움직임과 감각의 형태)과 현기(주위 사물이나 환자가 회전하는 것으로 느끼는 것)
- 흉쇄 유돌근의 수축을 필요로 하는 자세의 변화시 또는 갑작스럽게 스트레칭을 하면 일어나는 어지럼증이 수 초에서 수시간 지속된다.
- 평형장애가 체위성 어지럼증과 동반을 할 수도, 안할 수도 있는데, 이는 몸을 구부릴 때 갑작스러운 떨어짐 또는 운동실조를 일으킨다.
- 체위성 반응으로 눈 깜짝할 사이에 쓰러지려고 할 수 있다.
- 구역질은 흔하나 구토는 드물다.
*Good은 어지럼증이 흉쇄유돌근과 위쪽 승모근 모두의 유발점에서 야기된다고 함.
- 이러한 증상은 명백하게 목근육이 신체의 공간지각에 대한 고유수용성 감각의 장애를 가져오기 때문.
- 이 통증 유발점에서 나오느 원심성 방출이 상지 근육과 목근육과 관련된 전정기능으로부터의 고유수용성 감각정보 처리에 방해를 한다.
- 쇄골분지의 활동성 통증유발점에의 기계적 자극은 또한 국소화된 발한과 혈관수축(창백해지고, 냉각)과 전두부로 연관통을 야기한다.
2.동작의 교정
1)자세변화에 의한 긴장을 피하기
- 머리를 앞쪽으로 하는 자세는 고쳐야 한다.
- 앉거나 일어설 때 머리는 앞쪽으로 기울이는 것이 아니라 똑바로 서야하고 균형을 맞춰야 한다.
- 올바로 서는 것은 환자의 체중을 발뒤꿈치에서 발끝으로 이동
- 팔과 어깨는 편안하게 있어야 한다.
- 환자의 의자는 환자의 머리를 앞쪽으로 미는 머리 받침대가 없어야 한다.
- 허리 베개는 똑바로 설 수 있도록 하는 정상적인 척추 전굴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하다.
- 근시는 머리를 앞쪽으로 기울이기 쉽기 때문에 치료해야 한다.
- 흉쇄유돌근 통증 유발점을 갖고 있는 사람은 오랫동안 한쪽 방향을 바라보고 있다가 갑자기 다른 쪽 방향으로 몸을 돌리지 말아야 한다. Ex) 오랜 대화나 텔레비전 시청 중에 다른 사람쪽으로 눈을 돌려야 하는 경우 머리를 돌리지 말고 환자의 몸이나 의자를 덜릴 것.
- 베개의 위치는 1)어깨 아래가 아니라 어깨와 턱사이에, 2) 베개 옆 부분 끝을 걷어 올리자
- 어깨 아래로 가면 잠자는 동안 앞쪽 목 근육을 짧아지게 함.
- 침대 전등은 머리 바로 너머에 있어야 하고 한쪽에 있으면 안됨.
- 수화기는 머리와 어깨 사이로 받는 게 아니라 한쪽 손을 이용해서 받을 것.
2)압축을 피하기
- 셔츠의 깃을 팽팽하게 하는 것은 흉쇄유돌근에 압박을 가해 좋지 않다.
- 넥타이를 너무 바짝 죄는 것도 피한다.

아래 인스타에도 놀러와주세요

덴티장 인스타그램 :   / dentijang  
썸네일 디자이너 인스타그램 :   / cuteveryone  

Комментарии

Информация по комментариям в разработке